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신생랩 교수님 논문이 적어요

2025.10.17

28

7397

관심 있는 랩실이 신생랩인데, 교수님이 쓰신 논문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 같습니다.

교수님 학력 정말 좋으시고 탑저널에 실린 1저자 논문 하나는 정말 대단한 성과인 것 같은데 절대적인 논문 수가 적습니다. 석박하실 적 논문 수도 그렇게 많지 않은데 포닥 시기는 전체 통틀어 1저자 논문이 아예 없고 공동저자로만 세네 편 쓰셨어요. 비슷한 시기 저희 과로 새로 오신 다른 교수님은 포닥시절 1저자, 공동저자 논문을 매년 많이 내신지라 더 비교가 됩니다...

내신 논문은 다 좋은 저널에 실리긴 했지만 왜... 논문 수가 적으신 걸까요...? 포닥 때 연구를 안 하신 건지 막 액티브한 연구자는 아니신 건지 걱정이 되네요... 아니면 아직 심사 중인 논문이 많을 가능성이 높을까요...? 근데 포닥 4~5년 동안 저 정도밖에 안 쓰신 게 정말 의아해요. 학부생 입장에서 알 수가 없어 질문 드립니다...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2025.10.18

BEST 윗분 말씀도 공감됩니다. 하지만 포닥4-5년동안 본인이 주저자로 못쓴건 분명 마이너스입니다.
이경우, 제 생각에도 심사중인 논문이 많을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그게아니면 여러가지 본인 경력, 경험등을 강조해서 임용이 됐을수도 있겠고요.
저도 탑스쿨 포닥하면서 여러포닥들 만났고, 그중 연구방향을 아예 틀면서 3-4년하면서도 프로젝트 수행은 잘하고 열심히 해서 포닥연장은 계속 됐지만, 주저자 논문은 없는 경우들도 좀 봤습니다. 이런 분들이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은 안되지만, 논문실적이 필요한 학생들 입장에서는 충분히 고민할만한 사항은 맞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5.10.18

면담 신청하고 스리슬쩍... 논문이 아직 심사 중인지 여쭤보고 싶네요ㅜㅜ 교수님께서 연구방향을 자주 변경해오신지라 새로운 분야에 두려움은 없으신 것 같고, 저도 굉장히 액티브하고 열정 넘치는 성향이기에 사람 대 사람으로는 좋을 것 같긴 한데, 막상 논문지도력이나 활발히 연구를 하실지에 대해서는 걱정이 크네요...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2025.10.18

잔잔바리 여러개보다 임팩트 있는 두세개가 나은거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5.10.18

그 탑저널 하나가 정말 임팩트 있는 논문이긴 한 것 같습니다...ㅠㅠ 감사합니다!

2025.10.18

윗분 말씀도 공감됩니다. 하지만 포닥4-5년동안 본인이 주저자로 못쓴건 분명 마이너스입니다.
이경우, 제 생각에도 심사중인 논문이 많을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그게아니면 여러가지 본인 경력, 경험등을 강조해서 임용이 됐을수도 있겠고요.
저도 탑스쿨 포닥하면서 여러포닥들 만났고, 그중 연구방향을 아예 틀면서 3-4년하면서도 프로젝트 수행은 잘하고 열심히 해서 포닥연장은 계속 됐지만, 주저자 논문은 없는 경우들도 좀 봤습니다. 이런 분들이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은 안되지만, 논문실적이 필요한 학생들 입장에서는 충분히 고민할만한 사항은 맞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5.10.18

면담 신청하고 스리슬쩍... 논문이 아직 심사 중인지 여쭤보고 싶네요ㅜㅜ 교수님께서 연구방향을 자주 변경해오신지라 새로운 분야에 두려움은 없으신 것 같고, 저도 굉장히 액티브하고 열정 넘치는 성향이기에 사람 대 사람으로는 좋을 것 같긴 한데, 막상 논문지도력이나 활발히 연구를 하실지에 대해서는 걱정이 크네요...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2025.10.18

분야에 따라 다른데 어느 분야인가요

대댓글 1개

2025.10.18

화학~신소재쪽이십니다! 분야가 굉장히 new한 편이긴 한데 생명, 물리, 화학 등 여러 지식이 복합적으로 필요한 것 같아요

2025.10.18

포닥때 주저자 하나도 없다 = 지도교수 품에서 벗어나서 독립적/주도적 연구 능력 증명 부족 = 대학원때 쓴 탑저널 좋은 논문은 지도교수/연구실 빨일 확률이 크다 = 그래도 네트워킹 잘타서 교수됬다 = 본인이 1저자로 적은 논문이 최소 10편 이하면 제자들 논문 어떻게 쓰는지 알려주기 힘든건 사실

연구력, 머리, 아이디어는 둘째 치고 "논문 작성" 자체에 지도력이 약할 가능성이 농후함. 물론 뭐 열심히 하셔서 꾸준히 성장하는 스타일이라면 몰라도.


대댓글 3개

2025.10.18

ㅠㅠㅠㅠ...... 1저자 논문이 10편에 턱없이 모자라시네요... 말이 좋아 함께 성장한다고는 하지만 역시 고민이 많이 됩니다... 솔직한 답변 감사합니다!

2025.10.18

전 반대로 임팩 있는거 1개 작성해본 사람은 자잘한 논문 수십개는 훨씬 더 쉽다고 봐요. 그런데 그 반대로 IF 10정도 중상위권 논문 다작으로 교수가 되신분은 자매지 이상의 하이임팩트는 더 어려울수도 있다고 봅니다.

2025.10.19

카프카 말에 동감합니다. 다만, 너무 MDPI나 찎어내는 수준의 10편이 아니라, 기본 Q1~Q2이상 분야별 전통성 인정해주는 저널 한정입니다.
NCS나 자매지급의 최상위 저널은 없어도, 분야별 탑티어 저널들과 분야별 전통성 있는 저널들로 채워지면 충분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물론 NCS를 못써본 사람은 교수가 되도 NCS를 쓰기 어려운건 사실이나 이는 분야별 편차가 너무 크기도 하고...
그리고, 만약 NCS 자매지급 1~2편 있어도 과연 그게 스스로 쓴건지, 대가교수, 연구실빨이 큰건지도 증명이 어렵죠. 포닥때 타 기관가서 주도적으로 쓴거면 몰라도..

2025.10.18

교수로 임용된 이유가 있을테니 그냥 믿고 따라가보세요.

대댓글 1개

2025.10.18

말씀 감사합니다!

2025.10.18

어떤 분야 연구하는지 모르겠지만 제 분야에서 논문 한 편 올리는거 수 년 걸리는 경우 허다해요. 대학에서 임용한건 이유가 있으니 따라가 보면 해보시는거 괜찮을듯 제 생각엔 앞으로 학계를 리드할거라 생각하는거 같네요 지도교수가 젊으면 석박 이후로도 같이 할게 많아요

대댓글 1개

2025.10.18

연구실 소개나 면담 때 교수님의 비전이 굉장히 인상깊었고 논문이 정말 재밌었던지라 열정을 바쳐 개국공신하고 싶다가도 역시 포닥 시기나 논문 수가 마음에 걸리는 것 같습니다ㅜㅜ 링크드인 보면 연구자 간 네트워킹은 잘하시는 듯한데... 역시 부딪혀 보지 않는 이상 모르는 일인 것 같네요ㅎㅎ... 말씀 감사합니다!

2025.10.18

김치국부터 마시는듯하네요. 교수 아무나 임용되는거 아닙니다. 논문은 분야나 상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수 있는 부분이구요. 게재된 편수가 적다고해서 실력이 부족하다고 단정짓는것도 어불성설이죠. 컨택해서 그 교수님이 님을 뽑아준다고 하시면 그 때 걱정하세요.

대댓글 1개

2025.10.18

학과에 훌륭한 교수님들이 많이 계셔 컨택에 더욱 신중하고 고민이 깊어졌던 것 같습니다... 저도 정말 대단하신 분인 것은 알지만 신생랩이 신생랩인지라 학생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불안해지는 것 같네요ㅠㅠ 말씀 감사합니다!

2025.10.18

교수 임용에 여러 요소가 있고 나이나 펀딩도 능력으로 처서 동일한 급의 지원자면 더 나은 사람을 뽑죠
확인해보세요 동일한 실적이면 펀딩이 많은 사람이 학교에 좋습니다

2025.10.18

요즘 교수 임용 진입 장벽이 많이 낮아졌습니다. R&D 예산 감축과 더불어, 대기업 연봉과 비교하면...그래서 윗 댓글들이 교수 아무나 되는거 아니다 라고 하시지만, 3~4년 전 오신 분들이랑 최근에 오신 분들의 실적 차이가 좀 두드러지게 납니다. 분야별 편차가 있겠지만, 그러한 경향성은 학교 내부적으로도 공공연하게 공유되는 내용입니다. 포닥을 무려 4-5년이나 했는데 논문을 못 썼다면, 능력적으로 우려가 되는 부분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논문 작성 관점에서 학생들을 지도가 원활히 될지도 우려됩니다. IF가 높아질수록 연구가 좋아진다고 볼수도 있으니, 교신저자들의 Name에 더 가중치 부여되는 경향도 있습니다.

2025.10.18

분야에 따라 다릅니다 같은과 내라도 다를수 있음. 동일 과목 가르치더라도 분야 학회에 따라 실험 요구량이나 전체적인게 꽤 다릅니다. 1저자 5개 내고 교수 되시고.. 뭐 학부생이 논문 가끔 쓴다 소식 들리는데 이런 분야는 해당 안되는 얘기죠 실험하는데 한세월이나 여러 메트릭읗 봐야하는경우..

2025.10.18

제가 미국에서 초짜 교수 밑에서 박사 했는데 운이 좋아서 이전에 교수가 내본적 없는 IF 40짜리를 냈어요. 펀딩사정이 중요하고 연구 주제가 하고 싶은 연구면 가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그 지난한 과정을 버틸 수 가 없어요.

2025.10.18

학부생 주제 시건방 떨긴

대댓글 1개

2025.10.18

멘트가 쎄긴한데, 이말이 매우 맞음. SKP 학사라고 해도 정말 건방진 생각입니다. 단편적인 모습만 보고 예단하기에는 본인 지식이 한없이 미진합니다. 교수 자리 카드 쳐서 따낸거 아닙니다 ㅎㅎ 아마 탑저널 1편(아마 NCS 자매지?)으로 일단 임용당시 면접에서 잠재력을 보여줬을거고, 언더리뷰 중인 탑 저널 여러개가 있어 나중 affiliation이 해당 학교 소속으로 될거다에 기대감 등도 있을수 있습니다

2025.10.19

석사만 할꺼면 분야만 보시고 가시면 되고요.
분야가 비슷하다면 실적 많은 곳으로 가세요.

박사과장시 논문 좋은것은 본인 능력만 있는게 아니고 지도교수 능력. 박사과장시 1저자는 실제로 1저자는 아니죠. 특히 우리나라는.

2025.10.19

지금 교수로서 랩을 운영하는 분이라면 대학교측이 바보가 아닌 이상 그저 그런 사람을 교수로 임용하지 않았겠지요? 학부생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관점이 많이 모자라다고 생각이 듭니다. 낙하산이 아닌 이상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겁니다. 내가 보지 못하는 그런 레벨의 사람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2025.10.19

포닥때 1저자를 못쓰는 경우는 한국 지도교수 비위 맞춰서 얻어낸 경우 많습니다 ㅋ 술마시고 놀아주면서 정치로 얻는 경우 허다

2025.10.21

요즘 느끼는데 진짜 연구를 게시판 글로만 배운 애들 천지삐까리다. 연구가 무슨 온라인게임 레벨노가다하면 나오는 줄 알아....내가 면담해본 애들도 글쿠....ㅠㅠ

2025.10.21

신생랩 교수님 논문은 학생이 써 주는 것이죠. 관점을 바꾸어 보시길. 그래야 학생이 졸업하고 자리 잡을때 한창 잘나가는 교수 첫 제자로 인정 받지 않겠어요?

2025.10.23

보는 것마다 스타일마다 다른데요, 어떤 교수님은 적당한 수준에서 끊어서 논문 여러개 내지만 그게 전부인 사람도 있구요 ㅡ 이런경우 대게 하나에 쉽게 실증내고, 성질급한경우 ㅡ 그러나 하나를 깊게 파고 고민해서 novelty를 추구하는 경우는 하나 쓰는데 오래걸리지만 그만큼 그토픽에 대한 깊이가 다릅니다. 본인이 어느성향과 더 가까운지, 그리고 토픽이 관심있는지 한번 체크해보세요. 석사면 솔직히 주제랑 교수인성 정도만 봐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