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4학년인 기계과 학부생입니다. 현재 학점이 3.9/4.5라 spk 넣기 조금 애매한 성적이 될 것 같습니다. 게다가 코로나로 인한 학점인플레까지 고려하면...
1지망은 spk로 하고 싶지만 평소 자대 관심있던 랩에서 인턴을 모집중이고 어차피 spk가 불확실하면 인턴 후 자대로 확실하게 진학하는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괜히 spk에 지원했다가 다 떨어지고 자대 인기랩은 이미 누가 침발라놓은 그런 상황이 되면 심적으로 진짜 힘들거 같아서요.
제 꿈이 국내에서 석사학위 받은 후 미국에서 박사까지 하는건데, 결국 이런 경우 spk에서 준비하는 것이 더 좋을지, 리스크를 감수하고 타대 진학을 도전하는게 옳은 선택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조언 좀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Charles Scott Sherrington*
2020.12.27
자대석사하면서 유학알아보셔요
2020.12.27
애초에 석사만가는거면 spk 더힘듬
2020.12.27
자대석사 - 미박 흔한 케이스임
- 할꺼면 4학년 시작하자마자 학부연구생 하는걸 추천, 그래야 연구경력 1년 늘어남
- 유학에는 추천서 및 교수님 인맥도 중요하게 작용, 랩실 맴버중 해외로 유학/포닥간 사람이 있는지 or 교수님이 해외랑 협업중인지 알아볼 수 있으면 좋음
Saul Bellow*
2020.12.27
ist p 보다는 종합대 메리트 있는 성대 ㅊㅊ
Leo Tolstoy*
2020.12.27
성대가 usnews 같은 곳에서는 항상 서울대 다음으로 순위 차지하고 있어서 석사를 성대에서 하시면 해외탑스쿨 박사가기엔 좀 유리할거에요. sk가 힘들면 성대나 포스텍에서 석사를 마치는걸 추천합니다.
2020.12.27
잘 몰라서그런데 ssh 3.9면 spk일반과도 힘든가요?
2020.12.27
미박 입시 체험하고 교수님한테 올해 신입생 레퍼체크 및 인터뷰 부탁받은 입장에서 몇마디만 합니다.
우선 진심 미국 교수님들 skp 외엔 잘 모릅니다.
그리고 요즘 성대훌리가 계속 USNews 얘기하는데 그거는 미국 국내용이지 한국의 내셔널랭킹이나 글로벌랭킹보는 교수님은 한명도 없을걸요. 성대 usnews 상 한국 랭킹 2위라지만 정작 글로벌랭킹 점수로 치면 60점 따리 200위권인데 관심이 갈리가??
사실상 미국인 교수가 한국학생이 지원할때 간판 판별하는 방식은
1. SPK인가? 아니면 내가 알거나 가본 학교인가?
2. 내가 아는 교수 제자인가? 혹은 내 실험실 소속 학생이나 연구원과 같은 학교출신인가? -> 맞으면 레퍼런스 체크
보통 이런 방식이지 usnews 랭킹과는 아예 무관합니다. SKP 외에는 그냥 간판 덕 볼 생각 아예 안하는게 낫고 심지어 skp출신이라고 간판덕을 체감할만큼 보기도 어렵습니다. 실적+학점+핏 세가지가 좌우하지 학교 이름은 마이너한 요소에 불과합니다.
결국 국석후 유학 코스는
1. 자대석사
2. SKP석사
두가지 선택지가 있는데 서로 장단점이 다릅니다. 이건 다녀본 입장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글쓴 분께서도 대충은 아시리라 믿습니다.
IF : 1
2020.12.27
Sp는 석사 자체를 거의 안뽑으니 선택지가 이닌거 같고 k인기과는 학점이 모자라보이고요. 윗분 조언이 제일 좋은 조언 같네요.
IF : 1
2020.12.27
Ssh 자대 추천합니다. usnews 뿐 아니라 qs, nature index, the같은 랭킹도 높게 나오면 어필되지 않을까 하고요. 굳이 pk지방가느니 수도권에서 유학 정보 모으고 학원도 다니시는게 훨씬 편하실겁니다. 수도권의 많은 대학에서 유학 가려고하는 수많은 인구 생각하면 그쪽에 모여서 준비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2020.12.27
Charaka 님, ssh 3.9면 보통 spk일반 랩실은 갈 수 있을겁니다.(제 주변사람들 보면 그렇습니다)
저도 성대 학부에 내년 자대 대학원 진학하는 사람인데요,위에 분들이 말씀해주신대로 석사동안 실적을 낼 수있는 확률이 자대가 높을 것 같습니다. 석사 입학 전 학부연구생도 해볼 수 있고, 저희 학교는 학석연계도 잘돼있어서 자대 진학하는 학생들이 경제적으로도 좀 편하게 다닐 수 있어서 좋은것같아요. 학교에 적응해야할 시간도 줄어들고요. 제 선배도 이번에 컬럼비아로 박사과정 가시는데, 연구실만 잘 골라서 가시면 미국 박사 가시는거 충분히 가능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2020.12.27
원글
곧 4학년인 기계과 학부생입니다. 현재 학점이 3.9/4.5라 spk 넣기 조금 애매한 성적이 될 것 같습니다. 게다가 코로나로 인한 학점인플레까지 고려하면...
1지망은 spk로 하고 싶지만 평소 자대 관심있던 랩에서 인턴을 모집중이고 어차피 spk가 불확실하면 인턴 후 자대로 확실하게 진학하는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괜히 spk에 지원했다가 다 떨어지고 자대 인기랩은 이미 누가 침발라놓은 그런 상황이 되면 심적으로 진짜 힘들거 같아서요.
제 꿈이 국내에서 석사학위 받은 후 미국에서 박사까지 하는건데, 결국 이런 경우 spk에서 준비하는 것이 더 좋을지, 리스크를 감수하고 타대 진학을 도전하는게 옳은 선택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조언 좀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
2020.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