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랩 선배들, 박사 마치고 대전 모 정출연 2군데 2명씩 갔고 (총 4명), 종종 보는데 입사한 후에 저널 논문 쓰는 분들 한명도 없더라고요. 원래 그런건가 아니면 해당 연구소만 그런건가.. 좀 궁금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3.09.05
정출연에서 포닥 중입니다. 제가 근무하는 곳은 논문을 (특히 높은 저널에 낼 논문을) 쓰길 적극 장려하는 분위기에요. 다만, 모든 정출연이 다 그런 건 아니니 잘 알아보시는게..
2023.09.05
정출연도 논문씁니다. 당연히 여기도 정량적 실적이 필요하기때문이죠
2023.09.05
연구소에서는 내가 논문을 몇편쓰든 이점은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과제 정량적실적 만족하는걸 연구실/과제쁀 아니라 본부/소 단위에서의 목표치를 혼자 독박할수도 있습니다. 그러고 얻는건 약간의 좋은 고가에다가 하등 쓸모없는 OOO연구원 OO상, 거기에 열심히한다는 이미지로 일넘기려는 책임들이 많아질뿐.. 그냥저냥 워라벨 지키면서 적당히 정량적수치만 맞춰주고, 특허나 기술이전에 더 중점두는게 훨씬 유리한 구조입니다. 그런 분위기가 싫어서 젊은데 논문잘쓰고 능력있는 사람들은 십중팔구 학교로 중간에 옮깁니다. 저도 나름 소 내에서는 논문 열심히쓰고 늦게퇴근하능거로 유명해소 소장님이 이뻐했는데, 3년안채우고 바로 학교로 옮겼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9.05
연구원마다 분위기가 조금 상이하지만, 대전에 있는곳들은 거의다 그렇고 키스트만 선임에게 실적압박이 좀 센편인것같네요. 그리고 연구원마다 추구하는 가치도 좀 다르고, 솔직히 add는 연구하는곳이 아니라 과제관리하는 곳이에요. 규모 큰 에트리도 솔직히 과제 수주후 위탁맡겨서 짬처리 다하는 과제관리하는 본부들 엄청많음.
2023.09.06
기술개발이 주 목표라 논문보다 특허나 다른 output 을 선호하는 경우가 쫌 있는듯 합니다. 예를들어 항우연에서 로켓만드는 팀이면 로켓을 잘만드는게 중요하기 때문에, 논문 쓸 시간에 뭐 로켓에 문제는 없나 보는게 훨씬 중요하겠죠.
2023.09.06
원래 처음가면 행정처리하는데 2-3년 걸리고 짬내서 논문 써야되요.. 게다가 갈데 없어서 일단 포닥으로 간거면 논문 쓰기 좋은 환경은 아님니다
IF : 2
2023.09.06
대다수 정출연의 존재 의의가 논문은 아닙니다. 국가 기술 축적과 산업 연계입니다. 학교에서는 성숙도가 낮은 기술을 개발한다면 이를 산업계에 전파하거나... 아님 항우연처럼 학교에서 다루기 힘든 로켓 개발하고 이를 발사하기 위한 거대 프로젝트를 수행합니다. 이런 작업들은 대부분 논문으로 연결 되지는 않죠. 물론 그 와중에 논문 작업이 좋아서 꾸준히 논문 쓰고 학계 활동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다만 논문 퍼포먼스 좋은 분들은 조직생활을 안좋아하고 대부분 학교로 이직하긴 하더라구요. 물론 공공기관인 정출연 특성상 연구도 안하고 프로젝트도 하청에 하청만 주며 대충 일하다보니 논문이 않나오는 분들도 있어요;;;
예외로 KIST같은 몇몇 정출연은 논문의 가치를 높게 따져서 논문 많이 쓰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IF : 1
2023.09.06
그렇다고 한다면, 입사할때 왜 논문 실적을 많이 보는거예요..? 전공 일치도나 과제 수주 실적(?) 네트워크(인맥)이나 산업체 경험이 더 중요할 것 같은데..
대댓글 1개
2023.09.06
입사 해보시면 알지만, 다들 10년넘게 같이 일할사람 찾는거라서 그사람 인품도 많이 봅니다. 그래서 다들 어떻게서든지 해당박사(학생) 어떤지 물어보기도 해요. 논문실적만 좋은데, 주변 평 안좋아서 아예 심사에서 떨군경우도 정출연에잇을때 많이 봤습니다. 그리고 전공일치도는 원래부터 많이봐요..
2023.09.06
키스트를 제외한 대형 정출연이라고 불릴만한곳들은 논문쓰는걸 싫어하는것 같음 나도 학위기간때 2년반 있었는데 40대 이후부터는 대부분 논문 쓰기 싫어함. 귀찮은덧도 있고 논문이 크게 실적에 도움이 안되기 때문임. 그래서 나같이 학위기간때 있던 대학원생들은 혼자 쓰는수밖에 없었지 ㅋㅋ
씩씩한 아이작 뉴턴*
2023.09.10
그러니 연구비 카르텔이라고 하는 것임. 제대로 된 연구도 안하면서 세금을 빨아먹고 사는 정출연. 그돈을 학교에 주면 더 결과 잘나올 듯
대댓글 2개
2023.09.10
논문 쓰는 게 꼭 제대로 된 연구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실제로는 전혀 쓸모 없는데 논문꺼리 된다고 헛돈 쓰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산업 현장에서는 가방끈 긴놈들 상종도 하지 말라는 말도 있으니까 잘 생각해보세요.
2023.09.10
정출연에서도 기업에서도 학교에 과제 주면 아웃풋은 기대하지 말라는 암묵적인 합의가 있습니다. 대체로 의미있는 결과는 없고 형식만 채우기 급급하며 그 돈으로 딴짓하는 데 씁니다. 보통 국가과제로 랩실 인건비 엔빵 치고 기업과제는 어디로 쓰는지도 모르는 연구실 치고 넘칩니다. 그게 진정한 연구비 카르텔 아닐까요? 계속 이런식으로 기업과제 뒷주머니 차면 세금은 엉뚱한데 쓰이고 과제 결과물도 질이 떨어지고 주머니가 풍족해지는 사람 말고 딱히 좋은 건 없을 겁나다.
2023.09.05
2023.09.05
2023.09.05
대댓글 1개
2023.09.05
2023.09.06
2023.09.06
2023.09.06
2023.09.06
대댓글 1개
2023.09.06
2023.09.06
2023.09.10
대댓글 2개
2023.09.10
2023.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