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정신건강 상담 전화은 전국 어디서나 1577-0199로 전화하여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68 - 정말 대단하십니다. 똑똑하시니까 이런 글을 썼을 때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할지도 아시겠죠.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41 - 노벨상 꼭 도전하셔서 구국의 영웅이 되시길 바랍니다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20 - 요즘 조현병 환자들이 왤케 많은것 같지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19 - 미박, 미포닥 마치고 갓 임용된 교수님 아래에서 학위 받았는데 지도교수님 미국 네트워크가 아직 활발하셔서 지도교수님 인맥으로 미국 포닥 나왔네요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7 - 젊은 교수님이시면 젊으시니 체력이 좋아서 빡세게 일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의욕이 넘치셔서 성과를 속도감있게 낼 수 있구요. 교수님 은퇴까지 엄청나게 많이 남아있으니 사회에 진출한 이후에도 교수님 후광을 업을 수 있습니다. 이건 매우 큰 장점이에요.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8 - 스스로 셋업해봤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4 - 홈페이지 등 이력 찾아보니,
석박 통합 4년 반 + 포닥 2군데서 1년 반
도합 6년 넘는 동안 1저자 15편인데... 이게 불가능하다고 생각되지는 않네요..
언론에서 과장한다고 2저자 3저자 그이상 전부다 끌어와서 70편 썼다고 어그로 끌어서 그렇지..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22 - 이런건 학교 행정단에서 알아서 답변이 되게 해야지, 개별 교수까지 넘어오는 시스템이 문제임. 이러니 우리나라 노벨상이 안나오는거. 용역준 의원한테 시스템 개선이나 시켜달라고 하삼.
국가 R&D 성과조사하면서 느낀점
14 - 이 나라는 논문 갯수로 평가하는 수준의 연구 문화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17 - 공동1저자여부도 찾아보세요 ㅋ 다시 카운팅 ㄱㄱ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12 - 마찬가지로 형식적인 답변만 들을듯요?
실명 걸고 지도교수님 단점 얘기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컨택 전에 연구실 대학원생 분한테 미리 메일 보내봐도 되나요?
13 - 이래서 실적이 잘 나왔구나...
UNIST 현실 (feat. 폭풍 1박사반점)
12
30대 중반에 파트 타임 박사과정 시작한 경험담
2024.04.15

30대 중반에 으레 하는 것들, 예를 들어, 결혼, 출산, 육아, 집 장만, 미래의 원래 직업의 커리어 등을 내려 놓는 것
그리고 가장 힘들었던 건 어렸을적부터 쌓아왔던 부모님의 기대와 환상을 대학 졸업 이후부터 꾸준히 실망시켜왔으나 이제 너무나도 연약해진 부모님을 한번더 실망시켜야 하는 점.
근데 막상 시작하고 나니까 정말 아무 생각이 안듭니다.
이전의 죄책감도 불안도 잘 생각이 안납니다.
과제니 시험이니 미팅이니 허덕허덕이면서 그저 오늘을 살고 있습니다.
10살쯤 어린 친구들이지만 학교 생활 얘기로 힘듬을 토로하며 그럭저럭 친해지고 있습니다.
직장인에서 학교로 돌아가니 별게 다 새롭기도 합니다.
회사에서 배우기로 돈 주는 사람이 하고 싶은걸 돈 받는 사람이 해줘야 하는게 자본주의의 룰이라던데
내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하는데 돈을 내지 않아도 된다는것이 새롭기도 하고
교수님께서 미팅도 해주시고 가끔 논문도 물어다 주시고 챙김받는 느낌이라 어색하지만 나쁘지 않습니다.
글쎄요. 졸업할때쯤이 되면 두고온 것들이 생각나려나요.
저의 선택이 정답은 아니지만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신분들께 뭐 이런 경우도 있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30대 후반 만학도의 푸념.. 김GPT 80 14 18888-
102 40 7838 -
47 34 17131
30대 중반인데 박사과정 받아주나요? 김GPT 4 10 2348-
13 11 5797 -
16 14 9802 -
14 6 5214
늦은 나이에 박사과정 입학 ??? 김GPT 17 19 3955
30대중반 박사 김GPT 3 17 4774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202 23 60796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명예의전당 1204 79 238124
(장문) 박사과정은 낭만이다 명예의전당 98 13 1160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여초는 절대 가면 안되는 이유와 남자들의 대처방법
57 -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250 -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209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21 - 학술적 파시즘이 보이는게 걱정됩니다.
39 - 지거국 3학년입니다 서울대 교수님께 석사 제의?를 받았습니다
36 - 연구실 내 인간관계가 너무 힘드네요
10 - 졸업했으면 좀 나가주세요
36 - 환경쪽 석사로 취업하려니 막막하네요
7 - 국가 R&D 성과조사하면서 느낀점
16 - 서울대학교 의과학과
7 - 님들 이거 한 번 보셈
5 - UNIST 현실 (feat. 폭풍 1박사반점)
2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하위권 지거국에서 학점 4.4 졸업이면 어느 대학원까지 가능한가요?
23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7 - 임용된지 얼마 안된 교수님 연구실 장점이 뭘까요?
17 - Science 저널에 투고 후 현재 상황
10 - 부산대 대학원 생각 있습니다
13 -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35 - 포스텍 AI대학원 합격했네요..!
9 - 정출연 선임 무물
10 - 25학번 지잡대생인데 대학원 권유 받았습니다
9 - 해외포닥이라고 다 존중받아야 하는거는 아닌듯
11 - 석사생에게 과제나 프로젝트 안 주는 연구실
9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편입니다.
15 - 제가 너무 천재인 것이 고민입니다.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여초는 절대 가면 안되는 이유와 남자들의 대처방법
57 -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250 -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209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121 - 학술적 파시즘이 보이는게 걱정됩니다.
39 - 지거국 3학년입니다 서울대 교수님께 석사 제의?를 받았습니다
36 - 연구실 내 인간관계가 너무 힘드네요
10 - 졸업했으면 좀 나가주세요
36 - 환경쪽 석사로 취업하려니 막막하네요
7 - 국가 R&D 성과조사하면서 느낀점
16 - 서울대학교 의과학과
7 - 님들 이거 한 번 보셈
5 - UNIST 현실 (feat. 폭풍 1박사반점)
2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74 - 미국 Top 30 기계/로봇 석사과정 합격 가능할까요..?
29 - 다이렉트 박사 현실적 가능성
11 - 미박 지원서를 몇 개를 써야할 지를 모르겠습니다
22 - 미국 유학 외 선택지?
15 - 하위권 지거국에서 학점 4.4 졸업이면 어느 대학원까지 가능한가요?
23 - 살면서 저보다 똑똑한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37 - 부산대 대학원 생각 있습니다
13 - 논문 70편 쓰고 교수 임용되신 분 구글 스콜라 들가서 일일히 세어봤습니다.
35 - 정출연 선임 무물
10 - 해외포닥이라고 다 존중받아야 하는거는 아닌듯
11 - 석사생에게 과제나 프로젝트 안 주는 연구실
9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편입니다.
15

2024.04.16
202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