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성균관 소프트 -> 석사스킵, 미박 진학

2024.04.01

5

829

최대한 서칭을 하고 틀을짜보았으나 학부생의 생각에 한계가 있을듯하여 조언을 받고싶은 마음에 글을씁니다..!

현재 2학년 2학기 재학중이고 졸업시 학점은 대략 4.2로 가정하겠습니다. (충분히 가능합니다!)

한국에서는 제가 관심있는 로봇 분야가 마이너하다 생각하여, 미국에서 석사만하고 바로 취업시도 or 실패시 비자 문제로 미박까지 도전을 고려하던 와중 미국에는 석사와 박사사가 분리된 경우가 많으며 상위권 대학에는 박사가 유효하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물론 한국처럼 미국에도 석박통합해서하다가 박사 실패시 석사학위라도 주는 경우도 있겠으나 생략하겠습니다)

실질적으로 한국 석사 없이 미국박사를 지원해도 가능하지만, 한국분들의 경우 경험과 그로 비롯된 대학원 합격 확률 증가 등을 위해 석사를 겪고 가는경우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고싶어, 제 학부 학점을 최대한 올리며 + 가능한 유명하거나 높은 대학의 or 자대 교수님들께 인턴을 요청드려 경험을 얻고 -> 미국 대학원 합격시 바로 미박 or 실패시 한국의 해당 대학원 석사를 고려하고있습니다.
(물론 해당 경우 저의 스팩에만 치중하여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어두어 타대학 교수님을 기만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여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고 생각하고있습니다, 다만 제가 모르게 큰 문제가 안될 환경일까 싶어 그대로 기술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제 계획이 유효한지, 유효하되 문제가 될 부분은 없을지(비용 or 박사 대학원 수준 등)가 너무나 궁금합니다.
혹 인생 선배분들꼐서 식견을 나눠주실 수 있으시다면 정말 감사드릴 것 같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4.04.01

유효한데요, 확률을 높일려면 연구 성과를 내는게 우선입니다. 학점이 높으면 더 좋은거고요. 연구성과 우수 + 학점 우수 > 연구성과 우수 >>>>>> 학점 우수 입니다. 추천서도 받을 사람 3명 만드셔야되고요

대댓글 2개

2024.04.01

추천서의 경우에는 적어도 2명은 같이 일해본 사람한테 받는게 유리합니다. 그런데 학부에서 연구성과 내기도 어려운데 두 교수님과 일할 기회를 만드는건 더 어렵죠. 그래서 연구를 최대한 빨리 시작해야됩니다. 시간 싸움이예요

2024.04.10

답변 감사드립니다!
연구성과가 있어야 높은 탑스쿨에 진학 가능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부분에서 크게 와닿았습니다.
저같아도 200위에도 못드는 학부생을 받아주진 않을거같네요.
방향성 열심히 고민해보겠습니다!!

2024.04.02

한국에서 누가 인터넷으로 인턴한다해서 당연히 아무도 안받아줍니다. 교환학생등 프로그램을 잘 활용하고, 교환학생 하는도중 가고싶은 교수수업을 청강으로 들으면서 본인 어필하는게 가장 편한길입니다.
그것보다 좀더 어려운길은 석사등 하면서 연구실적 만들어놓고 컨택하는거라 생각하고요.
탑대학에서 포닥하는동안 한국에서 온 박사과정들의 많은경우 후자(연구실적스펙만으로 지원)보다 교환학생등의 프로그램을 잘활용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리고 지금 CS는 상당히 치열합니다. 그래서 ECE등으로 돌아서가는경우도 많고요. 탑대학이 어느정도 수준인지 모르지만, 본인이 가고싶은학교를 진학하는 사람들의 수준을 좀 보시면서 그사람들의 루트나 스펙을 따라가는걸 목표하시길..

대댓글 1개

2024.04.10

답변 감사드립니다, 늦게 확인해서 인사가 늦었습니다.
그 기간동안 많은 정보를 알아보고 방향성을 고민해보았는데 석사를 통해 논문 실적이 있어야 저의 경우는 그나마 희망이 보인다고 판단을했습니다.

물론 교환학생역시 생각은 해보았으나 성균관대에서 갈 수 있는 대학중에 "크게" 메리트가 있는 대학이 잘 안보이더라고요.
물론 해외 교수님의 추천서는 유효할수있으며 번외로 미국에 가서 다른 대학랩실에 방문해볼까 생각도 안해본건아니나 1년이라는 제한된 시간동안 크게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기는 어렵다, 석사는 필수겠구나 라고 결론을 내렸었습니다.

그런데 이 답변을 보고 교환학생, 석사 두 방안 모두에 해박하시다라는 느낌을 받았고 교환학생을 통한 컨택이 더 쉬운길이다!라고 강조를 해주셔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혹시 제가 교환학생에 대하여 얕게 알고있는 부분이 있는거같다면 식견을 조금만 더 나누어주시면 진심으로 감사드릴 것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6학년도 숭실대학교 메타버스융합대학원 입시설명회 및 오픈랩을 개최합니다.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