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직장인 박사 입장에선 출신대학 논쟁은 의미없음

2022.11.16

18

7316

학부가 a대이고 대학원이 b대 석 혹은 박사인데
출신 대학 물으면 b라 해야하나요?

이런 질문 종종 올라오던데
그런거 회사 직장인들 모두 안 물어봄.

인사팀에겐 이력서에 적으면 되는거임.
석박 따면 20대 중반은 될테고
어떤 주제는 피하면 좋은지는 다들 파악할거임.

면접에서도 어차피 이력서 이미 다 아는 상태라서 안 물어보니 고민할 필요없음.
좀 과장해서 비유하면
'오늘 abc님 팬티 색깔은 뭐예요?'
이런 질문에 고민하는 느낌
물어보는 사람이 변태이고 대다수는 물어보면 자신도 답변해야하니 안 물어봄

일을 할 수 있냐와 잘하냐 외엔 일에 치여살아서 관심없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2.11.1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게 표면적으로는 충분히 그렇게 느낌 수 있음.
그런데 참 회사도 간사한 게....팀을 꾸리든, 기회가 주어지든, 평가를 하든. 알게 모르게 색안경이 껴있는 건 어쩔 수 없어서 부족한 학벌일수록 매번 극복해내야 하는 건 사실입니다.
또, 평사원들에게는 이런 학벌이 아주 중요하다고는 못느낄 수도 있는데. 임원레벨부터는 또 다른 이야기임.
학벌 자체에서 오는 메리트는 사실상 임원레벨에서 더 차이가 있지요...

대댓글 1개

2022.11.16

예 그렇긴한데 자네 학부는 관악산근처인가? 이런식으로 안하는지라 당사자에게 안묻는거 같습니다.
물론 주변조사로 알고싶긴 하겠는데 전 시간 낭비라 생각합니다.

2022.11.16

‘석박따면 20대 중반은 될테고’…? 정말?

대댓글 3개

2022.11.16

미필
석 - 20대중반
박 - 20대후반~30대초반

군필
석 - 20대 후반
박 - 30대 초반

2022.11.16

제가 31살에 박사학위받았는데 (일반고+학부5년+석사2년+박사5년), 저희학교에서는 미필치고는 느린편이긴했습니다. 다만 사회나와보니 미필이든 군필이든 제가 상당히 빠른편이였습니다.
모든학교가 휴학거의안하고, 과고출신들이 많은건 아니니까요.. 물론 석박통합으로 5년정도에 하는곳들이면 상당히 빠를것같기는하네요. 저희학교 대부분 학과는 대학원7년도 빠르다고해서.. ㅎ

2022.11.16

"못해도"를 실수로 빼먹음.

2022.11.16

학벌 좋은 사람한텐 크게 와닿지 않을 얘기인거 같네요. 주제 피하고 조심스러운 고민을 할 필요가 없으니까. 어차피 알 사람은 다 압니다

2022.11.16

대학원 와서도 안물어봄 은연중에 흘려서 아는경우도 있지만 서로 잘 모름

대댓글 1개

2022.11.16

ㅇㅇ 떠벌리고 다니지 않는 이상 안 묻죠.

2022.11.16

대기업 중 상관있는 곳 있어요. 어떤 대기업의 연구소는 S대만 임원 루트가 쉽고(해외대, PK 다 상관없음..), 나머지는 정말 충성 하는 사람 또는 다른 인맥 있는 사람 중에 올라 갈 수 있음. 그 외의 대학은 그래서 서로 물어볼 필요 없음. ㅋㅋㅋ 학부 끝까지 안 말해도 되나 서류/면접 검토할때 부서장과 면접관들은 알게 되는 곳도 종종 있음. 그들이 입이 무거우면 소문 안 퍼지는 거고, 가끔 가벼운 부서장들도 있음.

대댓글 1개

2022.11.16

네 이게 맞는지라. 출신대학을 물어볼 때 뭐라 대답해야하냐는 물어볼 일이 없는 고민이라 생각합니다.
어차피 다 아니까요.

2022.11.16

흐음....고과에 반영되는 것 같은데요..사이닝오퍼도 크게 차이나고...회바회인가..

대댓글 2개

2022.11.16

이력서가 아닌 사람 간의 대화에서로 한정했습니다.

2022.11.16

생각해보면 학생땐 모르겠지만...
직장인들은 원래부터 남이 어느대학 나오는지, 논문 뭐썼는지 전혀 관심도 없긴하죠..
특히, 연구소 아니고 사업부일 경우엔 더더욱요..

오르비 애들이 대학서열에 환상을 가진게 대학원생으로 연장된 정도고, 실제론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서 같은 목표로 일하는 곳이죠..

양산 관점서보면 박사보다도 지게차로 물건 잘 나르시는 분들이 회사엔 더 도움이 될지도..
대학원생

2022.11.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은 최종학벌 그보다도 자기 실력이 중요한데

2022.11.19

케바케인게 저는 모기업 연구원 분들께서 우리 부서는 학석박이 SKP 미만이면 현실적으로 입사가 어렵다는 소리도 들은바 있었습니다(타대가 연구력이 떨어지는건 절대 아니고 HR에서 그냥 짤라버린다고;;). 다른 기업에서는 SKP 학교 사람들 원하는 자리 먼저 채워주고 남는자리에 기타 인력 뽑아서 배치하는걸 본적도 있고요. 들어가서는 몰라도 적어도 아직까진 입사에서 절대적으로 유리하긴 합니다. 일단 lower bound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지 않죠. 다만 사업부는 확실히 입사 후에 간판이 큰 의미가 없어보입니다.

2022.11.19

우리나라는 부정하고 싶어도 학부학벌 사회입니다. 강하게 부정하는 사람은 강한만큼 인정한다는 거와 다르지 않습니다. 정말 관심없는 사람은 이런 글 쓰지도 않습니다.

2022.11.21

그건 님이 회사 가서 그럼

학계는 다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