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유럽 석사는 미국 박사 진학하는데 좀 종류가 다른가요?

2025.02.21

13

789

유럽식 학제는 우리나라와도 다른 것 같고 미국과도 다른 것 같습니다.

3년만에 학사졸+석사 2년 해서 학석사 5년인 경우가 좀 있더라구요.

개인적으로 박사를 미국에서 하고 싶으면, 유럽석사가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유럽석사의 경우 1년 반동안은 코스웍을 듣고 나머지 반년동안 연구주제 thesis를 써서 졸업합니다.

이 thesis와 추천서를 받아서 미국유학 가는 경우가 있을까요?

(유럽석사는 딱 유럽박사 진학용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미국 박사로 가면, 어차피 거기서 요구하는 코스웍을 들어야할테고, 그렇다면 유럽석사 코스웍 몰아듣기는 불필요한 과정처럼 보이기도 하구요.
유럽석사 -> 미박테크 가 많이 있는 일인지,

있다면 효율은 떨어지는데 감수하고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2.21

특별히 도움이 될 건 없습니다. 오히려 유럽 교수들 중에 미국에서 잘 먹히는 추천서 스타일을 잘 몰라서 의도치 않게 추천서를 안 좋게 써주는 경우도 있고

2025.02.21

좋은것같습니다 실제 주위에 eth석사하고 미국탑스쿨으로 박사간사람 몇봤어요

2025.02.22

유럽석사 -> 미박은 많이 갑니다.

2025.02.22

유럽석사하고 미국박사 진학하는거 흔해요. 코스웍은 몰라도 연구는 분명 도움이 될거에요.
추천서 잘 받으면 유럽박사보다 유럽석사 후 미국박사 진학이 더 유리할수도 있습니다.

2025.03.05

In my opinion, if you wanna get a PhD position in Europe, doing a master in Europe is an easy track, I know many people doing their master thesis and being converted to PhDs. Also, degrees and references from European Unis are highly recognized in Europe.

But it is not easier to apply for PhD positions in US if doing a master in Europe. Doing a master in US (most expensive but an easy track for applying for PhD in US), applying for PhD programs in US directly with a bachlor's degree, or doing a research-based master (e.g., 일반대학원 in Korea, Mphil in HK) are better options. Unlike Korea, European masters are course-based, that said, you can barely have time to do research in your first year. Masters in Korea always graduate with publications, which is rare for European masters.

대댓글 8개

2025.03.06

영어 연습하시는 건가요?

2025.03.06

한국에서 졸업한 외국인입니다.

2025.03.07

wow.. That's interesting! Thx
Actually, I want to go abroad early to adapt to a new environment. I don't want to be confined to Korea.

2025.03.07

하하 굿 럭! 그런데 유럽과 미국 연구 분위기는 완전히 다릅니다. I was a visiting researcher in Europe, it was my most chilling and enjoyable time during my life.

2025.03.08

분위기가 어떻게 다른가요..?

2025.03.08

Research cultures differ a lot. For example, in computer science, in Korea and the US, there's a strong emphasis on publishing in prestigious venues, like top conferences and journals. PhD students often face a cycle of rejections and revisions, targeting top-tier conferences and journals. In Europe, the focus tends to be on project completion and dissertation, with much less pressure to publish in highly selective venues. You've done the project and dissertation, you are good to graduate. Therefore, they may graduate with publications in noraml tracks, such as open-access journals like Scientific Reports

2025.03.08

Also, the roles differ. In the US, PhD students are still treated as students, need to take a lot courses (wasting time for most Phd students), and have much less rights and benifits, the stipend also make you at the bottom of the society; in Europe, PhD students are treated as junior researchers, typically holding work visas, and with much more rights and benifits, the stipend can make you a middleclass.
Because of the cozy research environment, people can graduate more easily than Korea and US with much better mental health condition, the only thing is that you can graduate easily, you also need to face the curel job market especailly if you do not have good publications.

2025.03.09

Thank you for the very detailed explanation! It really helped me understand better.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시리즈 첫 번째 강연: UCLA 김영서 교수 무료 세미나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