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인공지능(AI) 분야 연구 인력이 세계 선도국에 비해 크게 뒤처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8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국가전략기술 R&D 인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AI 연구자 수는 2만1000여 명, 지난 6년간 발간된 AI 분야 논문 수는 1만4000여 건으로 나타났다. 연구자 수는 세계 9위, 논문 수는 세계 12위 수준이다.
한국의 AI 논문과 연구자 수는 이 분야 ‘3강’으로 꼽히는 중국, 미국, 인도와 비교하면 격차를 보인다. 중국은 AI 연구자 41만1000여 명, AI 논문 22만건으로 각각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인도가 연구자 19만5000명, 논문 11만7000건으로 2위를, 미국이 연구자 12만명, 논문 8만8000건으로 3위에 올랐다.
특히 질적 측면에서는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적은 양의 훈련 데이터를 이용해 AI 모델을 학습시키는 ‘퓨샷 학습’, 컴퓨터 비전, 딥페이크 등 새로운 연구 분야에서 가장 많은 논문 수를 발간한 상위 500명 연구자에선 미국(31.8%)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고, 중국(24.2%)이 그 뒤를 이었다. 상위 500명 연구자는 주요국에 20명 안팎씩 존재하는 가운데 한국은 5명으로 세계 16위 수준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AI 관련 직종 종사자 수는 5만1425명으로 추산됐다. 학위별로 학사 3만2916명(64%), 석사 1만2018명(23.4%), 박사 4124명(8%) 등이다. 지난해 AI 관련 직종 인력은 AI 개발자 5257명, AI 프로젝트 관리자 793명 등 총 8579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08.18
ML/DL 쪽 미국연구자들 "대부분" 서카 말고는 한국 학교들 아무도 모름... (더 아는 사람만나면 살짝 감동)... 한국인들은 다 아니까 등수 세운다지만 글로벌 연구자들이 봤을때는 나머지는 최소한의 threshold도 못넘는 알 필요도 없는 학교로 여길뿐.. 참고로 포공은 postech 이름때문에 학교인줄 잘 모르고 다들 이름 잊어먹거나 학회장에서 이름 적혀있는거 보고 스타트업인줄 앎.. 어렵겠지만 이름 바꾸는게 낫지않을까...
대댓글 4개
2024.08.18
이름 문제면 caltech은요? ㅎㅎ 그냥 인지도 문제죠
2024.08.18
그니까 노벨아 인지도 없는데 이름까지 텍이니까 그런단거잖아
2024.08.19
저도 카이스트 졸업했지만, 카이스트도 사실 해외에나와서 KIST와 비교해도 이름만 봐서는 학교임을 유추하긴 어렵죠. 한글로말하면 한국과학기술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도 솔직히 한끝차이라서 더햇갈리고요. 인지도는 다른말이지만, 학교이름은 간단하게 OO University가 와닿기는 쉬운것같긴해요. 성대처럼 긴것빼고요.. ㅎㅎ 영문 이름만 볼때는 아랫분말씀처럼 고려대가 사실 가장기억하기 좋은것같기는해요.
쑥스러운 한나 아렌트*
2024.08.19
K인 모양인데 애쓴다.
2024.08.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Korea University는 그래도 알겠지 이름부터 Korea 이니까 아 내가 고대생이다
대댓글 2개
2024.08.18
베이징대는 알아도 차이나대는 모르듯이.. 그런 학교야 있겠지 하겠지만 뭐하는덴지 아무도 몰라
2024.08.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애초에 차이나대가 없어 ㅂㅅ아
2024.08.19
인구수 기준 선방아니냐
방정맞은 에르빈 슈뢰딩거*
2024.08.19
JD 이어 조만간 bts도 합류하겠군
대댓글 1개
방정맞은 에르빈 슈뢰딩거*
2024.08.19
개인적으론 2&1 좋은데. 더구나 이름 자체가 수학적이고
2024.08.19
SW/AI R&D에 투자는 쥐꼬리만큼 하면서 9위, 12위가 '크게 뒤쳐진다'라고 하는 것 보면 참 웃깁니다. 이게 도둑놈 심보 아니면 뭔가요?
2024.08.20
이건 사실 AI관련 국가과제든 기업과제든 쿠킹이나 기획해보면 이유는 명확히 알게됩니다. 투자도 투자인데, 기본적으로 기초연구나 기반연구 없이 "그냥 외국에 좋은거 들고와서 써봐"가 기조라서 학술적 배경자체가 생기지 않기 때문이죠. 사실 이건 AI뿐만 아니지만. 또한 심사나 평가위원들이 AI 경력이 없이 AI 프로젝트의 리드만한 수준이라 심사중인 과제의 한계라든지 과장을 분석할 능력이 없습니다. 심사 도중에 "왜 별도 모델을 개발하려고 해요?" 라고 말하기도 하죠. 기가참.
2024.08.18
대댓글 4개
2024.08.18
2024.08.18
2024.08.19
2024.08.19
2024.08.18
대댓글 2개
2024.08.18
2024.08.19
2024.08.19
2024.08.19
대댓글 1개
2024.08.19
2024.08.19
2024.08.20
2024.08.20
2024.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