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이쪽 영역을 때려 치우고 다시 박사하러 3월 입학예정인데... 4년으로 무사컷 졸업한다고 한다면
경력+박사학위로 친다면 늦은 건 아니겠지..?
마음은 확정했는데 괜히 쫄리네.. 용기를 줘...ㅠ
P.S. 아.. 엄청 좋은 대학은 아니였지만... 난 학부 복수전공 / 석사 다른계열 전공해서 학위는 3분야고... /박사도 다른 분야로 해서 4번째 분야에 도전예정이야..ㅠ 아예 연관성이 없는 분야는 아니지만 들으면 신기해 하기는 함 ㅋㅋ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3.10.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친구 ㅎㅇ 난 아직도 석사야 ㅎㅎ
대댓글 1개
2023.10.11
ㅎㅇㅎㅇ!
2023.10.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나도 내년 9월 시작이니 반년늦ㄱㅔ 시작하네 ㅋㅋ 화이팅
대댓글 1개
2023.10.11
우리 힘내자...ㅠ
IF : 1
2023.10.11
저도 석사 마치고 2년 회사 다니고, 때려치고 30살에 전일제 박사 들어갔었는데, 한때는 박사병 걸려서 그렇게 박사를 하고 싶었는데, 막상 들어가니 갑자기 한동안 정신 분열(?)이 왔던게 기억나네요. 지금은 뭐 졸업하고 나름 자리 잘 잡고 살고 있지만, 전일제 박사 과정이 힘든거는 연구가 아니라, 남들 취업하고 결혼하고 돈모아서 아파트 사고 그럴 때, 나는 30대에 아직도 학생이라는게 가끔씩 현타가 제대로 오더라고. 나말고 모든 동료들이 다 그랬던듯. 30대 박사과정은 멘탈관리. 멘탈관리가 젤 중요한 것 같아요! 화이팅입니다!
대댓글 3개
2023.10.11
우려되는 부분 중 일부를 정확히 짚어 주셨네요..ㅠㅠ
2023.10.11
안녕하세요 저도 이제 대기업 2년차 회사원인데 때려치우고 30살에 자대 박사과정으로 진학하려고 합니다. 박사 진학 하시게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전 박사 딴 후에 해외에서 포닥하면서 연구원으로서 개인 연구한뒤에 정착하거나 혹은 귀국해서 정출연에 들어가고 싶은데(쉽지는 않겠죠..) 글쓴이께서는 박사 진학에 대한 뚜렷한 목표가 있으셨나요?
IF : 1
2023.10.12
석사때 너무 즐거웠어서 박사도 같을 줄 알았어요. 제가 꼭 추천드리고 싶은거는 너무 조급해하지 마시고, 논문은 천천히 쓰시길 추천드립니다 (정확히 말하면 졸업 임박해서..) 회사 다니시다 오시면 회사에서 했던 아이템으로도 응용해서 논문 쓸수도 있고, 아무래도 현업 경험이 여러모로 논문 주제 잡는데 도움되실텐데(저도 그랬고) 꼭 참았다가 졸업 임박해서 쓰시길 강추합니다.. (어차피 논문 유효 기간 3-4년이라 박사 저년차에 써도 나중에 실제 잡구할때 아무 도움 안됩니다)
2023.10.11
왜 갑자기 박사를 하려는 것이지요?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면서까지 박사학위를 딸 필요가 있어서 따는 것인가요? 아니면 단순히 박사학위에 대한 열망과 후회 때문에 따는 것인가요?
2023.10.11
저두 92년산 박사 7학기차 인데요. 첨에 박사할때 다들 말렸는데, 전 그때 안 했으면 아마 평생 후회했을 거 같습니다. 할 수 있음 고고
대댓글 3개
2023.10.11
저도 92년생인데, 선생님은 평균에 비해서 크게 안늦은 상황이라서 글쓴이분과 조금 다른것 같습니다. 본인이 어느정도 경제적 안전성이 있는지, 박사후 목표하는 진로가 어떻게되는지, 박사를 꼭 따야만 하는지, 가족등이 있는지, 박사후 취업시 나이가 어떻게 될지(긍정적으로 4년칼졸업이라 생각하지말고, 보수적으로 생각하세요) 등등 잘 따져보고 결정하시길 기원합니다. 늦은나이에 박사졸업하면 사기업 들어가기 힘들어지는데, 그런데 학계에 가기에는 경쟁력부족해서 포닥이나 연구교수의 늪에 빠진사람들 많이 봅니다. 물론 33살 박사시작 - 37~38 취득하시게되면 "정말 빠듯하게" 사기업 취업이 가능할정도라고 봅니다. 보통 39~40넘어가면 사기업 시장 진입은 어렵다는 말들이 있습니다.
IF : 1
2023.10.12
39살 너무 많습니다. 35살 넘으면 디메릿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요대학 병특 박사는 보통 29-30살에 취업합니다. 박사 신입보면 30-33가 제일 많고 35 넘으면 나이 때문에 디메릿 어느 정도는 각오 해야됩니다.
IF : 1
2023.10.12
ㄴ물론 위의 기준은 너무 잘나지 않은 적정 수준 박사 기준입니다. 1)본인이 국가대표급 스펙이거나 2)본인 전공이 수요>>>>공급인 상황이거나 하면 예외입니다.
2023.10.11
대댓글 1개
2023.10.11
2023.10.11
대댓글 1개
2023.10.11
2023.10.11
대댓글 3개
2023.10.11
2023.10.11
2023.10.12
2023.10.11
2023.10.11
대댓글 3개
2023.10.11
2023.10.12
2023.10.12
202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