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바보같이 멍청이처럼 우직하게 제 스스로의 힘으로 연구를 해보고싶은데 욕심일까요.. gpt가 편하고 생산성도 좋긴한데 내가 발전하고 있는건지 gpt한테 데이터만 먹여주는건지 헷갈립니다 조금 불편하게 연구하는건 어리석은 짓일까요 영어도 못하지만 그냥 번역기 안 돌리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천천히 읽어보고 싶은데.. 연구자가 tool에 거부감 느끼고 적응 못하는 것도 자질 부족인가 싶기도 하고... gpt 너무 애증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5.10.06
BEST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2025.10.06
gpt가하는 얘기들은 이미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 뿐임
gpt는 연구 못함
대댓글 2개
2025.10.06
연구하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긴 합니다
2025.10.06
할루시네이션만 구분할 수 있다면 뭔 상관임. 계산기 써서 산수능력 떨어진다고 뭐 문제가 되나?
2025.10.06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2025.10.06
없을때는 다 없이 했습니다.
2025.10.06
뭐 나쁜 마인드는 아닌데... 원론적으로 GPT 안쓸꺼면 구글 서칭도 하면 안됨. only 논문 검색으로 직접 읽어서 지식 얻어야 함. GPT는 말그대로 tool일뿐... 통계분석할 때도 예로 SPSS 쓰면 결과가 바로 나오고 그걸 쓰는데, 생각보다 어떻게 그 결과가 나왔는지 통계값들 식 다 이해하고 원리 이해하는 사람 많이 없음. 그렇다고 그 사람이 그 통계값을 쓰면 안되는건 아니잖.
2025.10.06
영어는 확실히 gpt 쓴 뒤로 퇴화하긴 했음..ㅋㅋㅋ 이제 못읽겠어ㅠㅠㅠ
2025.10.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함
나도 최대한 안쓰려고 노력하며 내가 정한 선에서 활용함
논문 초안 작성: 절대 gpt 안씀 논문 교정: gpt 교정 (문장 새로 쓰는 것 X)
연구 아이디어: 절대 gpt 안씀 연구 아이디어 평가: gpt한테 평가 요청
코드 초안: 절대 gpt 안씀 코드 최적화: gpt한테 물어봄
스스로 정한 선인데 모든 초안 및 아이디어 구축은 스스로 하려고 함
2025.10.06
이런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네요 저는 GPT 적극 활용해서 더 앞서 갈 수 있으니까!!!!ㅋㅋㅋㅋ
IF : 1
2025.10.06
안 쓰고 학위 받은 사람들 중에는 그냥 본인이 하던 대로 살고 계시는 분들이 있어요. 안 쓰고 싶음 안쓰는거지
2025.10.06
최적화를 가장 빠르게 할 수 있는 툴인데 못쓰면 시대에 뒤둫어지는거지 ai 잘쓰는 수업도 개설되느 마당에 ㅋㅋ
2025.10.07
AI는 일개 작업도구입니다. 공구가 스마트해지듯이 추론도구가 생겨난거죠. 녀기에 도구 이상의 의미를 부여해 받아들이고 그 선을 구분하지 못하면 안쓰는게 맞습니다.
대댓글 1개
2025.10.07
물론 이 공사수분을 못하고 이로 인해 능률 떨어져 도태된다면 그건 본인이 공사구분을 못하고 느낌적인 느낌으로 쓰기싫다며 선택했기에당연한 책임인거구요.
2025.10.07
스스로의 힘이라는 것도 사실 추상적임. 파이썬만 해도 얼마나 많은 자동화를 기반으로 코드를 짜고 있으며, word를 쓰는것 또한 자기가 컨트롤 하지 않는 요소가 얼마나 많은지 이해하고 있어야함. 이미 수많은 추상화된 도구를 쓰는 시점에서 추상화 도구 하나 더 쓴다고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음
2025.10.07
계산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도구로써 잘 활용하는게 매우 중요함. 특히 사용자와 비사용자간 능률이 많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다같이 쓰지말자 라고 법으로 정해놓지 않는이상 안쓰면 손해가 되버림. 반면 수많은 윗 댓글들이 반복적으로 말하는 것 처럼 자신만의 룰에 따라 약간의 경계를 하는 것은 중요함. 윗 댓글들에서 말하는 것들을 종합해보면, gpt를 사용하되 본인의 능력치를 성장시킬 수 있도록 자신만의 방법으로 제한을 걸고있음. 하지만, 본인이 무엇이 부족한지 무엇을 성장시키고 싶은지 명확한 고년차와는 다르게 이제막 시작하시는 분들은 무분별하게 노출됨. 이에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이 많은 것은 어찌보면 당연함. 인터넷 처음나왔을 때와 비슷한 느낌.
개인적으로 무분별하게 노출된 새로운 세대가 적응했을 때 보여줄 새로운 차원의 퍼포먼스와 능력이 매우 궁금하고 기대됨.
2025.10.06
2025.10.06
대댓글 2개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6
2025.10.07
대댓글 1개
2025.10.07
2025.10.07
2025.10.07
2025.10.07
2025.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