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근무시간 가지고 싸우는 것 중에 제일 씁쓸한게

2024.08.20

19

2041

무엇이 되었든 하루에 12시간씩 시간을 쏟아붓는건 그 자체로 대단하고 자부심을 가져야 할 일인데

정작 하루 12시간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그걸 대단하지 않은 것으로 폄하하고, 그렇게 폄하시킨 기준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을 힐난하고 있다는 점임

그냥 적당히 점잖은 척 "저는 하루에 12시간씩 연구에 투자했고, 이렇게 훌륭한 성과를 냈습니다."라고만 얘기하면 주변에서 알아서 찬사를 보낼텐데

자신이 마땅히 받아야 할 존경과 인정을 스스로 내다 버리고 있는 것 같음




물론 대충 빈둥거리면서 12시간 채우고 있는 주제에 시간에만 집착하면서 다른 사람들한테 훈수두는 사람들한테는 하고 싶은 말도 없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4.08.20

그냥 본래 글 작성자가, 근무시간에 대해서 불만을 토로하고 쓸데없는 군중 심리를 만들고 싶어하는 것 밖에 없음.
그 글쓴이는 근무 시간에 불만 있으면, 그 연구실에 안 들어가면 됨.
"선택"을 본인이 했으면, "책임과 규정"이 따르는데 그걸 거부하고 있음. 따르고 싶지 않으면, 선택을 안 하면 됨.

대학원 근무시간에 대해서는 늘 이슈..거리는 아니어도 사람마다 의견이 다 다름. 주어진 시간동안 최대한의 효율을 내서 업무 후에 다른 일을 하고 싶어하는 워라벨 추구하는 자도 있을거고, 본인의 많은 부분을 희생해서 본인에게의 input을 늘리고 싶은 자도 있을 거고. 하고 싶은 대로 하면 됨.
중요한 점은, 대학원생 누구든지 "연구실"이라는 공동체에 소속된 공동체구성원임. 그럼 공동체에서 정한 규정 내에서 하고 싶은대로 하면 됨.
규정이 싫으면 본인이 나가거나 안 들어 가면 것이여.

대댓글 5개

2024.08.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동체 운운하는걸 보니

너는 나중에 성범죄저지르고 예전엔 원래 그랬다고 핑계댈 놈이네

2024.08.20

무슨 말을 하고 싶은지는 알겠는데, 규정과 관습은 구분해야될 듯 합니다.

2024.08.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랩은 관습이지 그게어떻게 규정이됩니까

2024.08.20

교수님께서 정하신거면, 그것은 규정이겠죠?

2024.08.22

컨택할때 출퇴근 10 to 10입니다 인폼했고 합의했으면 그게 규정이지 뭐 소꿉장난임?

2024.08.20

뭐 대단하지 않기 보다는, 나만 12시간씩 투자하는게 아니니까 그런거죠. 12시간 투자가 일반적인 세상에서 '난 12시간 투자해' 라는 외침이 갖는 임팩트는 0입니다.

대댓글 9개

2024.08.20

첫째로 저는 학생들 중에서 정말로 하루에 12시간씩 연구에 투자하는 학생의 비율이 그렇게 높다고 생각하지 않고, 둘째로 자부심을 느끼는데 굳이 남들과 비교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만약 말씀하시는대로 한국이 정말 12시간 투자가 일반적인 세상이라면, 그건 모든 사람이 대단한겁니다.

2024.08.20

모든 사람이 대단하지만 그 사람들 끼리 12시간 투자했다고 자랑하지는 않죠. 그 이야기를 하는겁니다. 내가 12시간 하면 내 주변인인 랩원들도 12시간씩 합니다. 즉, 12시간 하는 문화에 속해 있으므로 자랑할 일이 없다는 겁니다.

2024.08.20

그것을 왜 긍정적인 사고방식으로 바꿀 수는 없는건지 묻고 싶습니다. 제가 학위를 받은 연구실은 출퇴근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었지만 학생들 사이에서 암묵적으로 10to10을 규칙으로 삼고 있었는데, 학생들은 언제나 자부심에 가득 차 있었습니다. 서로 이렇게만 하면 1년에 탑 저널 한편씩 쓰겠다는 식으로 농담 섞인 격려도 주고 받았고요. 문화는 그 구성원이 만드는겁니다. 기꺼이 12시간 하는 문화에 속해 있다면, 그 문화를 만들고 지키고 있다는 점에서 당연히 자랑할 일입니다.

2024.08.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박사월급 200만원주는건 어떻게생각함?

2024.08.20

? 이미 긍정적인 사고입니다. 부정적이려면 12시간 하는것이 힘들거나 부당하다고 생각해야겠죠. 그러지 않는데 뭘 긍정적으로 바꾸라는 건가요? 스스로 열심히 하고 있다고 다들 생각하고 있습니다. 꼭 어디 게시판에 '아 나는 한국 직장인들과는 다르게 12시간 연구한다.' 고 자랑해야 긍정적 사고인가요?

2024.08.20

홉스/ 200이던 300이던 그 만큼 과제 했으면 받는거죠.

2024.08.20

교수님 찾아가셔서, 근무시간에 대해 의견을 표해주세요. 그리고 나서 김박사넷에 후기 남겨주세요.

2024.08.20

라부아지에/ 무슨 의미인가요? 말을 알아듣게 써주세요.

2024.08.20

김박사넷 분탕치는 작성자한테 적은겁니다 오해ㄴㄴ

2024.08.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하루에 열심히 공부한다는 애들 특징이 뭔줄 알아?

회사가면 주40시간 일하면서 더큰 보상을 앞장서서요구한다는거임

하루에 12시간 근무가 무리가 아니라고하는애들은 나중에 제발 근로규정 어겨도 문제삼지말아라 내로남불 하는넘들아

2024.08.21

꼭 연구 못하는 사람들이 하루에 몇시간 연구했느냐를 갖고 따짐. 딱 학창시절에 순공부시간 몇시간 했다고 자위하는 부류들과 같다.

대댓글 1개

2024.08.22

찐 연구 하시는 분들은, 하루에 얼마나 시간을 허비했나 따집니다.
머리속 내내 연구로 가득차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