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미국박사, 국내박사, 자대박사 고민

2025.03.18

9

2543

학부학점 3.18/4.3
yk 중 하나에서 학사 졸업 후 자대 석사 진행 중입니다.
저희 분야가 석사과정 중에 논문에 이름 올리기는 힘든 분야라 논문 실적은 없습니다.

최근 교수님께서 주신 문제를 괜찮게 풀어서 교수님께서는 제 연구 능력을 긍정적으로 봐주시고 있습니다.
교수님 정년이 가까워, 입학당시 자대 박사는 고려하지 않고 석사만 할 생각으로 입학해서 연구실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최근 교수님께서 펀딩을 받으셔서 제 박사를 책임질 수 있으니 박사지원을 해보라고, 지금 본인이 저에게 주려는 연구 주제가 굉장히 괜찮은 주제라고 하셔서 고민이 됩니다. 교수님께서는 저희 분야의 대가라고도 불리는 교수님이십니다.(교수님 밑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선배분들 중 절반은 현재 국내외 대학에서 현재 교수로 계십니다.)

이런 상황에서 여러가지 환경에 계신 분들의 고견을 듣고 싶어 몇 가지 질문드립니다.

1. 교수님이 추천서를 잘 써주신다는 가정하에(교수님께서는 해외 학석박을 하셨고, 소속된 분야에서 영향령이 꽤 있으신 분입니다.), 토플과 SOP를 잘 준비한다면 낮은 학점을 커버해서 좋은 미국대학에 진학가능한지(중상위권 주립대 정도 희망하고 있습니다.),

2. s대에 생각하던 랩실이 있는데, 주제는 지금 연구실보다 조금 마음에 안들지만 이쪽으로 이동을 할지(sk 간판이 조금 욕심나긴 합니다.)

3. y대 박사를 한다고 하면 추후 학계에 남을 때 계속 발목 잡지는 않을지

뭔가 모호한 부분이나 잘못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3.18

자대박사를 보루로 놓고 해외박사를 지원하고, 그 의도를 투명하게 지도교수님과 공유해서 강한 추천서를 받기를 제안합니다. 혹시 누가 압니까 아주 좋은 프로그램으로 유학가게 될 지요. 그리고 랩의 학계의 alumni가 좋다면 자대진학도 좋죠. 다만 교수님이 곧 은퇴하시니 영향력이 낮아지실 거고 hands off 스타일일 가능성도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준수한 선택지죠.

S대는 선택지에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좋은 조건에서도 연대에서 서울대로 타이틀을 그것도 학부도 아니고 박사에서 올리고 싶어한다니 슬프네요. 그런 대중적 평판 덕에 서울대가 말도 안되는 연구력과 교육대비 국내의 평가가 너무 높죠. 서울대 출신으로서 말씀드리자면 입학하는 날 잠깐 기분 좋고 그 뒤로는 현실일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3.18

진심어린 조언 감사합니다. 말씀들으니 어떤 것들을 두고 고민을 해야할지, 또 어떻게 교수님과 대화를 나눠봐야할지 생각이 명료해지는 것 같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2025.03.18

미국박사 빡세보이는건 사실입니다. 학점 3.18에 실적 없으면 안뽑습니다. 지금 진로 탐색 중인것같은데 일단 길을 정하면 최선을 다해서 보완해야할 것 같습니다.

제 PI가 fall 지원시기에 이메일창 보여줬었는데 하루에 컨택 메일만 20개씩 옵니다. 교수마다 기준이 다르겠지만 지GPa 3.8 이상, 저널실적 있는 사람 중 몇 명만 줌미팅을 한다고 합니다

2025.03.18

미국 현직입니다. 미국 박사가 1순위입니다. 솔직히 y에서 s로 박사 가는 것은 크게 도움될 것 같지 않습니다. 순위를 떠나서 미국에서 생활하면서 박사를 한다는 것 자체가 본인에게 바꿀수 없는 큰 경험이 됩니다. 본인의 지평선이 완전히 넓어집니다. 다만 지금 미국 펀딩 상황 때문에 인터네셔널로 박사 입학이 난이도가 몇배 어려워졌습니다. 실적으로 커버를 하고 적극적으로 컨택에 나서야합니다.

2025.03.18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답이 갈릴 것입니다.

우선 전공이 뭔지, 그리고 OP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중요합니다.

임용이 목표라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한국에서 임용되는 것이 목표면 분야에 따라 미박보다 국박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전공이야 밝히지 않았을 뿐 정해져 있는 것이고 무얼 하고 싶은지 정해서 유리한 방향으로 테크트리를 잡아 보세요.

아, 사이언티스트나 엔지니어로 성장할 가능성은 자대 석사 후, 미박이 높을 것 같습니다.

2025.03.19

미국박사에 대해서만 말씀드리면

학교가 제시한 (혹은 암묵적일수도 있음) 커트라인보다 gpa가 낮으면 시스템으로 거르는 경우가 꽤 있긴 합니다.

하지만 교수님이 국제학계에 영향력이 엄청 있으신 분이라는 가정하에 추천서 잘 받고 교수님 네트워크 잘 이용해서 컨택하면 가능성이 0는 아닌것 같습니다.

실적 관련해서는 저널은 아니더라도 최소 국제학회 포스터 발표라도 해보는쪽으로 목표를 잡고 진행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준비하기전에 본인이 정말로 미국박사를 가고 싶어서 준비하는지 다시 한번 깊이 생각도 해보시고요.

2025.03.19

학부학점이 3.18이면 T80 까지는 1차 스크리닝 될 것 같습니다...

퍼블리케이션 1 ~ 2개정도에 컨택만 잘한다면, T100 ~ 200정도 노려볼만한 것 같습니다.

T100 ~ 200도 미국 내에서는 좋은 대학이라 생각합니다.

대댓글 2개

2025.03.20

엥…. 미국은 학부 다이렉트 지원이 아닌 이상 학점 3만 넘으면 거의 안봅니다; 저 3.2로 top5 되었어요. 스크리닝같은거 없고 어디든 가능합니다.

2025.03.21

단발적 예로 3.0만 넘으면 스크리닝 안당한다는 것은 증명이 불가능해 보입니다.

분야 Top5인지 전반적인 랭킹 Top5인지는 모르겠으나 주변 합격자 평균은 3.7정도입니다.

3.2를 능가하는 다른 챠밍포인트가 있으셨나보네요! 축하드립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올해 마지막 김박사넷 밋업! 지금 신청하고 합격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세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