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아무 교수나 컨택

2025.01.01

9

1614

안녕하세요.
먼저 제목 약간의 어그로 죄송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많이 힘든 상황이고 어디에 이야기할 만한 곳이 없어 여기에서 조언을 구합니다.

저는 24년 2월에 졸업했고 약 1년 정도 취업 준비를 하다가 24년 12월 취업을 한 상태입니다.
4학년 여름방학부터 본격적으로 대학원 준비를 했고 4학년 말 겨울방학에 대학원 인턴을 했습니다.
그러나 희망하는 대학원 학과가 저의 학부 전공과는 달라서 해당 분야가 제 생각과 많이 다르다고 느껴 대학원 진학을 포기했습니다.
물론 언젠가 대학원을 갈 생각이지만 아직 제가 "진짜" 연구하고픈 분야를 찾지 못해 먼저 실무를 경험해보고 가는 게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여기서부터가 본론입니다.)
문제는 아버지입니다. 제 아버지는 지방대 교수이시고 대학원을 먼저 가야한다고 "믿고" 계신 분이십니다.
아버지는 제가 2024년 1년 동안 대학원을 지원했고 떨어진 것으로 알고 계십니다. (사실 지원 안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주까지 유사 분야 교수님 아무나 30분 찾아서 똑같은 컨택 메일을 다 넣어보라고 하십니다...
분명히 티오가 모자란 연구실이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시면서요...
(원래 대학원 진학을 이렇게 진학하는 게 맞는건가요? 이것도 의문입니다만...)

이번에 취직을 하면서 취직했고 대학원은 직장을 다녀보고 연구하고 싶은 분야를 찾고 진학하겠다고 말씀드려야 합니다.
취업한 곳이 대기업도 아니고 연구 개발 직렬도 아니라 반대하실 것 같습니다.
더하여 아버지 성격이 엄청나십니다. 몇 가지 실례를 붙여보자면...
1. 이중전공을 위해 학교 1년을 더 다닌다고 하고 다음 날 현장 실습 나갔습니다. 저한테 전화 30통+학교 행정실 전화해서 소리 지름+현장 실습 나간 기업에 전화해서 당장 저 통화하게 해달라고 소리 지름 (이미 3학년 때 이중전공 지원할 때 허락 다 맡아 놨으나 4학년 때 기억 못하심)
2. 뜻대로 안되면 주위 가족 괴롭힙니다. 제 형제가 아버지 의견과 다르게 학과를 진학한 적 있는데 저한테 화풀이 엄청 하셨습니다. 방에 와서 인사 안 했다고 어머니께 가정교육 어떻게 시켰냐며 4시간 폭언하셨습니다. 심지어 제 전공시험 전날 말이죠...ㅎ

이번에 제가 취업했고 대학원 말고 일단 회사 먼저 다닌다고 하면 제 직장에 전화하실 거 같네요 :)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세 줄 요약
1. 대학원 안 가고 취업했습니다.
2. 아버지는 대학원 안 가면 안된다고 하십니다. (모든 교수님한테 다 컨택 넣어보라고 하십니다.)
3. 아버지께 취업 사실을 말씀드리던지 해야 하는데 아버지 성격이 엄청나심...
어떻게 해야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1.0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1.01

아마 작성자 분께서도 아시다시피 학교가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곳이긴 하지만 사정이 많이 열악한게 보통 사실이고요 아직 때가 아니라면 직장을 거쳐서 가보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저도 박사 받는 동안 교수님의 오만 요구를 다 들어드려야 했구요 교수님이 사실상 저의 업무를 학부생 수준의 연구 같이 취급 하시며 등한시 하셔서 고생 많았습니다 정리가 잘 안 되긴 하는데 요지는 이미 말씀 드렸으니 제 경험을 예시로 한번 얘기 잘 나눠보시길 바랍니다

IF : 1

2025.01.01

하.하.하 이중전공이 있는 학교... 님... 저 인생 선배로 진지하게 말씀 드리는 건데요. 혹시 꼰대같으면 그냥 패스 하셔도 되요.
결과적으로 님이 지금 하셔야 하는 건. 지금 취직 됐으니까, 아버지가 뭐라시든 이십대 삼십대 싹 갈아넣어서 지금 취직한데에서 돈부터 모으고 독립 먼저. 경력 쌓아서 이직. 그 담에 대학원 가서 학력 쌓을 생각하세요. 이직 하면서부터 경제적 자유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 하시고요. 귀 막고 돈 모아서 혼자서도 살 수 있도록 집 나와요. 아버지랑 관계는 길게 보세요. 님이 아버지 의견에 휘둘려서 사회에서 혼자 헤쳐나가지 못하게 되는 순간, 당신 아버지가 당신 잡아 먹습니다. 차라리 독하게 독립해서 성공 한 다음에 아버지 다독이시면, 그 땐 그게 옳은 줄 알았는데, 야무지게 자기 인생 잘 챙겼다고 존중해 주셔요. 포인트는 님이 성공적인 삶을 사는 것이 최종 아버지와의 관계에서의 키 입니다.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