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AI 세계 대학 랭킹 순위 (한국 TOP5)

2024.08.01

32

24831

1. KAIST(세계 5위·아시아 1위)
2. 서울대(세계 65위·아시아 13위)
3. 포항공대(세계 90위·아시아 18위)
4. 연세대(세계 144위·아시아 31위)
5. UNIST(세계 166위·아시아 41위)

2023년 기계학습 주요 학회인 NeurIPS, ICML, ICLR에서 발표된 논문 수를 기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800032?sid=105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2개

2024.08.01

세계 5위는 너무 말도 안되지 않나요 ?

전 세계 석학들이
카이 AI 대학원을 진학해서
카이 AI대학원에 한국인이 들어가기는 힘들어야
맞는 말인거아닌가요

대댓글 12개

2024.08.01

ㄹㅇㅋㅋ

2024.08.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싱가폴 난양공대나 홍콩 명문대, 도쿄대, 아시아 명문대도 유럽이나 중국 애들은 많은데 미국 애들은 안옴
그말인즉슨 카이스트가 세계 1등을 해도 미국애들은 안옴

2024.08.01

연구성과 세계5위가 왜 말이 안되나요? 그리고 석학이 왜 대학원에 진학합니까 본인 연구 해야죠

2024.08.01

석학의 의미를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었나 봅니다.

무튼 세계5위 정도면 도쿄대, 칭화대 같은 학부 출신들이 카이AI를 지원하여
카이 AI랩실에 한국인이 거의 없는 랩실이 될 정도여야 맞는 말이지 않을까요?

IF : 2

2024.08.01

순위는 부질없다 싶긴한데 카이스트 ai대학원 교수진 실적이나 네임벨류 보면 분명 상위권 맞음

2024.08.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 ai에 중국 명문대 출신 애들 좀 있는데 혹시 대학원이 어디신지?.. 지잡대라 잘 모르시는듯 ㅎ

2024.08.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본 도쿄대 애들이야 미국도 잘안가는건 알테고 ㅎㅎ열등감인가 이런게

2024.08.01

학부생인데 제가 봐도 지잡대라는 표현은 정상인이 쓸 말은 아닌거같고..
본인의 성품을 다 알려주는 것 같네요.
저는 저렇게 크지 말아야지 하게 되네요.

세계 5위라면 카이 AI분야 학부생들은 유학갈 기회가 있어도
국내로 진학하는게 훨씬 좋겠네요 하하

2024.08.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생이 대학원 멤버들 국적, 수준을 아는척하던거였네 ㅋㅋㅋ 진짜 웃기다
이런 애들이 넷상에선 자기가 박사니 석학이니 깝치는거구나

2024.08.01

분야별 세계 대학 논문 순위 보고 대학원 진학하는 사람이 있기나 한지요..

2024.08.01

저도 카이스트 학석박인데 예전에 지도교수와 new faculty(NUS출신)이 제가있던자리에서 한말이 기억납니다.
우리나라도 예전에 세계적인 석학들을 높은 돈을 주고 모셔오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합니다. 근데 지금은 그 석학들중 남아있으신 분이 없죠.
반대로 싱가폴은 빠른시일내에 좋은 연구진들이 오고, 또 유지하고 있죠.
그 이유로 두분모두 "언어장벽"을 뽑았습니다. 싱가폴/홍콩은 모두 영어만 잘해도 모든생활을 용이하게 할수있습니다. 또한 꽤나 다국적인 사람들이 많기도 하죠.
반대로 일본/중국/한국은 모두 다들 그나라의 언어를 사용하지 못하고,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살아남기가 어려운 구조입니다.
저도 지금 미국t3에서 포닥을하면서 미국faculty job을 지원해보려 하는데, 아시아권에서는 홍콩과 싱가폴은 오픈한 상태입니다. 물론 한국도 원하는수준의 대학임용이 되면 당연히 돌아갑니다.
그게 일본이나 중국대학보다 싱가폴/홍콩이 좋은평가를 받기때문일까요? 절대아니죠. 유일하게 영어라는 언어를 사용할수잇는 국가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는 유럽은 생각안하지만, 독일(maxplank 제외)/스위스/프랑스/네덜란드 등에 되도 언어/문화권때문에 크게 고려할것같습니다. 반대로말하면 이게 미국이 전세계 인재들을 포용할수있는 정말 큰 이유라고 생각도 하고요.
저도 여러가지 ranking의 평가가 주관적이지 않다고 생각하지만, 정량/정성적인 실적평가에서 좋은순위에있는건 분명 좋은 시그널입니다.
하지만 그게 세계적인 석학들이나 학생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된다라는 보장은 할수없죠.

2024.08.02

*랭킹의 평가가 주관적이라 생각하지만..

2024.08.01

이런거 쳐 따질 시간에 연구를 조금이라도 더 하자 제발

2024.08.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영향력 있는 논문수도 아니고 그냥 온갖 잡 논문 수 다 더한거죠. 한국은 패스트 팔로우는 잘하니깐 탑티어라도 상위 25 ~ 30% 이면 붙는 포스터에서 왕창 논문 수 늘리는거고. 이런 랭킹은 한국인들만 매깁니다. ㅋㅋ 아무도 한국이 ai 세계 5위라고 생각안할 듯

대댓글 4개

2024.08.01

그냥 그렇구나 하면 되지 뭘 또 확인도 안된 사실가지고 까내리시나요. 패스트 팔로우던 뭐던 국내대학이 탑티어 학회에 논문 많이 내면 좋죠.

2024.08.02

ㅋㅋㅋㅋㅋ 진짜 열등감 지리네

2024.08.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친... 얘는 진짜 한국이 5위라고 생각하고 글 올렸나보네 ㅋㅋ

2024.08.03

AI 3대 학회 논문 수 기준으로 22위 -> 5위로 올라온 것은 대단한거임

2024.08.01

포스텍이 개쩌네ㅋㅋㅋㅋ 학생수가 카이스트의 1/5 수준인데 아시아 18위만큼 논문 뽑히는게 신기함

2024.08.01

이야 유학 괜히 왔네 ㅋㅋㅋㅋ

2024.08.01

아니 고컴은?

2024.08.01

저 순위에 제가 일부 공헌했다는게 딱히 자랑스럽지는 않네요. 빅테크 가려니 논문 한두편 보다는 각 논문이 얼마나 임팩트 있는지가 더 중요하게 느껴집니다.

대댓글 3개

2024.08.02

글쎄요.. 빅테크가 미국에 있는빅테크를 말씀하시는거면, 오히려 네트워킹등이 훨씬 중요합니다. 미국 유수대학들에서는 phd 학생들이 인턴십등으로 그런 기회를 정말 쉽게 얻을수 있는것도 크고, 내부과제를 하면서 네트워킹을 쌓는것도 유리할뿐이죠.
저는 포닥중이지만 CS/ECE쪽에서 있는데 (저는 러닝관련 연구가아닙니다), 여기에서 빅테크 가는 친구들중 엄청나게 임팩트있는 논문쓰고 간 애들 거의 없습니다. 대체로 인턴하면서 얻은 네트워킹 활용해서 졸업과 동시에 취업하죠..
물론 임팩트 있는 연구했으면 빅테크 가는게 쉬운건 정말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만, 그렇게 가는것보다 인턴십/네트워킹으로 가는게 훨씬 일반적이라 생각되서 말씀드립니다.
비슷한예시로 미국유학도 석사때 빅저널 써서 오는것이 당연히 가장 임팩트있지만, 제 주변에 한해서는 대체로 그냥저냥 섬머인터십이나 visiting 으로 와서 좋은모습 보여주고, 큰실적없어도 그대로 진학하는경우가 훨씬 많은것과 유사하다고 해야할까요.

2024.08.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글쎄요.. 흔한거와 중요한거는 구분해야죠. 전 미국에서 박사 포닥했지만 여기서는 논문의 임팩트 굉장히 중시합니다. 대가들도 항상 톡에서 한 편의 임팩트있는 논문이 여러편의 그저 그런 논문보다 너의 커리어에 훨씬 지대한 영향을 끼칠거라고 강조하구요. 네트워킹/인턴쉽을 통해 빅테크에 가는 경우가 흔하지만 그게 임팩트 있는 논문을 쓰는 것보다 더 중요해서는 아니죠. 첫문장에 네트워킹이 훨씬 중요하다고 쓰셔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2024.08.04

그 인턴자리가 학회에서 논문보고 연결되는 경우가 왕왕 많다는걸 모르시는걸 보니 인용수 100넘어가는 논문은 없으신가보네요

2024.08.01

저거 csranking 그대로 가져온건데, 교수 누락 많이 되어있음 고대는 AI랩 거의 등록안되어있던데

2024.08.01

유니스트가 연세대 밑일리가 없는데

대댓글 1개

2024.08.04

ㅋㅋ 유훌 또 나왔다

2024.08.04

카이스트 AI에서 석사 진행중이지만, 우선 위의 쓸데 없는 논쟁보다는, 포스텍AI는 기계학습 관련 논문 실적보다는 SIGRAPH, CVPR도 같이 넣어줘야지 밸런스가 조금 맞아보여요. 비전이랑 그래픽스 1위는 포스텍이라는 말이 있듯이 대형랩 두개에서 비전과 그래픽스 연구를 주도하고 있고 수준도 매우 뛰어나기 때문이죠

대댓글 1개

2024.08.04

다만 종합적인 실적은 카이스트가 월등한건 사실이고..

2024.08.05

잘 모르겠지만 닙스 icml iclr 논문수면 가능할수도 있음. 은근 카이스트 석사생들도 1티어 학회 논문 꽤많이 쓰는편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