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학부 학벌이 주는 낙인에 대한 질문

2025.07.16

5

731

김박사넷에서 대체로 이해력이나 실력 등이 학부 학벌에 비례한다는 말을 많이 들었어요.
궁금한 점은 실제로 어떤 사람이 같은 능력치를 가졌더라도 학부 학벌이 무엇인지에 따라(e.g. 중경외시 vs 설카포) 심리적으로 상대방의 한계가 더 눈에 잘 들어오거나 좋은 부분만 부각되는 현상이 확실히 강하려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IF : 2

2025.07.16

대학원 입학, 취업 할때 까지는 학부출신이 당락에 영향을 주긴하는데요. 일 잘하고 사회생활 잘하는게 더 중요합니다. 물론 첫인상은 좋은 학벌인 사람이 좀 더 좋긴하겠죠... 질문처럼 같은 실력이면 더 좋은 배경을 가진사람이 조금은 더 돋보이죠.

근데 사람 실력이 시험봐서 숫자로 몇점하고 나오는 것도 아니고... 그 사람과 함께 일해본 경험과 그 사람이 만들어낸 실적을 통해서 판단하죠. 그래서 조직 생활 잘 하기 위한 사회성이 중요하고, 동일한 일을 해도 돋보이는 실적을 잘 만드는 능력도 필요해요. 이건 공부나 연구 잘해서 좋은 대학가는 것과는 전혀 다른 능력이에요.
그래서 대부분 어디 대학 출신인지가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참고로 이번 과기부장관도 광운대 학석박이에요... 그리고 대기업 임원진들 보시면 상위권대학 출신이 아닌 경우 많아요.

2025.07.16

경험상 상대적으로 젊은 사람들은 학벌을 좀더 따지고 경력이 좀 쌓인 사람들은 학벌이외에 요소들을 좀더 보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다만, 대상이 경력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평가할 요소가 학벌이랑 면접(첫인상)같이 한정적이라 학벌이 부각되곤 합니다. 외적으로 보이는 능력이 같아보이는데 어느 한쪽이 학벌이 좋으면 당장 보이는 능력이외에 더 다른 능력이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있고요

2025.07.16

20대야 학부 학벌이 사람을 평가하는데 있어 큰 지표가 되겠지만, 30대가 넘어간 시점 부터는 잘모르겠습니다.
1. 인성, 2. 종합적 연구능력, 3. 네트워크&인맥, 그리고 4.학벌 정도라 생각합니다.

1,2,3이 부족한 사람은 4가 가장 중요하긴 하겠죠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