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글쓴이 님의 상황은 안타깝지만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닌 것 같네요. '무조건 펀딩 잘 주는 곳으로 가세요' 와 같은 근거없는 일반화는 공감되지 않네요. 보통은 글쓴이같은 상황을 많이 겪진 않습니다. 연구 핏을 보고 가는게 제일 중요하고, 펀딩을 포함한 재정적 상황도 확실히 해야 하는건 맞지만 우선순위는 압도적으로 연구핏이 높다고 봅니다.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4 - 찐따세요? 알잘딱갈센 좀 하세요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9 - 당연히 잘못이 아닙니다. 제 연구실에는 이런 학생이 없으면 좋겠네요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49 - 당연히 잘못이 아니라는데 사람들은 그 뒤 문장만 보고 비추준다ㅋㅋ 보통의 인간들이 얼마나 단순하고 오해하기 쉬운 존재인지를 보여주네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6 - 부끄러워 하지 마십쇼.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7 - 우리 그만하자...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9 - 대입시험 잘보는거랑 연구 잘하는거랑 완전히 일치하진 않으니,
낙담마시고 열심히 해서 연구 실적으로 증명하면 됩니다 응원합니다 ㅎㅎ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2 - 포스텍에서 한동대,해양대,제주대 얘기 듣고 팍 식음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4 -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구나.....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1 - 하버드 스탠포드 MIT에도 학부는 지역 칼리지 출신 많다.
색안경끼고 보는 사람이 이상한거다.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2 - 연고대무새가 자꾸 아랫글부터 보이는데, spk면 모르겠으나 유니스트면 yk이상이라고 봐요
유니스트 지금 컨택해도 괜찮을까요?
18 - 이직한 케이스 주위에서 보면 사모님이 제일 좋아하시고 교수랑 대학원생들은 싫어하던데요 ㅎㅎ 서울이직만으로 연구환경 비교는 어렵죠
유니스트 지금 컨택해도 괜찮을까요?
12 - 그냥 연구실 나가라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1
[펌] 서포카SPK 합격 조건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알콩달콩■
2019.12.03

다음카페 대학원입학준비위원회에 올라온 게시글을 퍼왔어요.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내용들이라서 흥미롭게 읽었어요. 대학원 준비하는 분들 우리 모두 힘내봐요!! 딱히 서열 조장하는 글은 아니라는 점은 읽어보셔도 알겠지만 미리 말씀드릴께요! -------------------------------------------------------------------------- 유투버 중에 동빈나 라는 분이 올린 동영상 중에 SKP 입학에 대한 동영상이 있었습니다. 포스텍 재학 중인 저는 이 동영상이 꽤나 알려주지 않는 팩트를 담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번 가족 모임에서 서울대와 카이스트에 재학 중인 사촌들에게 물어봤더니 심심치 않은 공감을 표하더라고요. 대학원 준비하시는 분들은 이 동영상 한번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Eax89eTTNk 안보신 분들을 위한 간단 요약과 제 의견을 사족 달아봤습니다. 0. 컨택하자. 대학원은 학교보다 연구실이다. 명문대 대학원은 학부간판/학점/스펙/컨택(카이스트 등 예외) SKP는 컨택의 파워가 그 외 대학원보다는 약한편이다. 달리 말하면 골고루 중요하다는 말? 그 외 대학원은 학부간판/학점 부족해도 컨택으로도 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나는 실력이 된다 = 학부 학벌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1. 학점 컷은 실존한다. 그냥 암묵적이지도 않습니다. 대놓고 학점 나쁘면 서류에서 탈락합니다. 제 주변과 친척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카이스트 : 연고한성서 3점중후, 중경외시 4점내외, 그 외 인서울 및 지거국 4점위 서울대 : 연고한성서 3점초중, 중경외시 3점중반, 그 외 인서울 및 지거국 4점내외 포항공대 : 연고한성서 3점중반, 중경외시 3점중후, 그 외 인서울 및 지거국 4점 이 정도에 형성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지방 사립대 출신인 동기도 있는데 학점이 4.5 수석졸업이었습니다. 당연하지만 언급한 학점보다 밑인 분들도 있습니다. 서류 평가는 학점만으로 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외국인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데이터입니다. 참고만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리하자면 조금 더 좋은 환경의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다 = 학점 관리 잘하자 2. 영어는 잘하면 무조건 좋다. 영어 성적 제출은 명문대 대학원인 경우 강제되는 경우가 꽤나 있습니다. 없더라도 졸업조건에 있을테니 입학 때부터 웬만하면 졸업요건에 해당하는 영어성적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학 성적 제출은 보통 학교에서 기준삼은 컷 이상이면 문제 없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어학 성적보다 중요한건 영어로 회화가 되는지, 원문을 잘 읽을 수 있는지, 논문을 쓸 수 있는지 입니다. 서울대가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TEPS가 토익과는 좀 달라서 방심하면 토익 800~900이 어도 뉴텝스 300중반 넘는게 힘이 들 수 있습니다. 영어는 2~3학년 때 미리 성적을 만들어 놓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영어잘하면 기회도 더 많고 교수님도 좋아하십니다 ㅎㅎ 정리하자면 영어 성적은 요구하는 기준은 넘기자. 그리고 더 중요한건 영어를 말하고 쓰는 능력. 3. 그 외 스펙 대회, 공모전, 대외활동, 인턴, 등등 다양한 것들이 있겠습니다. 가장 추천드리는 것은 연구 참여입니다. 결국 대학원은 연구하고 실적을 내는 공간이기 때문에 연구실 돌아가는 흐름을 알고 있으면 적응이 더 빠르기 마련입니다. 2학년은 아는게 없어서 힘들 수 있고 3학년과 4학년 때 연구 참여 프로그램들을 통해 연구인턴 경험을 늘려가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대단하진 않더라도 실적을 만들어보는 것도 의미 있고요. 진학하고자하는 연구실 분야와 교집합이 있다면 더욱이 좋겠네요! 정리하자면 학점과 영어 이외의 스펙은 본인 하기 나름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연구 인턴이 가장 좋은 것 같다. |
SPK 대학원 입학 난이도 김GPT 40 29 31195-
42 13 14131
spk서열 정리해준다 김GPT 20 14 7291
서카포 카르텔 김GPT 7 5 11907-
4 12 14349 -
26 11 7213
아래 spk 대학원 줄세우기 글 김GPT 16 2 3495-
5 11 6735 -
0 2 9190 -
237 18 30425 -
307 31 90295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 명예의전당 191 34 5894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35 -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52 - 국내 산업계나 학계는 글러먹었음
26 - 학계가 이런 곳인가요...
11 - 조교수도 논문지도교수를 할 수있나요?
23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0 - 이재x xxx. ㅅcㄲ 좋냐?
29 - 교수님을 너무 믿지 마세요.
21 - 복잡한내용도 쉽게설명하는게 진짜 중요하다는걸느낌
22 - 교신저자 문제
4 - GPT가 답한 대형랩의 에이스 탄생 시나리오
10 - 도대체 외국어도 못하면서 무슨 학문을 한다는 걸까요?
5 - "외대" 라고 하면 어디가 먼저 떠오르나요?
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여성분들이라면 어디 선택하실건가요?
36 -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30 - 이공계는 보통 월에 얼마씩 받나요?
28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23 - 서성한 vs ist
16 - 한 랩에 연구교수가 3명이나 있는 건 왜일까요?
15 - 유니스트 지금 컨택해도 괜찮을까요?
13 - 신임 교수를 뒤에서 욕하는 인간 부류 제일 경계하고 조심해야함.
10 -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8 - 논문 작업하거나 할때 정말 밥만 먹고 이것만 하는게 일반적인가요?
10 - 포닥 1년만에 교수
9 - 마감 없으면 무한 연기하는 교수님 밑에서 살아남는 법?
9 - Spk 분들은 번역기나 gpt 안쓰시겠죠..?
12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오퍼 펀딩 잘 확인해보세요
31 - 미국 유학/ 전반적인 팁
23 -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35 -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52 - 국내 산업계나 학계는 글러먹었음
26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0 - 이재x xxx. ㅅcㄲ 좋냐?
29 - 교수님을 너무 믿지 마세요.
21 - 복잡한내용도 쉽게설명하는게 진짜 중요하다는걸느낌
22 - 교신저자 문제
4 - GPT가 답한 대형랩의 에이스 탄생 시나리오
10 - 도대체 외국어도 못하면서 무슨 학문을 한다는 걸까요?
5 - "외대" 라고 하면 어디가 먼저 떠오르나요?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30 - 이공계는 보통 월에 얼마씩 받나요?
28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23 - 서성한 vs ist
16 - 한 랩에 연구교수가 3명이나 있는 건 왜일까요?
15 - 유니스트 지금 컨택해도 괜찮을까요?
13 - 신임 교수를 뒤에서 욕하는 인간 부류 제일 경계하고 조심해야함.
10 - 징징글)올해 석사 3학기차인데 논문을 아직 하나도 못썼습니다
18 - 논문 작업하거나 할때 정말 밥만 먹고 이것만 하는게 일반적인가요?
10 - Spk 분들은 번역기나 gpt 안쓰시겠죠..?
12 - 미국대학 바이오계열 다이렉트 입학 조언 부탁드립니다.(석사입학도 조언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1 - 올해 어드미션 합격 가능성 평가 부탁드립니다
10 -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1

김박사넷 유학교육 교육&이벤트 일정 안내
자세히 보기
2019.12.03
2019.12.03
2019.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