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99% 교수문제임. 교수가 논문 쓰라고 독촉하고 검토피드백해서 퀄리티 높이려고 노력해야함. 학생이 너무 많아서 힘들다면 애초에 학생을 덜 받든가 고년차에게 맡겨서 공동1저자 주면서라도 정리해나가야함. 지금처럼 방치하면 절대 안됨. 많은 학생들 인건비 다 챙겨주면서 장기간 데리고있는거보면 연구비는 풍족한 것 같은데 교수입장에서는 연구비만 풍족할 수 있으면 논문 없어도 큰 문제가 없거든. 그러니까 방치해놓는거임.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22 - 지방 국립대인데,
어떤 교수님은 (개인적으로 내가 학부때부터 가고 싶었던 연구실임) 연구 윤리 지키면서 생계형이 아닌 진짜 연구를 하는 교수님이 계심.
석박사 3명에 1년에 1-2편이라 공대 기준 느려보일 순 있음에도 해당 분야 전통 저널에 꾸준히 게재하심.
학과에서 이것저것 끼워 팔기 식의 연구 과제를 하지 않아 다른 교수님들이 보았을 땐 의리없다거나 너무 계산적이라고도 함.
실제 논문 저자보면 학생들이 기여한 바에 따라 1저자, 참여저자 칼 같이 나누심.
반면 다른 연구실 교수님은 생계형 연구에 가까움. 박사 선배한테 프로포잘만 몇 개를 쓰라고 하는지 모르겠음.
연구실 자체가 풍족해서 펀딩 측면에서는 부러운데, 하고자하는 연구의 진척도가 좋아보이지 않음.
학생 수가 20명 가까이 되어서 어쩔 수 없어보이지만, 그 선배의 실적은 사실 언제 나올진 모르겠음.
같은 학과 내에 다른 성향의 교수님이 있다는 것이 이상한 것은 아니지만 무언가 연구라는 것에 괴리감이 들음.
무엇이 정답인진 모르겠으나, 적어도 나는 전자의 교수님 스타일이 연구에 탁월하다 생각함.
그러나 생계형 연구가 결코 나쁘다고는 볼 수 없음. 단지 그 과정에서 일부 대학원생의 노고가 깊어질 뿐.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6 - 1. 돈만 내면 붙는 저널
2. 교수가 실적 필요해서 쓰는 저널
3. 쓰레기 저널
라고 생각 할 것 같습니다.
믿고 안믿고를 떠나 학생한테 별 생각 없을 것 같습니다.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23 - 어느정도 공감함. 결국 근 몇년동안 실적 잘나오는 교수 밑에 가는게 최우선임. 그 전제를 깔고가면 시니어든 주니어든은 취향차이.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8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34 - 꼰대는 능력이라도 있어야 꼰대지 능력도 없는데 꼬장부리면 ㅂㅅ이지 꼰대가 아니다
그리고 꼰대와 ㅂㅅ은 나이를 가리지 않는다
젊은 교수 나이든 교수 상관 없다 새로운 지식의 수용력은 사람마다 다르다
그냥 잘 알아보고 레퍼런스가 정확하다면 지식을 수용할 줄 아는 교수에게 가라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3 - Mdpi면 고딩도 낼수있을듯..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20 - 한국 학생들 간 역량차이도 ㅈㄴ 크다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22 - 주변에 고등학교가서 내라고 해보세요. 낼수있는지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9 - 이렇게게 연구보단 어느 교수 밑이 안전하다를 우성으로 하는 사람은 가치관이 연구가 전혀 아닌듯 ㅋ 뭐하러 대학원감? 걍 회사가서 돈이나 벌지 이렇게까지 나이로 교수 카테고리화해서 뭐가 낫다 이러고 있네 ㅋㅋ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2 - 케바케임 글쓴이 대학원 생활 안해봤을 확률 개높음
나 대학원 생활 할 때 갓 부임한 신임교수가 두 분 있었음.
석사는 합격 후 컨택하는 방식이었고 합격생들한테 교수 혹은 랩장이 나와서 연구실은 뭐하는 곳인지 프레젠테이션 하는 행사가 매년 한번씩 있었는데, 신임 교수님들은 랩이 꾸려지지 않아서 교수님이 직접하심
한 분은 친한 동네형 컨셉, 한 분은 국내 학석박이자 여자 교수님으로 국내파+여성 과학도 컨셉이었음 (은은하게 약자도 교수하면서 떵떵거리게 해주겠다? 느낌)
연구실 생활, 사회 경험이 전무한 석사생들은 당연히 이 2개의 연구실로 몰렸고 들어간지 한 학기도 안되서 정확히 두 연구실에서 곡소리가 울려퍼지기 시작했음.(사건을 말하면 너무 타게팅이 되니까 이정도로만 함)
카테고리화하지말고 컨택할 때 사람이 나랑 맞는지 안맞는지부터 살피길 바람. 이런 글처럼 표면적인거 믿고 들어가다가 ㅈ되서 설거지 당한 사람 한둘 본게 아님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7 - 이건 케바케임. 직접 경험하지 않은 정보로 단정하지말기를.. 나이든 교수도 부려먹은 만큼 보상이 확실한 사람이 있는 반면, 젊은 교수는 보상해주고 싶어도 능력이 없을 수도 있다.
난 젊은 꼰대한테 걸려서 고생중...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2 - 1. 인턴이 하는 주제로 해외 PI는 아마 큰 신경을 안쓸 확률이 크나, 학부생이 멋대로 누구를 교신으로 넣고 하는 저자 관련 제안을 하면 좀 선넘는다고 생각함. 미국 교수들이 인자해보여도 은근히 선넘는거 싫어합니다.
2. 한국 교수 입장에서는 본인 연구실 오는데 타 연구실 일 병행해서 하는거 싫어하죠. 그리고 뻔히 연구 주제, 방향 다 잡히고 학생이 하고 있는 연구에 "니 이름 껴줄테니 나 여기서 이 연구좀 하자" 라는 식으로 오면 한국 교수도 얜 뭐지? 라고 생각하겠죠.
전체적으로 글쓴이의 과한 욕심으로 미국 교수는 별로 신경 안쓸건데, 굳이 긁어부스럼 만들수 있는거고, 한국 교수에게는 아직 대학원 시작도 안한 애가 좀 허세/욕심있고 본인 잘남에 빠진 학생이라고 판단하시기 딱 좋겠네요. 덧글에 다신 답글들 반응만 봐도 맞겠네요.
제 제안은,
- 미국 연구는 주말이나 연구실 근무 시간 외에 조용히 미국 교수님과 연락하면서 마무리한다. 추후 논문이 나와도 한국교수님께는 인턴때 진행하고 투고한 논문이 이제 억셉됬다 라고 말하면 칭찬하셨으면 했지, 안좋게 보진 않습니다.
- 한국에서는 우선 미국 연구 어쩌고~ 미국에서는~ 이런 티 많이 내지 마시고 신입의 자세로 한국 교수님 스타일에 적응하면서 하나하나 배우세요. 그리고 한국 연구를 처음부터 쌓아가서 만드는 겁니다. 글쓴이가 열심히 하신다면 미국 연구 실적까지 추가되니 좋은 실적으로 졸업 하실 수 있으실 꺼에요.
아직 학부생이 연결고리가 미약한(거의 없는) 한-미 공동 연구니 추진하기에는 이릅니다. 편견이 아니라 현실이구요.. 최소 박사학위는 받고 미국 포닥 갔을 때 이런 제안을 아주아주 조심스럽게 할 수 있는 겁니다.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10
ㅋㅋㅋ 갑자기 생각나는 여기지잡애들
2025.06.21

Ssh에서 cs전공 석차 3%이내고 자격 맞추고 유학 준비하고있었는데
국내 skp도 지원해보려고 여기에 질문글 3번정돈가 썻었음
근데 댓글 오지게 달렸는데 대체로
안됨. Ai 대학원은 학점 높다고 갈수있는 곳이 아님. 자대도 빌어야함.
이런 댓글들이였음
근데 결과는 컨텍했던곳 모든 교수님 상당히 우호적이셨고
성실하게 산 학생 범주에는 들어갔음
당연히 쓴곳은 서,최합 모두됨 현재는 미국 T10에서 코스밟는중
여기 정보 참고하는 것도 도움 정말 많이 되는데
약간 지잡대애들이 상대적으로 고스펙(내 스펙이 높다는게 아님 skp분들도 많이 계시니. 엄연히 상대적)인 사람이 질문글 올리면
ㅈ도모르면서 걍 안된다고만 하는 애들 있음
어차피 안될거 알아도 지원할거아님? 그런거 걍 ㅈ까라 무시하고 자신감 가졌으면 좋겠음 괜찮은 양반들은 힘들거같긴한데.. 하면서 구제방안이라도 알려줌
지잡애들이 ai대학원 존나올려치기하는 경향이있는데 솔직히 그정도는 아님 물론 ai는 레드오션이라 열심히는 해야 하겠지만 너거들 대입할때 수준에 비하면 지잡애들은 대입이란걸 해보나 마나인 수준이였으니깐 당연히 대입보다 훨빡세보이고 ai쪽을 미지의 세계처럼 꾸며놓는 경향이 있음
내생각엔 지잡애들 존나많은거 같긴함 skp,미국 학석박포 형님들 조언 얻고 싶으면 글을 ㅈㄴ 진정성있게 쓰고 수준있게쓰면 지잡애들 안껴들고 답 많이달아줌 ㄹㅇ 꿀팁임 이건
이건 걍 억측인데 학부생들 시험볼때 폐급 조교들 보이지? 어리바리 존나타고 질문하면 학부생보다 전공지식 없어보이고 그런 폐급들일 확률 존나높음 그런애들 학부 ra할때 어쩌다 알게됐는데 무조건 개지잡임
워딩 개저급하긴한데 어차피 반박하는애들 개지잡임
-
400 75 52156 -
21 3 2028 -
31 13 15029
AI 하지마 김GPT 62 43 19448
입시 관련하여 정보공유해요 김GPT 14 3 4689-
0 1 1731
고대 컴공 대학원 김GPT 1 0 427-
8 16 23893 -
1 3 1880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명예의전당 298 23 57361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30 77 206030
연구실을 옮기는 것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2 33 25156
베스트 최신 글
베스트 최신 글
- 지방 국립대 3.5 학부생 대학원 라인
3865 - Ai분야 교수 임용 난이도?
2824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0300 - 취업때 학벌 본다는게 뭔가요?
7174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14681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8901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5324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6584 - 컨택하고자 하는 실험실이 잘하다 망하고 있다면 빌런은
2814 - 석사 후 취업할 생각이면 대학원 레벨이 영향을 많이 미치나요?
2912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진짜 기쁘다
86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6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25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15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62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65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4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4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42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3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8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24 - 낙태충이지만 셀소합니다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70 - 미국 컴공 석사 관련 질문
10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7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15 - 여러분들 회식이 좋으신가요?
10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25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23 - 학위논문 누구에게까지 드려야 할까요?
12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6 - 지원할 랩실은 어떻게 선정하는 건가요?
8 - 중경외시 기준으로 학점이 어느 정도여야 skp 가능할까요?
10 - 저 gpt로 논문쓴거임??
8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1
2025.06.23
2025.06.23
대댓글 1개
2025.06.23
2025.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