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는 24시간이고 과제 보고서도 써야하고 한두개 남은 코스웍 수업듣고 과제/시험공부도 해야되고 교수님 관심있는 툴 공부도 해야되고 개념 공부를 저렇게 하면 1주일 내내 8시30분에 나와서 시간낭비 거의 안하고 11시까지 하다가 집가도
다음주 연구미팅때 연구 진척이 없다... 그러니 자꾸 공부를 하면 그냥 논문 정독도 아니고 쓱 흝어보거나 정리된거 한번 쓱 보고 모르는데 아는척만 는다. 키워드만 기억하고...
그렇다고 코스웍 탓 하기에는 연구에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만한 과목들이고...
달마다 돌아봐도 발전했다는 느낌이 안들고 세월이 너무 빠르다는 생각만 든다. 1년 뒤에 돌이켜보면 발전했을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10.21
나도 그런데.. 나만 그러는거 아니였구나
배고픈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3.10.21
ㅇㅇ그렇게 1년 뒤면 발전함. 거기서 또 1년뒤면 1년전보다 또 성장함. 그게 학위과정동안 반복되면 5년차때 나와 1년차때 나의 갭은 ㄹㅇ 하늘과 땅 차이.
처음에는 전부 이해를 못하더라도 조각 조각 지식의 퍼즐이 맞춰지더라. 처음 퍼즐 조각을 끼울때는 완성품이 어떤지 모르잖아? 어느정도 채우고 나면 굳이 다 안 끼우더라도 완성품이 보임.
이런 노하우를 깨달으면 다른 분야를 공부할 때도 굳이 완성품을 맞추지 않아도 50프로만 해도 완성품이 보임.
2023.10.21
위에 댓글에 어느 정도 공감하나, 현실은 논문의 양과 질 입니다. 유튜브/미디엄으로 공부하시는 것에 시간을 할애 하시는 것은 좋으나, 이것을 메인으로 잡지 마시고 (사이드로 잡으시고), 메인으로 작업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연구성과 1~2개는 매년 잡으셔서, 논문을 꾸준히 쓰셔야 향후 나를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 아무리 관련된 공부를 많이 해도 내 domain에서 적용 못하고 단순히 재미있다는 이유로 선행 연구를 "따라 하는 수준"으로 시간을 너무 많이 쓰신다면, 지도 교수님께서는 이해를 못 하시고, "왜 진전이 없니?"의 뉘앙스의 질문을 많이 받으실거에요. 이제는 내가 "원하고" 또는 "배우고 싶은" 것만 배울 수 있는 시간은 부족합니다. 시간을 현명하게 쓰시고, 교수님께 자주 보고드리는 습관을 들이시면, 내가 어디에 어느 정도 시간을 써야 하는지 체계가 잡히실 겁니다.
2023.10.2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능력이 안되면 포기하는 게 맞습니다.
2023.10.21
공부할 시간 모자라고 답답한건 이해가는데, 뭘 공부하고 있는건지 이해 안가는 포인트가 많아서 코멘트 달고감. 난 CS소속도 아니고 거긴 돌아가는게 워낙 달라서, 그쪽이면 모르겠음.
기본적으로 윗윗 댓과 비슷한 얘기인데, 유튜브는 textbook 수준의 내용이 이해가 안가서 OCW같은 additioanl한 과외가 필요한거라면 모르겠는데, 그 이후로는 이해불가. 미디어도 뭘 얘기하는건지 모르겠는데, 기본적으로 nature 같은데 나오는 article 이외의 introductry article들이나 각 학회지의 논문외 출판물들 (어느분야인진 모르겠지만 우리쪽은 physical review focus나 physics today, C&EN 같은거) 얘기하는거라면 이런건 할거 다 하고 시간 남으면 보는 심심풀이 땅콩에 가깝지(얘들은 어느정도 짬 붙으면 그냥 시사주간지 보듯이 후루룩 읽어지는 애들임), 자기 분야 논문 스터디나 코스웍같은 중요 기초 자료가 아님. 이런걸 다 보고 나야 논문이 이해간다면, 기본기 부족이니 더욱 더 기본적인 논문과 코스웍에 더욱 더 집중하는게 맞음.
공부 방법에 고민좀 해보시길. 학위과정은 프로가 되는 과정이고, 엉뚱한짓 하는건 공부가 아님.
대댓글 2개
2023.10.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 CS쪽입니다. AI 쪽은 교수님들, 구글 딥마인드에서 직접 본인들이 쓴 코어논문들 소개영상이 거진 유튜브에 올라옵니다. 미디움은 마찬가지로 주로 CS쪽 인증된 전문가들이 개념 등 정리하거나 본인 연구/논문 소개하는 플랫폼입니다.
기본기 부족 통감합니다. 우선 오늘은 코스웍 할일부터 열심히 해야겟네요.
2023.10.22
CS쪽 인증된 전문가들만 있는건 아닙니다. 제가 미국에서 데싸 학위 받을때도 신뢰하지 말라는 사이트 중 하나가 미디엄이었어요.
2023.10.22
정말 조각 조각 나중엔 퍼즐이 맞춰짐. 그리고 내공이 쌓이면 도 빨라짐 잘하고 계심
2023.10.22
좋은 글에 회원가입까지 하고 갑니다.
스스로 반성하게 만드네요.
고작 지거국 학/석사 졸업한 제 스스로가
안일하게 살아왔던건 아닌지 말입니다.
2024.09.26
+연구비 처리, 그밖의 행정일, 출장, 재고파악, 학부생 교육 등등이 더 있네요.. 저도 이번학기면 코스웍이 끝나는데 지치네요.. 저도 저희랩의 다른 학생들처럼 내 일만 하고 싶어요.. 박사과정이 원래 다 이렇게 잡무가 많은걸까요..?
2023.10.21
2023.10.21
2023.10.21
2023.10.21
2023.10.21
대댓글 2개
2023.10.21
2023.10.22
2023.10.22
2023.10.22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