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CFD연구를 하고 싶은 학부생입니다.

2023.01.13

10

4789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01.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력쪽에 있습니다

석사 기간중 논문 하나 내면 ㅆㅅㅌㅊ 입니다

대댓글 4개

2023.01.13

전망이 좋다는 말씀인가요?

2023.01.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뇨 그만큼 논문 나오기 빡센 분야 라는거에요

2023.01.13

아하..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논문 하나 쓰기가 어려울 정도면 석사 학위 취득이 가능한 건가요?

2023.01.13

딱히 저널 내자 않아도 졸업 다 시켜줍니다

2023.01.13

ㅎㅎ 국내 CFD는 상용코드를 가열차게 연습해서 합리적은 결과를 잘 뽑을 수 있는 단계까지 올라가면 논문은 잘 나옵니다. 이 때부턴 어떻게 응용하냐의 문제이기 때문. 하지만 상용코드는 말 그대로 전 세계 많은 CFD인력들이 사용해서 애지간한 건 다 해석하는 수준이고 국내에서 뭘 더 할 수 있는진 사실 잘 모르겠네요.

연구실이 자체적으로 in-house 코드를 짜서 CFD해석한다면 석사 기간동안 배울 게 분명 있을 것이고 하다 못해 OpenFOAM open source이용해서 해석하고 변형하는 정도라도 좋습니다. 그런데 쌩판 CFD만 하는 곳이면 사실 지금 들어가긴 별 매력이 없어요 ㅎㅎ. CFD중에서도 flow의 디테일한 부분을 해석하는 연구는 그래도 조금 괜찮은데 이거 하려면 컴퓨터 성능도 기깔나게 좋아야해요 (슈퍼컴 수준으로). 국내에서 국외 슈퍼컴 맘껏 쓰면서 연구 팡팡 할 수 있는 연구실이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 CFD는 컴퓨팅이라서 성능 딸리는 거 붙잡고 연구하면 정신병 걸립니다.

대댓글 3개

2023.01.13

시간 내 답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쌩판 CFD만 하는 곳이 매력이 없다는 말씀은 순수하게 코드를 발전시키는 연구보다는 응용 분야가 낫다는 의미일까요?
하나만 더 여쭙자면 지인이 항공우주는 아니지만 서울대 대학원에 있는데 컴퓨팅 시설이 나쁘진 않다고 하더라고요. 제가 갈 역량이 되는지 모르겠지만 서울대 항우과의 연구실은 어떻게 보시나요?

2023.01.14

제가 말한 쌩판 CFD만 하는 곳이란 in-house 코드를 직접 짜서 관련된 재밌는 CFD 연구 주제에 응용하는 랩이 아닌, 기존 상용 프로그램 라이센스만 사서 열심히 돌리는 연구실이요. 상용 프로그램은 너도 나도 프로젝트 한 두 번 해보면 손에 익는 뭐랄까 툴 같아서 석사생이 가서 뭘 배운다고 하기엔 별로 그렇게 매력 없어요. 고생고생해서 뭔가 좀 프로그램을 돌릴 줄 알아봤자 이미 저 구석 어느 나라 연구실에서 해석 다 끝내고 곰탕 같이 논문 여러번 쓴 분야일 확율이 높아요.

CFD는 수치해석 기법으로 지배 방정식을 쪼개고 쪼갠 다음 그냥 수렴 할 때까지 컴퓨터로 반복 계산 뚜드리는 무식(?)하고 컴퓨터가 다 해주는 연구라 이미 왠만한 응용분야는 mature하고 pervasive 할 꺼에요. 가고 싶은 연구실이 그래도 좀 재밌거나 핫한 연구에 CFD를 응용하는지 잘 보고 찾아가세요.

2023.12.04

회사에서 유동설계를 하고싶어서 CFD 계열로 진학하려는 학생입니다.

우선 상용프로그램 돌리는 것만을 배우는건 큰 차별점이 없다는데 동의합니다! 궁금한 것은 상용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해석하고 ROM이나 Sampling, low fidelity-high fidelity CAE 조합 등 해석에 들어가는 자원을 줄이는 방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논문을 작성하기에는 새로움이 많지 않다고 느껴지긴합니다. 해당 분야에도 차별점이 있을까요? 아니면 흔한 분야일까요?

2023.01.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열심히 해서 유학 가세요~ 미국 주립대 컴퓨팅 환경이 kisti (국가슈퍼컴퓨팅센터) 와 비교도 안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