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저는 신생랩 와서 만족하는데

2023.06.10

14

5622

기계쪽 로봇 전공이고 신생랩인데 만족합니다.

무엇보다 교수님과 interaction이 많아서 좋은 것 같고,
주변 대형 랩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것에서 그걸 크게 느낍니다.

제 옆에 인기 대형랩들 좀 있는데, 막상 와보니 교수님을 1대1로 뵙기가 힘들고 (학생들이 많으니 팀미팅을 한다고 합니다) 사수들의 도움은 한계가 있고 무엇보다 좋은 사수를 배정받는 게 좋은 교수 배정받는 만큼이나 힘들다고 하네요.

랩셋팅 이야기하시는데, 랩세팅하면서도 많이 배웁니다.
특히 저는 start-up을 할 생각도 가지고 있는데, 그 때 필요한 경험들을 충분히 배우고 있는 것 같아요.

안 좋은 곳도 있겠지만, 제 주변에서는 신생랩이 오히려 더 좋다는 사람이 많고 저도 만족하고 있는데 김박사넷에서는 한 쪽 의견만 강하고 나머지 의견은 다소 묵살되는 느낌이 있어 공유해 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IF : 2

2023.06.10

대부분 교수님들의 학생들 최고 output은 신생랩 1~3기 박사생으로부터 나옵니다.

그 연구 분야가 가장 핫할 때이기도 하고, 교수들이 가장 열심히 케어해주실 때 이기 때문이죠.

다만 요즘 학생들은 (특히 석사만 하려는 학생들은)
졸업 후 output과 실적과는 관계없이 매뉴얼이 잘 정돈된 랩에서 시키는 일들 위주로 하고

교수와는 별로 교류를 안 하더라도, 또래들과 어울리는 걸 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에서 최근 신생랩의 과도한 기피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저도 제 주변에서 박사 졸업 후 정말 잘 된 사람들은 신생랩 출신이 많습니다.

대댓글 1개

무기력한 제임스 와트*

2023.07.01

잘 모르는 학부생입니다. 석사후 취업을 고려하는 사람일 경우 신생랩이 좋은 옵션이 될 수 있을까요?

2023.06.10

신생랩 운영하시는 교수님이 쓰신 글이라네요. 모르는척 속아주죠 여러분

대댓글 1개

2023.06.10

저 교수 아니구요.
자기 의견과 다르면 이렇게 억까하시는 분들이 김박사넷에 종종 계신데 정말 별로인 것 같아요
놀란 제인 오스틴*

2023.06.10

박사할거면 신생랩이 좋죠

2023.06.10

개인적으로 진짜 베스트는 생긴지 2년된 연구실에 입학하는거인듯.
튼튼한 르네 데카르트

IF : 1

2023.06.10

아웃풋 꾸준한 대형랩의 경우 선배들의 제대로된 지도와 함께 교수님의 간접적 지도가 함께 들어갑니다.
논문 실적들이 모두들 일정히 꾸준히 쌓아지고 충분한 과제들과 인건비, 재료비의 지원아래 도전적인 과제들을 합니다.
신생랩의 장점이 많지만 그게 데이터 적으로 드러나지 못하고 베일에 쌓여있다는게 아쉽지만, 김박사넷에서 누군가에게 추천하기는 어럽다고 느끼고... 지원자 자신이 교수님의 열정을 느끼고 진학하는건 좋다고 봅니다.

2023.06.11

기계 로봇쪽에 지금 이런글을 쓸만한 사람들이면.. 서울대든 카이스트든 몇분으로 한정될텐데.. 조심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ㅋㅋ
카이스트의 경우에는 로봇신생랩들이 인기랩이 되는경우가 많죠. 최근 몇년간만 봐도 경기욱, 공경철, 황보제민 교수들 모두 오시자마자 선호도 높은 랩되면서 금방 인원수 채웠고, 휴보랩을 물려받았다지만 박해원 교수님 랩도 금방 자리 잡았죠. 그러한 시선분산 덕에 오히려 전통 로봇랩들의 선호도가 떨어지긴 했지만요.
서울대도 로봇랩들 보면 비슷한것 같습니다.
근데 이건 실적 잘나오고, 졸업하고도 갈 진로가 많고, 무엇보다 학생들한테도 선호도 높은 분야이기에 신생랩의 시너지를 많이 받는 것일수도 있습니다. 분야를 밝히기 좀 그렇지만, 학부친구들중 현재 선호도가 애매한 분야의 교수 밑으로 들어갔던 애들은 졸업도 늦고 스트레스만 상당히 받고있는 친구들 많습니다. 아주혹시 카이스트시면 주변 몇개의 예시만 보셔도 아실듯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6.11

결국에 신생랩이 좋고 안좋고 등등은 교수의 과제수주능력/학계내 평판/학생의 의지/교수의 의지/교수의 성품 등등의 변수가 너무 많아서 아무도 모릅니다. 많은 표본을 볼때 박사1기가 잘되는 경우가 많은건 저또한 공감하지만, 그만큼 박사1기들은 고생들을 많이하면서 잘배워나가기도 하고, 교수가 잘 이어준 경우라서 그럽니다. 근데 박사 1기라는 정말 특수케이스를 제외하고, 단순히 '신생랩'이라는 조건만 보면.. 저라면 도전정신 강하신분 아니면 저라면 인기랩처럼 검증된 랩 들어가라고 할것같네요.

2023.06.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로봇랩이면 그렇겟지… 이미 전공내에서(기계전기컴공 어디던) 핫한 분야인데 ㅋㅋ
그리고 김박사넷에 신생랩 피하라는 글 잇는만큼 추천하는 글도 많음.

2023.06.11

저는 외국인 교수님 신생랩에서 1호 박사생인데…. 교수님은 수업에 과제에 인맥 쌓느라 만날수가 없습니다. 모든 한국어에 관한 행정업무를 맡아서 하고 있고 연구는 봐주지 않습니다. 신생랩도 무조건 좋은건 아닙니다!

대댓글 3개

2023.06.11

신생랩이 무조건 좋지 않을 수 있다는 말에는 공감하지만, 외국인 교수님이시면... 좀 다른 요소들도 많이 작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네요 ㅜ

2023.06.13

교수님 자리잡고 인맥 쌓는 것 보조하느라 오히려 연구 지도 못 받는 것 공감합니다..

IF : 2

2023.06.13

외국인 교수면... 좀 다른 example인 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