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기브앤테이크

2023.11.29

10

1665

최근 김박사넷 내에서 인간관계 (협업 등) 관련 글이 많이 올라오는 것 같습니다.
(ex. 선배가 부탁하는 잡무는 대충 한다. 본인의 실적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일은 최대한 회피한다.)

저는 국내에서 박사를 마친 후 미국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는 사람으로, 이와 관련 내용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해볼까 합니다.
(제 이전 국내 박사 미국 취업 관련 글입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39301 )

저는 개인적으로 애덤 그랜트라는 저자의 기브앤테이크라는 책의 내용을 매우 좋아합니다.
기버: 남에게 퍼주는 성향
테이커: 남에게 받기만 하는 성향
매처: 받은만큼만 돌려주는 성향
이들을 통계적으로 성공한 그룹과 실패한 그룹을 나누어 보았는데, 이때, 실패한 그룹에 속한 사람들의 성향은 ‘기버’ 였다고 합니다. 반대로 최상위 성공한 그룹의 사람들의 성향 역시 테이커나 매처가 아닌 '기버'였다고 합니다. 이 두 그룹의 차이점으로, 성공한 기버들은 테이커들을 멀리하고, 도와줄 사람들만 돕는다는 것이었다고 합니다.

예시를 한번 들어봅시다. 연구를 하다가 막히거나 질문이 있을 때, 도움을 청하면, 같이 고민하고 도와주는 선배가 있습니다. 이런 도움을 주는 선배가 부탁하는 잡무를 여러분은 대충 처리하시겠습니까? 확실하게 처리하시겠습니까? 대충 처리했을 시, 이 분이 성공한 그룹 성향의 ‘기버’ 라면, 이후 여러분을 도와줄 확률은 극히 드물 겁니다. 반면, 다른 선배의 경우, 도움을 청했을 때, 그건 너가 고민을 해야지, 그게 연구지,, 요즘 것들은 좀만 안되면 다 도와달래,, 라는 말로 하나도 도와주지 않으며, 잡무를 떠넘기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런 선배의 잡무는 어떻게 처리하시겠습니까? 여러분이 도움을 줬다고 해서, 이 사람이 향후 여러분의 연구에 도움을 줄 거라고 생각하기는 힘들 겁니다.

위의 논쟁에 대해, 혹자는 ‘나중에 선배가 되면, 본인들도 후배들 시킬 텐데, 잘 처리해야 보고 배울거 아니냐..’ 라고 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저는 이런 사람은 테이커라고 생각합니다.) 왜 후배의 후배에게 받으라고 하는 거죠? 본인은 후배를 돕지 않나요? 최소한 ‘모르는 거 물어봐서, 도와주고 시간 뺐었으면, 이 정도는 조금 도와줘야지,,’ 정도라면 이해하겠습니다. 제가 도와준 후배가 저한테 저렇게 한다면, 저는 조용히 손절하겠습니다. 도움을 필요로 하는 후배들을 돕고, 후배들에게 도움을 받고, 그렇게 기버들간에 연결고리가 생긴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런 연결 고리들이 네트워킹이라고 생각합니다. 당연하게도 간혹 저에게 주변에 괜찮은 사람 없는지에 대한 채용 관련 연락이 오면, 서로 돕고 도왔던 기버들을 소개하게 됩니다. 남들에게 받아먹고 뜯어내려고만 해서는 실제로는 여러분이 원하는 만큼 얻어내기 쉽지 않을 겁니다. 그렇다고, 남들을 도와주면, 나한테 다 돌아오겠지,, 라는 생각으로, 호구가 되어서도 안됩니다. 테이커에게 걸리면 쪽 빨아먹힙니다. 한번 고민해 보세요,, 어떤 누구와 이러한 관계를 만들고 서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 같은지를요..


저는 석박통합 6년 동안, 장단기 프로젝트 책임 3년+, 랩장 1년 했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 랩장등 연구실 업무들이 논문 실적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는 장단기 프로젝트로 회사들의 일하는 시스템을 어느 정도 알게 되었고, 다른 회사에서 인턴으로 일을 하게 되었을 때, 쉽게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저희 회사는 인턴에게 많은 시간을 주지 않았습니다. 정말 짧은 시간 내에 회사에 적응하고, 성과를 만들어 냄에 있어서, 논문 작성만 하던 사람이 회사의 일하는 시스템에 녹아들고 쉽게 따라갈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당시 인턴한 외국 기업에서 정직원 오퍼 받아 현재 미국 거주중입니다.) 또한 랩장 당시 국내의 많은 기업들에서 리크루팅을 왔었고, 랩장인 저를 통해 담당자들이 미팅을 잡았고, 담당자들과 다이랙트로 연락할 수 있는 기회들을 얻었습니다. (랩장 당시 산학장학생에 선정되었습니다. 해외 취업을 하게 되면서 받은 장학금은 다 뱉게 되었지만,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내용들은 눈에 보이는 것들이 아니다보니, 저에게는 너무나도 도움이 되었던 것 들이지만, 무조건 해라, 라고 말은 못하겠습니다. 하지만, 어떤 형태로든 도움이 될 수도 있는 일인데, 연구실의 모든 사람과 척을 지어가며, 내가 안하면, 남이 하겠지,, 라는 생각으로 혼자 고립되지 말라는 말을 하고 싶습니다. 어쩌면, 좋은 기회를 잃을 수도 있습니다. 프로젝트로부터 새로운 영감을 받을 수도 있고, 같이 일한 동료들이, 주변 기버들이 여러분의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3줄 요약
- 받기만 하는 것이나 주기만 하는 것은 좋은 인간관계 형성이 아닐 수 있다.
- 인간 관계는 일방통행이 아니라 쌍방통행이고, 서로 돕고 돕는 것이 큰 시너지를 낼 수도 있다.
- 기브앤테이크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11.29

?

대댓글 2개

2023.11.29

6개월만에 글 다시 쓰는데, 닉네임은 왜 바뀐건지 모르겠네요,, 댓글 삭제는 어떻게 하는지도 모르겠구요..

2023.11.29

닉넴은 랜덤으로 바뀌고, 댓글 삭제는 안돼요.
어쨋든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2023.11.29

도움이 되었어요.

2023.11.30

좋은 글 감사합니다
화난 레프 톨스토이*

2023.12.01


후배는 천성 받은만큼 돌려주기가 힘듦니다. 가끔씩 보면 늦게 크는 후배들은 4-5년 후에 도움을 주더군요.
그럼에도 받아먿고 배째는 후배들은 간혹 보이고 대처는 각자 알아서 하면 되지만, 더 큰 문제는 선배가 테이커일 경우 한국에서는 대처가 힘듦니다

대댓글 1개

2023.12.01

공감합니다. 후배가 한명의 연구자가 되는동안은 시간이 걸리겠지요.
하지만, 도움은 엄청나게 다양한 방식으로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논문 게제의 경우, 1저자와 교신저자(교수) 로 이루어진 논문보다, 더욱 많은 연구자들로 이루어진 논문의 수가 많습니다. 논문의 실험, 이론과 증명, 이들의 논리적 흐름, 모순된 점은 없는지, 많은 연구자들에게 선보이기 전에, 필터링을 해줄 수 있는 몇 없는 동료들일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과제) 의 경우, 연구가 아닌 개발인 경우가 많고, 학사학위를 가진 수준에서 충분히 1인분을 할 수 있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윗사람들이 테이커인 경우는 대처가 힙듭니다. 교수가 테이커라면, 정말 답이 없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연구실에도 당연히 테이커들은 존재했고, 한 번씩은 부딪히게 되더라고요. 가스라이팅과 정치질까지 겸비하여, 도와주는 걸 당연시 하여 어느 순간부터 거리를 두고 도움을 거절하니, 연구실 내에 쓰레기가 되어 있더군요. 몇개월동안은 조금 힘들더군요.. 하지만, 저와 비슷하게 당한 주변 동료 후배들, 주변에서 지켜보던 다른 선배 동료들, 언젠가는 다 알게 되더군요.

2023.12.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에 계시니 요즘애들 어떤지 잘 모르시나 보네요..후배는 그냥 생까는게 답입니다

대댓글 2개

2023.12.01

놀랍네요.
21년 박사 졸업인데, 2~3 년만에 그런가요?? 당시 신입들과도 간혹 연락했는데, 그런걸 별로 못느껴봤던거 같아요..
조금 안타깝네요, 동료가 없으며, 배틀로얄을 하는것 같은 생각도 드네요.. 같은 분야에 연구를 하는 동료가 아니라, 적으로 대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모두가 힘을 합쳐 세계적인 무대에 여러분들의 연구 결과들을 보여도 학계에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데,, 서로 견제하며, 독고다이로 세계적인 무대에 얼마나 영항을 끼칠지 모르겠네요.

2023.12.01

추가로 최근 서울 중상위급 교수 자리가 나서 지원해보라는 연락을 받아, 최근 연구실 지인들, 여러 분위기들 살펴보기는 했습니다. 우물 안에 보이는 세상이 전부가 아닙니다.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이 있고, 다양한 후배들이 있습니다. 한두명의 테이커를 보고 모든 후배를 일반화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