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30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타전공 박사 수료생 CS로 진로 변경 고민중입니다.
2021.12.27

안녕하세요 컴공이 아닌 타전공에서 박사과정 수료까지한 대학원생입니다.
학교는 서울소재고, 연구 내용는 제 전공 분야에 AI 접목하는 기술 관련입니다.
연구실에서 나름 열심히해서 1저자 SCI만 3편 이상 썼고, 추가로 1편 투고한 상태입니다.
교수님이랑 진로 상담하면, 현재 페이스대로 가면 정출연은 충분히 갈 수 있는 실적인 것 같습니다.
다만, 연구 내용의 깊이가 너무 얇은 것 같아 계속 고민이됩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최근 AI 붐이 일어서 다른 분야에서도 AI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습니다.
사실 제가 쓴 SCI 논문들도, AI 연구자들이 봤을 때, AI 경진대회 솔루션과 다를바가 무엇인가 고민도 많이 됩니다.
커리아가 잘 풀려야 정출연이나, 정말 잘풀리면 수도권 교수(주요 대학은 어려워 보입니다.)로 갈텐데 그 이후에 제가 어떤 지식으로 연구 동력을 삼아야할지 걱정이 많이 됩니다.
의학분야 같이 시장성이 확실한 곳에선 AI 연구자들이 뛰어들어 벌써 상장하는 회사까지 나타나고 있는데,
제 분야는 아직 시장성이 없어 개척이 안된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나중에 시장이 열렸을 때, 진짜 AI 연구자들과 경쟁력에서 밀려, 수년 내에 도태될 것 같아 답답한 마음입니다.
AI 관련된 지식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박사과정 내내, 혼자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며 스터디를 하면서 채워왔지만, 한계가 느껴집니다.
지도교수님께서도 전공이 AI와 아주 깊은 상관관계는 없어서 AI 관련된 내용에 대하여 깊이 있는 토론이 어렵습니다.
또 지도교수님께서 제 논문을 제 전공 분야에 계신 분들이 바라보는 시선도 염려하시더군요.
지금까지 연구한 내용들보다 AI 모델에 대해 더 깊이 들어가면, 다른 분들이 볼 때 지나치게 지엽적인 연구를 한다고 생각할 것 같다는 의견을 보이셔서, 논문을 작성할 때도 종종 부딪혀 왔습니다.
하지만, 관련된 공부를 하면 할수록 제 전공분야에서도 AI를 이용한 솔루션이 확대될 것 같다는 확신은 있습니다.
그래서 진짜 더 공부를 하고 싶은데, 이제라도 CS에서 공부를 더 하고 싶은 생각이 드네요.
실제 CS로 전향하게 된다면, 제가 부담해야할 cost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일단 아무리 AI 관련된 논문을 써왔지만, SKP등 국내 탑 AI 대학원에서 이런 이력을 눈여겨 볼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전공도 다르기 때문에 서류전형 및 입학시험을 통과하는 것도 어려워 보입니다.
또 지금 AI 대학원을 다시 진학하는 것이 앞으로 커리어에 얼마나 실제적인 도움이 될까 하는 고민도 있습니다.
AI 대학원이 AI 자체에 대하여 깊이 있는 내용들을 파느라, application에 대해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는다면,
차라리 창업을 해서 부딪혀보는게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듭니다.
이런 생각들 때문에 요즘 연구가 손에 잡히지 않고, 랩실 인원들에게 나쁜 영향만 끼치는 것 같아 답답한 마음만 듭니다.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시는 분들이나, 하셨던 분들이 있으면 답글 부탁드립니다.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내가 생각하는 AI 전공 발전 방안 김GPT 10 13 2600-
0 6 14047
ai로 해외 박사 가고 싶은데 김GPT 1 7 2325-
2 3 6810
Ai학과와 컴퓨터 공학과 김GPT 4 17 4499-
2 4 6321 -
0 5 7202 -
1 16 6026
비전공자 대학원 진학 고민... 김GPT 2 9 4052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47 34 97027-
158 28 45368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155 11 1354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