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유독 김박사넷이 spk 선호가 심한듯. spk vs 타대 관련글 올라오면 그냥 무조건 spk 가라함. 전체적으로 학벌이 낮아서 학벌 선망이 있는건지 아님 그냥 어린 대학생들이 많아서 그런지 몰라도 무조건 spk다 라는건 진짜 문제가 좀 있음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52 - 대기업 연구실에는 skp 석박 말고 찾아보기가 힘들던데요, 올려가면 모를까 굳이 왜 내려가시는지
학벌 낮춰가는거 별로인가요?
10 - 오늘 실험 대차게 망하고 오는 길입니다... 진짜 멘탈 나가서 미칠 것 같네요ㅠㅠ 믿고 맡겨주신 교수님께 너무 죄송스럽고 주변인들이 제게 실망하지 않을지 불안해 죽을 것 같습니다...... 또 망한 실험으로 지출될 연구비는 어떻게 해야할지... 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0 - 학부 학벌은 평생 따라다닙니다 대학원을 학벌이라고 하진않죠 학력이지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2 - 박사급은 사실상 대학원이 학벌입니다. 학부 학벌 아무도 안 물어봄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1 - 자기가 연구하고싶어서 대학원 간거 아닌가? 연구가 적성 안맞는다고 느끼면 그만두고 취업하면 되는데 취업해서 하기싫은일하면서 돈버는 학부졸업들은 호구인가? 연구를 하는데 왜 성과가 안나오지? 평소에 게임하다가 미팅직전에 벼락치기로 밤새고 열심히 한다고 착각하는건가? 게임을 접으면되잖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46 - 평생 따라 다니고 학부 말 못하는 사람이랑 엮이지 마셈
학부가 창피했으면 편입을 하건 수능을 치건 했어야지
실적 안좋고 애매한 애들이 꼭 세탁한 학벌 말하고 다님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8 - 의대 가신 것은 당연히 대단한 것입니다. 근데 다른 업종을 비하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아닐까요? 생각은 그것으로 끝내시는 것이 향후 글쓴이 님의 앞길에 아무 일 없으실 거 같습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5 - 박사 졸업하면 학부는 의미없음… 그런거 신경쓰는 사람들이 이성한거죠 ㅋㅋㅋ 박사 졸업이면 실적으로 증명해야죠.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5 - 박사 하는 사람 혹은 한 사람 중에 학부 학벌이 중요하다 한다면, 그저 실패한 것.
꼭 학부 학벌 좋은데 막상 대학원오니까 국영수사과 달달 외워너 하는거랑 너무 다르고 뒤쳐져서 그렇게 얘기함.
탑스쿨 대학원 때 잘하면, 학부 학벌은 거의 따지질 않음.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9 - 온/오프로 보는 것은 실패하기 매우 좋은 마음가짐임.
확률로 생각을 하길 추천함.
질문 : 님 선배중에 다라고 하면, 100프로 정출연 취업함?
추측 : 분명 그렇지 않을 것임.(취업보장되는 서성한도 학과성적으로 취업하려면, 학점이 좋아야 가능한 현실을 고려하면, 정출연 정규직이라면, 매우 경쟁이 치열할 것임)
유명 학교라고 보장되는 것은 없고, 유리함을 가지는 것임.(확률이 조금 더 높다 정도) 얼마전에 S대 2.3과 건국대 4.5 중 어느쪽 회사에서 뽑을지에서 50:50 나왔다는 것 어디서 봤는데, 대략 그런 개념으로 보면 유리함. 대학입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꾸준히 열심히 해서 쌓아간다면 유리함이 있는 것임.
그리고, 남의 노력을 존중하면 좋을 것 같음. 선배가 안유명학교에서 정출연 정규직으로 갔다면, 엄청난 노력을 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 학교만 같다고 다 같이 될 것이다가 아니라, 이후의 노력을 보고, 참고하여 가능성을 높여가야 할 것임.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1 - 궁금한게 있는데 도대체 이런건 어디학교 어디과정임?? 논문지도비를 회당 내는건 어디 화성에 있는 대학원인가?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3 - 3년하셨으면 논문 쓰고 나갈 만 하지 않나요?...
교수도 투자한 비용을 회수는 해야죠..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3
진로 고민 조언이 절실합니다.
2023.03.13

작은 의견이라도 남겨주시면 감사하 받겠습니다.
데이터 분석과 PM 직무를 동시에 고민하고 있는 4학년 1학기 학부생입니다.
데이터 분석과 PM 을 동시에 고민하면서 PM 쪽으로 우선 갈피를 잡고 프로젝트를 해오고 있었습니다.
- 전공 : 산업공학
- 학점 : 4/4.5 전공학점 : 4.2정도/4.5
- 데이터 분석 관련 공모전 수상 5회 이상, 수상 포함 프로젝트 경험 7개 정도 입니다.
- PM (IT 서비스 기획 관련 프로젝트) 3회 이상, 1회 수상
이번학기는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과 학점을 수강하고자 합니다.
- 졸업 논문 : 물류 최적화 관련
- 교수님 프로젝트 : 신뢰성 관련
- 서비스 기획 프로젝트 : PM 관련 2건
- 20학점
이렇게 진행하였고, 학교는 건동홍 라인입니다.
PM 쪽이 공고도 적고, 신입 채용도 많지 않아 학사로 데이터 분석 쪽 관심을 버리고 가기에는 걱정이 큽니다.
그렇다고 근 1년간은 PM 쪽을 생각하면서 데이터 분석에 큰 에너지를 쏟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자대 교수님께 4학년 1학기 학부 인턴 후 학-석사 연계로 해보자는 메일을 받았고, 기업과 프로젝트를 많이 하십니다 연구실에서
PM 쪽 채용이 적다는 것과 데이터 분석에 대한 고민... 까지 더해져
데이터 분석 혹은 산업공학 대학원을 진학하여 데이터 분석 쪽을 생각해보면 어떨까 하는 고민이 듭니다.
대학원 생각을 잠시 내려놓으면서 솔직히 컨택에 대한 준비는 제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석사 예약 입학 및 컨택을 생각하면 지금이 선택의 마지노선이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마음 같아서는 2학기에 들을 학점이 없어서 연구 인턴이든, PM 기업 인턴이든 진행해보고 나서 석사 진학 여부를 생각해보고 싶습니다.
늦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많이 됩니다. 지금은 어설픈 데이터 분석 + PM 포트폴리오 정도만 준비한 상태입니다.
-------- 질문 --------
Q1. 여름 방학 혹은 2학기에 PM 인턴을 해보고 석사 진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늦지 않을까요?
Q2. 1학기에 학부 인턴을 하게 된다면 자대 대학원 진학을 거의 약속드리는 상황이긴 하지만 해보는 게 맞을까요?
Q3. 산업공학 대학원 중에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관련 쪽을 생각한다면 어느정도 선까지 컨택을 해볼만할지 궁금합니다.
소중한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학부 진학에 대한 생각 김GPT 0 24 8823-
0 9 12240 -
4 7 10810
산업공학과분들께 조언 구합니다. 김GPT 1 6 3251-
1 13 8027 -
0 4 1421
빅데이터 분석 김GPT 3 2 6340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GPT 0 7 2333
빅데이터쪽 계신 분께 조언 구합니다. 김GPT 0 5 2169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2 57 68039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명예의전당 1099 72 197273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290 95 8353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66 - 욕먹을 생각하고 쓰는 꼰대글 (feat. 9 to 9)
130 - 교수 현직임 질답시간을 가지자.
18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50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6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79 - 당신과, 당신의 과학을 사랑합니다.
32 -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32 - 학벌 낮춰가는거 별로인가요?
4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9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8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3 - 노력이란 무엇일까?
1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7 - 다른 사람을 왜 설득해야 하죠?
19 - 학부 조교 활동
17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0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9 - 4 5년전엔 서울대 대학원도 정원미달이다 이런글 본적 있는거 같은데
1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22 - Unist 대학원 서류컷
10 -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3 -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9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10 - 석사 취업은 학부가 다인거같네요.
13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4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66 - 욕먹을 생각하고 쓰는 꼰대글 (feat. 9 to 9)
130 - 교수 현직임 질답시간을 가지자.
18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50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6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79 - 당신과, 당신의 과학을 사랑합니다.
32 -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32 - 학벌 낮춰가는거 별로인가요?
4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9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8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3 - 노력이란 무엇일까?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석사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tip
20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5 -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7 - 학부 조교 활동
17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10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9 - 4 5년전엔 서울대 대학원도 정원미달이다 이런글 본적 있는거 같은데
1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22 - Unist 대학원 서류컷
10 -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3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10 - 석사 취업은 학부가 다인거같네요.
13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4

empty
empty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