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연구자가 되면 돈많이 버나요?

2023.08.21

12

1271

연구자라는게 명예만 있고 부는 없는거 같아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소심한 정약용*

2023.08.21

세계적으로 알아주는 정도면 돈 많이 벌죠.
국내에서도 SKP 교수 정도만 되도 산학과제 알아서 잘 줘요.
저는 5천만원짜리 산학 딱 한 번 해 봤는데, SKP교수 지인들 물어보면 산학도 한 2억짜리 하고 그러더라구요.

2023.08.21

연구 잘하는 교수님들은 그 기술로 창업을 해서 돈을 많이 벌기도 하고요 (물론 실패도 많이함)
그렇게 안하더라도 가족들이랑 돈걱정 없이 행복하게 살만큼은 벌죠

물론 세계적 연구자의 명성에 걸맞으려면 준재벌급 부를 누려야 할 텐데 그정도 눈높이에는 한참 못미칠테고요..

2023.08.21

스텐포드 빅가이렙에서 포닥한 교수님 말로는 그런사람들은 년에 수십억 단위로 번다고 하시던데 생각보다 적다고 말하셨음
옹졸한 미셸 푸코 *

2023.08.21

돈보다 가치있는 것을 얻을 수 있죠. 세상엔 돈주고 못사는게 많잖아요 (명예, 제자, 인적네트워크, 국가기여 등)

2023.08.21

기술이전, 창업 등을 하면 부를 쌓는것도 충분히 가능하죠. 정출연에서도 연봉은 코딱지고 결과적으로는 어차피 기술료 싸움이라 생각하는데요.
그냥 단순히 과제수주 많이하는 정도로는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물론 학교의 경우에는 막대한 부를 쌓는건 어렵겠지만, 그래도 꽤나 괜찮은 수입을 올리는건 가능하죠.

2023.08.21

뭐.. 기준이 어디시겠냐만.. 의사, 변호사하고 비교하면 들인 노력과 실력에 비해 한참 못하겠지만.. 같은 공학분야에선.. 사업가들 다음으론 벌겠죠..?
열정적인 피보나치*

2023.08.21

세계적인 연구자의 기준이 모호하긴 한데, MIT/스탠포드에서 교수하고 TED 같은데서 강연한 정도로 인지도 좀 있으면 대기업에서 사장급까지 올라갑니다. (실제 사례가 있음) 뭐 그정도면 돈은 부족하지 않을만큼 벌 수 있을 듯. 거기서 얼마나 버티느냐에 따라 부는 더 따라올거고요.

2023.08.21

원래 학계가 돈이 모이는곳이 아님. 돈을 벌려면 돈이 모이는 곳으로 가야함.

2023.08.21

제 생각에는 노력 시간 대비 보상이 아주 작은편이라 생각됩니다. 어지간한 교수보다 그아래 제자들이 회사 들어가서 버는게 더 많을거에요 보통은... 돈이야 뭐 많이벌수록 좋은거기는 하지만, 연봉이 어느정도 수준 지나고나면 생활자체는 비슷비슷하기때문에.. 돈 외에 다른 가치에 우선을 둔다면 교수도 좋은 직업인거 같습니다. 같이 일하는 교수님이 세계적으로 유명하신 분인데 늘 하시는 말씀이.. 니가 좋아하는걸 해라.. 네요. 반대로 보자면 연구자체를 즐기지 않으면 교수해서는 잘되기 어려울수 있다는 말이 아닐지 ..ㅋㅋ

대댓글 1개

2023.08.21

일례로 25살부터 취직해서 35살까지 연금에 적립한 사람 A와, 35살부터 연금에 적립하기 시작한 사람 B를 비교해볼때...
동일금액을 집어넣는다면.. A가 35살 이후에 한푼도 집어넣지 않고 B는 꾸준히 집어넣어도.. 은퇴시점 60세 혹은 65세에 놀랍게도 A의 은퇴자산이 더 크게 될수 있습니다. A도 계속해서 적립해나가면 은퇴다산은 2배 차이가 날수도 있구요.. 소득이 생기는 시점이 아주 중요한데 석박포 하고 조교수 시작하는 그 시점이 보통 10년정도 추가로 걸리는데다가, 연봉 자체도 인더스트리 하고 비교하면 낮을수밖에 없으니... 이상적인 경우는 석박하면서 상업적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와 기술을 개발하고, 그걸 바탕으로 투자를 받아서 회사를 만들어서 키워보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또한 자리잡을때까지 연애나 결혼도 쉽지가 않습니다. (눈물)

2023.08.22

세계적인 연구자의 기준이 궁금하긴 하네요. 학계에서 논문으로 알아주는 세계적인 연구자여도 꽤 벌겠지만 그 액수가 적을 것이고
인더스트리로 가서 고위직이 된, 연구보다는 상업적으로 성공한 박사들의 경우 극단적으로 많이 버는 사람은 정말 많이 받죠(리사 수나 허사비스 같은 사람들)

대댓글 1개

2023.08.22

대학원 커뮤에서 이런 얘기 하기 좀 그런데 제 개인적으로는 학계에 남는다는 것 자체가 그냥 돈을 못버는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박사로써 우수한 성과를 보인 사람이 뭐 사업이라고 잘한다는 보장은 없으니, 연구 재능과 돈 버는 재능이라는게 다르다고는 생각합니다.

제 전공은 cs분야인데, 물론 이 분야 박사들도 잘나가면 돈 잘벌죠. 반면 저 아는 분은 모바일 게임 만들어서 현재 회사 연매출이 수백억에 육박합니다. 돈 버는 능렭으로 후자가 굉장히 뛰어나다는 건 뭐 말할 것도 없지만, 사실 저런게 어떤 세계에 학문적으로 기여를 한다던지, 학문적으로 굉장히 어려운 기술을 공부해야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죠.

제 생각에 돈 벌려면 언젠가 돈 버는 일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한국에 박사 분들 중에서도 안알려져서 그렇지 사업으로 수십~수백억대 버신 분들 셀 수 없이 많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