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포닥 지도교수가 악질이면 어떻게해?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10.09

13

2516

만약 포닥지도교수가 악질이라 추천서도 안써주고 레퍼런스체크도 안해주고 그러면 어떻게해?

하이브레인넷에 있는글서 그런글봤는데 너무무섭더라.

포닥지도교수의 추천서도 그 포닥의 인생을 흔들수있을정도로 강력한거야? ㅜ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3.10.09

다른곳 포닥가면 되지잉
다정한 루이 파스퇴르*

2023.10.09

그런곳에 포닥을 왜가누

2023.10.09

미국이면 치명타 ㅠㅠ

2023.10.10

맨윗분들은 참 말을 쉽게 하시네요.. 아마 포닥경험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또한 탑대학에 있었는데, 옆랩 대가는 논문은 잘쓰는데 포닥들 심리적 스트레스 장난아니더라고요.
매번 연구실내에서 경쟁붙이고(같은 주제를 꼭 2-3팀 경쟁시킨후 선택하심) 승리자가 다 가져가는 기이한 방식을 쓰던데.. 그러다보니 서로끼리도 엄청 경쟁하더라고요. (교수포함 대다수가 중국인이였음)
여기에서는 로저스랩 많이 가고싶어하죠? UIUC에 있을때부터 로저스랩 출신들(박사/포닥) 많이아는데, 결코 좋은소리보다 나뿐소리를 더합니다. 제난바오도 매한가지고요.
문제는 그런 PI랑 문제생기면.. 학계에서 영향력이 큰 사람과 마찰빚으면서 살아가기가 쉽지만은 않습니다. 해외 나가보시면 알지만 괴수들도 꽤나 많기도 해요.

대댓글 7개

2023.10.10

그리고 포닥을 여러번하는건 학계내에서 별로 좋게 생각안합니다. 꼭 쫓겨난것 같은 이미지가 좀 있어요. 래퍼런스 체크도 다 하고요.
마찬가지로 바이오나 물리학 같은쪽은 포닥을 좀더 오래하던데, 많은 이공계쪽은 포닥을 3년이상 하는것 또한 좋게 안봅니다. 그래서 국내로 리턴하든, 해외대학 자리알아보든 포닥2년차때부터 지원들 많이합니다. 이건 국내교수뿐 아니라 제 미국인 PI도 동일하게 말한바였습니다.
해외포닥 가면 다 행복할것같지만, 심리적 스트레스가 오히려 박사과정때보다 더 큰게 포닥입니다.. ㅎㅎ

2023.10.1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런데 궁금한게 포닥 PI의 영향력이 그렇게나 강력해? 한국리턴한다고해도?

2023.10.10

개인적으로 로저스랩은 못 들어봤는데, 제난바오 랩이랑 다른 유명 중국인 랩들 운영방식과 데이터 처리 방식에 대해 그랩 출신들로부터 익히 들어봄. 상당히 염려스려움

2023.10.10

맨 윗분인데 포닥 중인데요..
처음 갓던곳은 한창 코로나중이라 허송세월햇지만.. PI하고 문제생긴건 아니고 분야 최고 대가 교수님 (h>200) 랩으로 넘어갔습니다. 교수가 대가인거랑 포닥 실적이랑 비례하지는 않지만, 상대적으로 하이팩터 논문 쓸 기회가 많다는것 (자매지에서 invite도 옴..) 그리고 큰 논문실적이 없더라도 여기랩에 고용되서 경험쌓는거 자체가 큰 보너스인거 같네요. 교수님도 나이스 하셔서 평가도 좋게해주시고 여러모로 파지티브 사이클이 돌아가는듯..

이야기가 좀 샛는데 포닥 가서 PI가 인성이 별로든 사이가 틀어져서 추천서 못받을거 같으면.. 하루라도 빨리 다른곳 넘어가는게 답 아닐까여?

2023.10.10

포닥은 말 그대로 계약직입니다. 한예로 미국이 아니라 한국에서 포닥을 이곳저곳 5년간 떠도는사람이 있으면, 그사람에 대한 평이 어떨거라 생각하나요? 생각보다 결코 좋지만은 않습니다. 사실 마찬가지로 학계에서 해외포닥 또한 단순히 기관이나 PI이름을 듣고 대단하다고 평가하는사람은 극히 드뭅니다. 거기에서의 경험, 좋은실적을 좋게 볼 뿐이죠. 그렇기에 포닥기간이 길어질수록, 오히려 학계에서 멀어지는 경우도 비일비재합니다. 박사과정까지 좋은실적 뽑았다가, 포닥와서 2-3년있는데 실적 안나오는거면 누가봐도 '지도교수가 떠먹여줬었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겁니다.
이런 여러 요소들때문에,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포닥을 이곳저곳 떠돌거나, 실적없이 길어지기만하는건 좋게 생각하지는 않은듯 합니다. 물론 누가봐도 크게 업그레이드일 경우에는 모르겠지만 (한국이나 미국자대에서 졸업후 포닥하다가 미국 탑대학/대가랩으로 가는경우), 그냥저냥 떠돌게 되면 잡구하실때 분명 물어보실겁니다.
코로나 시국말씀하시는거면, 저와 비슷할때 포닥떠나셨던것같은데.. 솔직히 영주권 문제 등 미국에 거주하려고 노력하고있는상황이 아니시면, 지금있는곳에서 최대한 빠르게 논문쓰고 permanent job 구하시는걸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제가 정확한 상황을 모르니 오지랍일수도 있겠지만요)
그리고 PI영향력이 강하기보다는, 리턴후 학교로 오게되면(대다수 해외포닥이면 학교목표로하는 경우입니다) 어느정도 급되는곳은 추천서를 요청할겁니다. 그 추천서가 없는게 흠이 되는거겠죠. 그것 외로, 그 분야에서 괜히 트라블 크게 생기면, 학계는 생각보다 좁기때문에 논문제출할때 리뷰어로 만나게될텐데 결코 편하진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제가언급드린 곳이 제난바오랩은 아닙니다. 타분야 탑랩인데, 거기 PI는 정말 인성쓰레기라는 말을 심심치않게 듣게됩니다.

2023.10.10

마지막으로 그래서 혹시 여기에서 한국에서 교수 생각하고 미국떠나시는분들은
1. 만약 실적이 좋을경우, 좋은기관으로 가서(학진 1년과제 등으로) 1년~1년반 이내로 CV에 기관명 한줄 넣은상태로 돌아오는걸 추천합니다. 이경우 포닥가서 실적이 부족해도, 리뷰 중이라거나 아직 연구중이라는 변명이 먹힙니다. 실제로 포닥가자마자 바로 임용 이곳저곳 넣는사람도 많습니다.
2. 본인 실적이 조금 부족할경우, 포닥하면서 어떻게든 실적을 낸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3년을 초과하게 되면 취업시 시선이 마이너스가 될수 있기에(분야에 따라 포닥기간이 상이할수도 있습니다.), 2년차때부터는 최소한 이곳저곳 지원하는걸 추천함.
3. 본인이 미국에서 취업을 목표로하게되면, J1비자로 가서 J1 waiver신청하고 영주권 신청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기에, 어느정도 시간을 두고 여유롭게 한다.

또한 미국은 빅테크를 보셔도 알수있듯이 특히나 포닥 자르는것에 상당히 냉정합니다. 1년 계약후 과제수주 못해서 "너 그냥 가야겠다"인 경우도 정말 비일비재합니다. 학진등 국내 지원사업으로 들어온경우에는 기간 끝난후 연장 안해줘서 급하게 국내리턴하는 사람들도 많이 봤고요.
2-3년 계약해주겠다고 말하고 가도, 1년후 재계약은 어떻게될지 모릅니다. 그렇기에 여러가지 잘 판단후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2023.10.10

약간 말이 샜는데, 질문에 요약하면 포닥 기관옮기는건 안좋게 생각하는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아서, 잘 판단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저도 해외포닥2년차때 로저스랩에 합류할 기회있었는데, 주변(국내교수/해외교수 모두)에서 다들 "굳이? 오히려 나중에 흠이 될수있다. 지금 기관도 탑대학(t4)인데 그냥 남아서 실적쌓아라" 라는 말들을 워낙많이 들어서 안갔습니다.
물론 사이가 틀어져서 추천서 못받을것같으면, 가능하면 다른기관으로 넘어가거나 리턴해서 직장 빨리구하는게 당연히 좋죠. 근데 문제는 다른기관으로 넘어가거나, 직장구할때 전직장 추천서 요구하는경우가 대다수라는게 문제겠죠.

2023.10.1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 임용에 있어서는 국내 석박 후 미 포닥 다녀오면 포닥지도교수 추천서가 젤 중요함
기업 채용시에는 석박 지도교수 외엔 레퍼첵 잘 안 드가고

2023.10.10

교수 임용 시 엄청 중요합니다. 제가 그 고생한 1인 중 하나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