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impact factor 낮은 sci 대해

2020.09.07

10

23529

sci 저널인데 impact factor가 엄청 낮으면 sci라 하더라도 좀 안쳐주는 느낌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Adolf Windaus*

2020.09.07

네 안쳐줍니다
특히 임용시장에는 IF점수로 탁탁 끊어서 지원자들의 점수를 정량화하기때문에 양불리기용 아니면 크게 인정못받을수 있어요
그래도 없는거보다야 낫죠

2020.09.07

분야마다 IF절대값이 달라서 사분위로 보는게 좋음

2020.09.07

Q1 - Q4 값으로 보는게 좋음. 보통 Q1 위주고 Q2까진 어떻게 쳐 주지만 Q3 Q4는 안쳐주는데가 많지
Jean-Antoine Watteau*

2020.09.07

IF 보다는 JCR로 봐서 20% 이상저널들은 크게 안쳐주는것 같습니다..
저희연구실도 15%~20%저널들을 마지노선으로 생각(Smart materials % structures / Sensors - IEEE & MDPI / IEEE access 등..) 합니다.
물론 JCR도 분야내에 저널개수가 적으면 TRO같이 쓰기 정말 어려운 곳도 8%에 해당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그래도,, 보통 20%넘은 저널은 리뷰페이퍼가 아닌이상 잘 쓰려고도 하지 않고, 아마 외부에서도 그냥 쉽게 SCI그룹인지 아닌지 보기보다는, 어느 저널에 썼는지를 신경쓰지 않나 싶습니다.
Élie Metchnikoff*

2020.09.07

윗댓들 말대로 분야마다 IF 절대값이 다르기도 하고 IF가 낮더라도 분야에 따라 좋은 취급을 받는 저널들도 많아서 함부로 일반화하면 위험해요
예를들어 저는 기계공학쪽에서도 유체기계 관련 연구를 하고 있는 데 이 쪽에서 Q1에 속하는 Journal of Turbomachinery는 Impact factor가 작년 기준으로 2.8밖에 안 됩니다. 그렇지만 아무도 이 저널을 폄하하지 않죠. 랩에서 J.Turbomachinery나 그와 IF가 비슷한 저널에 논문 서너편 투고하고 졸업하신 선배들도 각자 자기 진로 잘 찾아서 졸업하셨고 분야에 따라 다른 부분이니 잘 찾아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2020.09.07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2020.09.07

저희 연구실에서는 Q1 밑 저널들은 보통 석사급이나 박사 막 시작했을때 연습용으로 많이 쓰고 박사 말년이나 포닥부터는 Q1급 저널위주로 씁니다.
Rosa Luxemburg*

2020.09.07

Q1 밑 저널은 학부생들이 미국 대학원 임시용으로 많이 쓰곤 하죠.

2020.09.08

Q2는 많이들 안쳐주나보군요 ㅠ
Jean-Antoine Watteau*

2020.09.08

그건 Q2저널이랑 적당한 10~15% 저널이랑 써보시면 알거에요.
저도 학부때만 Q2저널을 써봤는데, 당시는 SCIE급 저자다! 라고 자만했는데 지금생각해보면 리뷰어들도 정말 대충 리뷰어하고 돈장사하는 느낌입니다.
좋은 저널일수록 진짜 리뷰어들이 걸고넘어지는것들도 엄청 극암입니다. (물론 리뷰어 잘만나는것도 큰 운입니다. 개쓸데없는것으로 태클걸고 리잭주는 놈들도 많습니다.)
학교메일만 봐도 Q2저널들에서는 계쏙 메일보내서 투고하라고 하기도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