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는 이미지, 언어 같은 고차원 데이터들을 manipulation 하는데 성공했다. 인간은 픽셀 이미지 같은 1000x1000 (백만) 차원의 데이터를 inspection 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기껏해야 2~3 차원 공간속에서 주로 사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과거 논문들의 많은 실험도 2-3 차원의 toy problem 수준에서 행해졌다.
AI 는 인간이 컴퓨터라는 툴로 백만 차원의 데이터도 다룰 수 있다는것을 깨닫게 해주었다. 자연어 같은 수 천의 길이를 가지는 복잡한 시퀀스 데이터도 다룰 수 있다는 사실도 일깨워주었다. 과거에 이러한 고차원 공간을 탐험하는 일은 High-Dimensional Statistics 나 Abstract Geometry 같이 '고오-급 수학'을 이해하는 극소수의 수학자들에게나 허락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대중들은 이제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픽셀 이미지, 자연어같은 고차원 데이터들을 굳이 고오급 수학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AI 를 통해 '쉽게 주물럭' 거릴수 있다는것을 깨닫게 된것이다. AI가 꽤나 큰 기술 민주화를 이루어 낸 것이다.
낮아진 기술장벽은 많은 대중들을 과학기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일것이다. 이미 AI 에 매료된 많은 MZ들이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고 있지 않은가? 그들중에는 사기업에 들어가서 50-60 꼰대들 밑에서 기계부품처럼 일하느니 더 진보적이고 첨단의 영역에서 자기계발이 가능한 대학원이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것이다. 어쨌든 AI 는 사람들에게 숨겨져 있던 자연 탐구라는 순수한 욕망을 해결하는데 큰 역할을 했고 앞으로도 할것으로 보인다.
이미 대기업들의 많은 공장에서는 생산 자동화가 이루어졌고 인간 노동자가 개입할 부분은 많지 않다. 앞으로 자동화 경향은 더 거세질것이고 이는 셀 수 없이 많은 실업자를 만들어낼것이다. '기업의 목적은 최대 이윤 추구' 라는 현대 초자본사회 시대에서 자동화(무인화)는 피할수 없는 기업의 방향성인것이다. 이로 인한 제품의 잉여생산물과 초과 이익들은 그 기업의 대주주, 경영진, 임원이 대부분 가져갈것이다. 이제 막 기업에 진입한 양민 신입사원 나부랭이에게는 떨어질 부스러기도 거의 없다. 이런 시점에 대기업에 들어가 나이 40-50이 되어 짤릴바에는, 지금부터라도 첨단의 영역에서 자기 계발을 시작하여 경쟁력있는 한 인간으로 우뚝서는 희망을 가져본다.
제레미 리프킨의 <노동의 종말> 이라는 책을 보면, 자동화로 인한 대량실업이 제 3의 영역의 발달을 촉진시킬것이라고 한다. 이는 공공서비스, 자원봉사, 나눔, 사회적 기업같은 비영리 단체(혹은 행위) 를 말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에서도 극단적 자본주의체제 사고에서 벗어나 어느정도 복지국가로의 방향전환 (EU 같은) 이 필요함을 점점 느끼고 있을것이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01.19
인간이 느끼는 가치의 분화가 이미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함. MZ와 기성세대의 문제가 아닌 이미 눈치챈 사람과 아닌 사람의 차이
2024.01.19
인간의 노동력을 인공지능이나 로봇이 대체했을 때, 잉여 인간의 노동력은 어디에 사용될 것인가? 사실 조금 의문이 드는 점은, 결과물 대비 기계를 사용(원자재에서 기계 생산까지를 포함)하는 데 드는 에너지량이 인간이 소모하는 에너지량보다 낮은 지 여부인데요. 이게 실제로 기계를 사용하는 편이 더 낮다면 혁명이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글세요... 저는 현재의 ai기술이 많은 영향을 준다는 점은 동의하지만, 혁명적인지까지는 판단하지 못하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1.20
이게 정답 따라 할수는 있는데 생명체 효율이 절대적임 이건 단시간에 절대 못잡음 어쩜 영원히 못잡을지도
2024.01.19
딱히..
2024.01.20
한국 일본 과 같이 제조업 중심의 나라는 오히려 AI를 경계해야함 막상 디지털트윈나오면 가장 피해볼 나라가 누구일까 생각해보면 답나오지
2024.01.20
대학원들서가면 진정한 노예인데...
2024.01.20
그닥 공감은 안되네요. 유럽식 복지한다그러면 MZ들 중에 대학원가서 연구를 하려고 할 사람이 많아질까요? 방구석 폐인 및 유흥 폐인들만 대량 양산할듯.
2024.01.20
대학원이야 말로 꼰대들 밑에서 노예생활하고 그 댓가로 간판 교체해주는게 대다수 아님?
2024.01.20
그런데 R and D 예산 깎은 와중에도 더 올까?
2024.01.20
알파고 쇼크직후 자주 나왔던 말. 이미 7~8년전부터 시작됨
2024.01.20
대학원 교육 구조를 개편하지 않은 아상은 불가능. 탁상공론임
대댓글 1개
2024.01.25
어떻게 개편되어야 할까요?
2025.07.02
대학원을 더 많이 선호할거라고? 왜지? 더 안갈것 같은데. 그 비싼 학비내고 공부를 더하려고 대학원 진학한다고? 챗gpt 딥리서치 안써봤나? 월 3만원 결재하면 딸깍 한번으로 석박 지식을 얻을수 있는데. 팔란티어는 지금 고졸신입 뽑는다고하고 미국에서는 대학무용론이 뜬다는데. 국내에도 조만간 대학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할테고. 벌써부터 전문지식 노동이 위협받는데 왜 대학원을 선호하나? 대학원보다 1인 창업가들이 생길듯. 석박사급 지식을 가진 인공지능 구독한 1인 사업가들이 생기겠지. 대학원 가봐야 지도교수 시다바리인데 나온다해도 프리미엄도 없고. 창업하면 출퇴근 맘대로고 지식은 언제든 ai를 통해얻을수 있고 아이디어 하나만 가지면 돈버는 시대가 오는데. 이해를 못하겠네.
2024.01.19
2024.01.19
대댓글 1개
2024.01.20
2024.01.19
2024.01.20
2024.01.20
2024.01.20
2024.01.20
2024.01.20
2024.01.20
2024.01.20
대댓글 1개
2024.01.25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