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5 - 기본적인 예절을 못배워서 그래요. 심지어 건물 복도에서 다른 연구원 공간이 가까운데도 쩌렁쩌렁하게 전화하는 애들도 많습니다. 점점 에티켓이 없어지는 나라가 되가고 있어요.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8 - 그사람이 밉상이라 거슬리는거죠. 뭔가 득되는 사람이었음 안거슬렸을거임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27 - 자기가 연구하고싶어서 대학원 간거 아닌가? 연구가 적성 안맞는다고 느끼면 그만두고 취업하면 되는데 취업해서 하기싫은일하면서 돈버는 학부졸업들은 호구인가? 연구를 하는데 왜 성과가 안나오지? 평소에 게임하다가 미팅직전에 벼락치기로 밤새고 열심히 한다고 착각하는건가? 게임을 접으면되잖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1 - 의대 가신 것은 당연히 대단한 것입니다. 근데 다른 업종을 비하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아닐까요? 생각은 그것으로 끝내시는 것이 향후 글쓴이 님의 앞길에 아무 일 없으실 거 같습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26 - 뭔놈이 의대가놓고 여기 들어와서 대학원생 비하하고있냐 ㅋㅋㅋ 자격지심 있음? 남 비하하는 사람들은 자존감 낮은거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4 - 의사들의 사회학적 이해 수준과 차별적 언사, 천룡인 마인드는 잘 알고 있었으나 글쓴이가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주네.
한 20년 전에 과고 나와서 지금 이공계 교수인데 솔직히 나보다 공부 못했던 애들이 맨날 저러고 앉아 있으니 같잖고 참 자존감 낮다 싶음. 정신 좀 차려라.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7 - 돈 쫒아 의대 갔으면 그냥 열심히 자격증 따고 돈벌면 됩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3 - 너 하기 나름이지!1
너 학교 과에 딱봐도 이상한 애들 많지 않아?
거기서도 어떻게 하냐에 따라 어떤 결과가 나오게 되는거임!1
학교 프레임에 씌워서 가냐 못가냐 논하는건 이상한 놈이란 소리 들을 가치가 있음!1
너의 인생 전략을 잘 만들 생각을 해바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13 - 좋은 지적입니다. 필드에서 나가서 바라보니까. 문제가 보이죠.
정부 정책이라는게 항상 이런식입니다. 언발에 오줌누기...인건비도 못 주는 저질연구실을 퇴출시키는 방향으로 가는게 이공계 발전방향이지...그 인건비를 국민의 세금으로 떼우고 인공호흡기 달아주는건 이공계 발전방향이라고 할 수 없어요.
또 하나 AI다 양자컴퓨터다 메타버스다 이런거 나오면 우리나라 정부에서 하는 짓거리는 2030년까지 AI인력 1만명 육성. 제약 바이오 연구인력 몇명 육성. 이말은 월드클라스 인력 1000명 투자할 돈을 1/10로 나눠서 표만 얻고 수준은 1/100 퀄리티로 쳐박겠다는 얘기예요.
매년 박사가 1만5천명이 배출된답니다. 의사는 3천명 남짓 배출되요. 시장논리가 가장 철저히 적용되는게 인력시장이예요. 의사들은 똑똑한걸 증명했잖아요. 공급을 줄여야 가치를 인정 받아요. 박사가 의사보다 5배나 더 공급되니까. 의사가 박사보다 5배 더 버는 것도 당연하죠. 여기 연구하시는 분들...정신 똑바로 차리세요. 인력이 늘어나는게 좋은게 아닙니다. BK21도 이제 그만할때가 됐습니다.
IT붐 불면서 개발인력 몇만명 양성 십수년 하고나서 개발자 연봉 바닥 났습니다. 영어되고 실력되는 인력은 이미 실리콘밸리로 떠났구요. 국내 생태계는 말 그대로 씹창 났습니다. 인력을 제한해야지 해당 필드의 임금이 올라가고 좋은 인재가 모이고 좋은 인재가 있어야 혁신이 가능합니다. 인력 모자란다고 머리수만 채우는 정책 그만해야 합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2 - B
펜대 잡는 놈이 1저자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0 - 생각보다 다들 B라고 하셔서 놀랍네요. 제가 CS/AI분야이긴 하지만 실 작업량은 A가 훨씬 많거든요. (10배이상 많은 것 같네요) 통상 컨퍼런스페이퍼가 짧아서 그런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최소 공동저자는 될 줄 알았는데..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5 - 이건 무조건 B죠.
A한테 공동주저자를 주겠다면 말릴 일입니다.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3
석박사 통합을 3년만에 졸업하신 분 계신가요?
2022.10.05

자극적인(?)제목 죄송합니다
현재 대학원을 생각하고 있는 준비생입니다.
우선 석사를 하고 박사를 하는 것이 좋을 지
석박통합을 하는 게 나을 지 고민입니다.
제가 지원하고자하는 분야가 약학 분야입니다
여기서 여러글을 눈팅한 결과 석사를 우선하고 그 후 박사를 하라고 하는 분들이
석박통합을 하시라는 분들보다 많았습니다.
제가 솔직히 석박통합을 하고 싶지만 망설이는 이유는 시간과 돈입니다.
석사 박사를 따로하면 기간이 길지만 석사를 마치고 잠시 회사를 다니다가
박사를 이어갈까 등... 생각할 여유가 있다는 것.
연구실이 맞지 않는 다면 석사만 마치고 관둘수 있다는 것
석박통합을 하면 기간은 단축되지만 사람에 따라 다르다는 것
어느분은 단축된 시간없이 7년 걸리셨다고 하고요
어느분은 그까이꺼(?????)3년만에 가능하다고 허세를 떨어주셨는 데
실제로 있으시다면 그냥 희망만...기분만이라도 좋고 싶어서요
여기서 걱정되는 점은 돈입니다.
20대 중반의 나이지만 아르바이트가 금지 되어있다는 겁니다.
용돈도 부모님 체크카드가 끝이고요.
제 잔고에 있는 금액은 밥 한끼 먹으면 끝이 납니다.
모아둔 돈도 없이 30대가 되어도 되려나요.
또한 석박통합을 하면 일반 석사보다 배로 바빠져
제 사회생활을 할 시간 조차 남지 않으면 어떡하나 싶기도 합니다.
석박통합분들은 1년에 1-2번은 친구 만나기 가족만나기 가능하신가요
-
0 11 3611 -
1 14 13521
석박통합 5년 졸업? 김GPT 1 8 16536-
3 9 17286
석박사통합과정 몇 년 공부하나요? 김GPT 0 8 13640
석박통합 3년 해보고 느낀 점 김GPT 15 5 6009-
13 8 5637
석박사 통합 자퇴 고민입니다... 김GPT 2 10 3596-
2 11 5520
신임 교수인데 학생분들 건강 챙기세요 명예의전당 274 34 57976-
215 34 27207
더 나은 교수님을 찾아 떠나려고 합니다. 명예의전당 106 34 4583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21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3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88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39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4 - 학벌 낮춰가는거 별로인가요?
7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3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1 -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0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24 - 노력이란 무엇일까?
17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서류
6 - 석사논문 피인용 100회
1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36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0 - 석사 취업은 학부가 다인거같네요.
13 -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7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29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11 - 다들 컨택 후 확답 몇 개씩 받아두시나요?
7 - Surf wurf
6 - 광명상가 타대 vs 자대 고민입니다.
10 -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7 - 낮은 학점 대학원 진학 문의 드리고 싶습니다
5 -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10 - 학부연구생 양다리
5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210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3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88 - 연구실 내에서 사적인 전화하는 게 맞나요,,?
14 - 학벌 낮춰가는거 별로인가요?
7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53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1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7 -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0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24 - 노력이란 무엇일까?
17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서류
6 - 석사논문 피인용 100회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석사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tip
21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7 - 조지아텍/에모리 의공학이 그렇게 좋은가요?
8 - 공대 조기졸업 3.5/4.0 vs. 4년 3.8/4.0
1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36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0 -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17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29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11 - 다들 컨택 후 확답 몇 개씩 받아두시나요?
7 - 광명상가 타대 vs 자대 고민입니다.
10 - 학계에 있는 사람들을 보면서 느낀점 몇개
7 - 대학원생들에게 갑질했던 교수님에게 대학원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교육학 논문 같이 쓰자고 했는데, 무반응인 경우 어떻게 해결해가는 게 좋을까요?
10

empty
empty
2022.10.05
대댓글 1개
2022.10.05
대댓글 1개
2022.10.05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