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시탈 쓰면 각시될까요? ..프로파간다일 뿐이라고 생각됩니다. ..지거국이 학코가 안 좋습니까? 전통이 없습니다까, 교수진의 수준이 낮습니까? .. /.. 이삼십년 전에는 전문대, 단과대, 종합대로 학교명이 구분되었었는데, 학벌조장이니뭐니 하면서 전문대가 대학교라는 종합대학명칭을 사용하게 허용했습니다...그래서 그 대학들 성공했나요? 사견이지만 그 정책이 오히려 지방4년제 종합 대학을 서울의 전문대와 경쟁하게 만든 정책이라는 생각카지 듭니다.. 프랑스에서도 실패한 정책이라고 알려지고 있기도 하고요... 선동질로 실업의 평등을 이루려고 그러나 싶네요.
2025.08.23
Spkyk가면될걸...굳이지거국
2025.08.23
수도권 대학이 어디 말하는건지 모르겠지만, 인서울이라면 SKP나 YK, 지방 과기원 넣음 되는거 아닌가요? 수도권에서도 최하위라면 지거국 목표로 하시는거 좋은 생각이긴 합니다. 다만 정보 찾기가 조금 힘드니 잘 찾으시길
2025.08.23
제주대 ㅎㅇㅌ
2025.08.24
교수랑 연구실 보고 가야죠
2025.08.24
연구 시설만 놓고 보면 중위권 지거국이어도 연구 장비나 환경은 지거국이 더 좋음 그치만 대학원은 최대한 높여서 가는게 좋으니까 갈 수 있으면 skp yk ssh ist로 가는걸 추천함 이정도 라인 괜찮은 연구실 가면 코웍하는 대학 풀도 더 좋고 연구 실적도 더 좋음
대댓글 1개
2025.08.24
연구 시설이 중요한거면 ist 괜찮은 연구실 찾아보세요 산학연 아닌 이상 국비 장학이라 돈 걱정 없고 지원이 많아서 연구 장비도 좋은 편이고 정부과제도 수월하게 땀 코웍하는 연구실도 대부분 skp나 해외 대학이고 자대생들도 대부분 영과고생이라 연구에만 집중하기 좋고 ist 교수들은 대부분 석박 통합을 선호해서 타대생이면 연구적으로 성장하기도 좋을거임 물론 본인이 신중하게 고민하고 찾아보고 결정해야하지만요
2025.08.25
개인적으로 IST는 추천함. 지거국도 등록비 면제되면 IST와 비슷한 환경으로 갈 가능성이 높음 등록금 충당하기 위한 과제를 할 필요가 없다는건 정말 큰 이득임 단순히 생각해도 월급이 오를 가능성이 높은걸 그 시간에 남들 보다 논문 하나 더 쓰면 그게 더 잘하는 것임. 즉 논문 써야할 시간에 등록금 벌려고 프로젝트를 위한 프로젝트 할래? 아니면 좀 더 내가 논문 쓸 시간 챙길래?
2025.08.22
2025.08.22
2025.08.22
2025.08.22
2025.08.23
2025.08.23
2025.08.23
2025.08.23
2025.08.23
2025.08.23
2025.08.24
2025.08.24
대댓글 1개
2025.08.24
2025.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