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 AI 탑티어

2024.02.29

5

2087

석사과정 중에 AI 분야 (CV,NLP) 탑티어 논문을 주저자로 accept 되는게 아직도 의미가 큰가요?

최근에 탑티어 논문 제출 편수도 많아지고 그에 따라 accept 되는 논문도 많아진 상황이라 점점 필수 조건이 되어가는게 아닌가 싶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4.02.29

당연하죠..

2024.02.29

잘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해도 석사중에 탑티어 쓰는 사람은 드묾
이기적인 스티븐 호킹

IF : 1

2024.02.29

글쓴 분 말대로 너무 수가 많아지다보니, 요즘은 다루는 세부 토픽이나 논문의 진짜 유용성이 훨씬 중요해졌다는 느낌이 듬.
그리고 슬픈 사실은 대부분 그런 핵심 주제는 더 높은 레벨 대학에서 훨씬 꽉 잡고 있음. (그래도 accept 가치는 여전히 있음)

김박사넷에선 뭐 매년 몇편 이러는데 P나 Y에서 몇몇 랩 보면 그냥 딱 1편, 많아야 2편 찍고도 빅테크 인턴, Visiting Researcher 여기저기서 오퍼받고 함. '내 논문을 그 쪽에서 아느냐?'가 훨씬 더 중요한 포인트라.

2024.02.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당연히 의미 존나 크죠. 일단 온갖 연구직 구직 공고에 이미
탑티어 학회 있어야 된다고 명시된 곳이 태반인데....

2024.02.29

Skp에서도 석사때 탑티어 단독1 저자는 여전히 드문듯. 근데 박사까지 할거면 그마저도 큰 의미는 없는거 같네요. 단지 리뷰어로 먼저 참여하고 해외 인턴십 최소 조건이 빨리 채워지는것 뿐이지 그걸 잘 활용못한다면 결국 박사때 쓰는거랑 큰 차이 없는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