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자신이 뒤쳐져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께

능글맞은 호르헤 보르헤스*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04.20

39

13511

대기업에 입사하게된 저희 실험실 박사 형보고 영감을 받아 글을 적습니다. 사실 입사한지는 반년이 넘었지만 최근 이 형과 술자리 가지면서 이래저래 생각 정리가 되서 글을 적습니다.

저희 실험실 박사형을 제가 처음 알게된 시기는 제가 학부생인턴 4학년2학기때 였어요. 이 형은 당시 석사 한 학기한 상태였구요(형을 A라고 지칭할게요). A형은 당시 동기 2명(B,C형으로 지칭할게요)이 더 있었어요. 윗 박사, 포닥뷴들이 가끔 저에게 와서 대학원 생활에 대해 조언이나 얘기하시면 A,B,C형 비교하면서 얘기를 많이 해주셨어요. 다른 분들 모두 B,C형을 더 잘한다고 생각하더라구요. 실제로 그렇게 생각할만 했어요. 교수님, 포닥분들이나 박사분들이 지시나 어떤걸 시키면 딱딱 말귀 알아듣고 하는건 B,C형이 였으니까요. 심지어 테크닉적으로도 B,C형이 더 뛰어났어요. 생물학 전공이신 분들은 아마 아시겠지만 실험 손 많이 타는거 있어요. 그런점에서 테크닉이 좋은건 큰 장점이에요. 무튼 다들 그렇게 생각하고 분위기도 B,C형에게 신뢰하는 분위기였어요. B,C형들 본인들도 알고 있었구요.

근데 저는 좀 다르게 생각헀어요. 저는 A형의 큰장점을 봤거든요. 여기서 A,B,C형들 업무 스타일을 말씀을 간략하게 그리자면
A형은 진짜 정석 스타일. 오로지 정공법으로 우직하게 밀고나가는 타입이에요. 남들이 볼땐 융통성 없다, 답답하다고 느껴질만해요. 남들에 비해 이해라던가, 실험시간도 오래걸리구요. 대신 꼼꼼하구요.
B,C형은 스타일이 비슷한데 대단히 일처리가 빨라요. 진짜 봐도 극효율을 좋아해서 시간, 실험 시료낭비도 최소구요. 진짜 누가봐도 깔끔하게 딱딱 일하는 타입이에요.

아무래도 한국 대학원 문화나 기업 정서상 B,C형 타입을 선호하는것 같아요. 근데 제가 A형의 진가를 알게된게 제 석사1학기차 였어요. 실험실에 프로젝트 때문에 단체로 모여서 사전 조사(논문 조사)와 랩미팅을 하는데 B,C형은 진짜 논문을 보고 어떻게 실험할지 어떻게하면 효율적으로 할지 고민한다면 A형은 진짜 논문 처음부터 끝까지 한글자도 빠짐없이 읽은 다음 관련 논문과 자료들을 찾아서 읽더라구요. 랩미팅 자리에서 B,C형은 실험 계획과 진행방향에 대해 얘기를 한창하고 있을때 A형이 정말 정곡을 찌르는 질문 2가지를 하더라구요. 교수님도 순간 당황한게 눈에 보였어요. 의외에도 남들에 비해 느리지만 남들이 놓치는 부분과 생각지도 못한 부분을 챙기시더라구요. 또 하루는 곰팡이를 식물에게 에게 처리하고 농약을 처리하는데 다른 형들은 30분 이면 딱딱 보는거 A형은 무슨 1시간 30분이 걸리는거에요. 모든 실험실 사람들이 전부 답답하다고 했어요. 그러다가 이 형이 뭔가 실험이 이상하다면서 교수님께 말하더라구요. 그러면서 실험 데이터를 가져와서 얘기하는데 다들 처음엔 그냥 넘겼다가 결국 A형 말이 맞도라구요.....저는 A형의 진가를 알게됬어요. 사람들이 어떻게든 가시적인 성과를 낼려고 혈안이 될때 누군가는 묵묵히 뒤에서 남들이 못보는 면을 관망하는 사람이 있다는걸...그리고 그들이 필요하다는걸 저는 깨달았어요. 더 웃긴건 교수님에게 끝까지 인정 못받은 형은 박사는 다른곳에서 해서 결국 대기업 입사했어요.

최근에 형과 술자리를 가지면서 이런저런 얘기를 했어요. A형이 그러더라구요. 자기는 모든지 남들보다 늦었다고...대학도 재수했고 석사도 남들보다 한학기 늦게 졸업했다고. 하지만 결국 최종 결승선은 대기업이라고. 거북이가 아무리 훈련을 하더라도 토끼보다 빠를순 없지만 특유의 뚝심과 노력으로(다른 장점) 이겨낼 수 있다고 하시더라구요. 여러분도 반드시 본인만의 장점이 있다고 생각해요. 당장은 남들보다 좀 띨띨해보이고 모자라보여도 꾸준히만 한다면 결국 앞지를 수 있어요. 절대 남하고 비교하지 마세요. 누구나 자신의 기량을 만개하는 시간이 다를뿐이에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9개

2023.04.20

A형 여기서 이러면 곤란해...

2023.04.20

A분은 그냥 기업에 잘 맞는 사람인듯. 기업 가셔서는 잘하실 것 같음.
다정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3.04.20

한국이 효율을 엄청 강조하는건 사실임. 그걸로단기간 급격한 성장을 이룬거고. 대신 장인정신이 없는 것도 사실임. 이건 우리나라 연구 문화에도 그대로 나타남. 많은 랩들이 단기간에 엄청난 논문을 쏟아내지만 임팩트있는 논문은 없음.

대댓글 3개

2023.04.20

저희분야는 네이쳐 자매지급을 안쓰면 교수 못되던데. 네이쳐 자매지가 임팩트가 없으면.... 뭐가 있는거죠?
다정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3.04.20

논문의 임팩트가 저널 타이틀에 의해 결정되진 않습니다만
짓궂은 마르틴 하이데거*

2023.04.20

여러분들 우장춘씨처럼 댓글달면 공개적으로 나는 개 빡대가리입니다. 문제가 있는 사람입니다 자랑하는거에요 알겠죠?

한국 연구실의 고질병인 공장식 논문작성을 지적하는 글에
"저희분야"는 "네이처 자매지를 못쓰면 교수가 못되는데" "네이처 자매지가 임팩트가 없으면" 뭐가있냐는데

원 댓글은 놀랍게도 분야도, 교수도, 심지어 네이처 자매지가 임팩트없다는 소리도 하지 않았답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전형적인 망상병이 있는거에요.

IF : 5

2023.04.20

미안하지만... 냉정히 말해 대기업이 사람의 결승선이 될 순 없어요. 거기서부터 시작이죠. 아마 기업에선 더한 효율의 압박에 시달릴거예요. 아무래도 그게 본질이 되는 곳이다 보니까요. 학교에서 연구하듯 일한다고 욕먹는 것도 숱하게 봤습니다. 기본기가 있으시니 적응하셔야겠죠.

대댓글 4개

능글맞은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04.20

그런 말은 보통 대기업 이상의 사람이 해야 신뢰가 있는거라....죄송하지만 님 조언은 신뢰가 없네요.

IF : 5

2023.04.20

아래 댓글들처럼 박사따고 고작 대기업간걸로 그러냐는 뜻이 아니라, 어딜 갔든 취직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커리어 시작이기 때문에 뭔가 성취했다고 샴페인 터뜨리기엔 아직 이르다는 뜻입니다. 이미 터뜨렸다면 잘 정리한 다음 이젠 더 부여잡고 잘해야 한다는 거구요. 형님이 회사에선 스타일을 바꿔야할 수도 있겠죠. 빨리 변해야 살아남는 곳이기도 하고요. 기업 다니는 사람이 못할 얘긴 아닌 것 같네요. 잘 읽어주세요.
능글맞은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04.22

아뇨 제 말의 포인트를 전혀 못잡으시고 계세요. 회사내에서 업무 스타일 바꾸는건 A형의 몫이고 A형의 판단이죠. 그 형이 대기업이 목표였고 그걸 이루었다면 결승선이라고 생각할 수 았죠. 물론 님 말대로 또다른 어려움이 있겟지만 그건 그 사람이 몫이죠. 그리고 제 글전체를 깡그리 무시한채 단어하나에 꽂혀서 A형 당사자도 아닌 사람이 마치 세강 이치를 다 깨달은것 마냥 이래라 저래라 할 사항이 아니라는거죠.

IF : 5

2023.04.22

그게 의도였다면 천천히 해도 꾸준히 꼼꼼하게 잘 하면 대학원 과정을 완주할 수 있다는 식의 서술이 나았을거예요. 어디 들어간 것보다 일단 형님이 대학원 무사히 마치고 자리를 일단 잡았다는 것 자체가 중요해보여서요. 지금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이 오해없이 읽었을 것 같네요.
그리고 여러번 다시 읽어봤는데 그냥 하나의 결승선도 아니고 '최종 결승선'이라는 말은 커리어에 있어 정말 위험하고 파괴적인 단어인건 맞아요. 심지어 요즘은 은퇴도 결승선인지 아닌지 긴가민가한데요. 학교에 오래 있다가 이제 처음 사회생활 시작해서 아직 순수한 신입박사의 시각이라 생각하면 이해는 됩니다.

2023.04.20

결론이 이상해

2023.04.20

이공계 박사 받고 대기업은 그냥 다 가는거 아님..? 교수 됐다는 줄..

대댓글 4개

능글맞은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04.20

누가보면 당신은 미국교수인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3.04.21

수준 심각하네..

2023.04.21

배비지님 그냥 무시하세요ㅋㅋ 작성자님이 다른 세상에 사시는듯
능글맞은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04.28

뭐가 수준임? 본인 뭐 높은 자리이신가요? 여기서 글 싸지르는거 보면ㅋㅋㅋㅋㅋㅋㅋㅋㅋ걍 커뮤니티 여포 인생인데 무슨 ㅋㅋㅋㅋㅋㅋ대기업은 당연한거다?ㅋㅋㅋㅋ아이고

2023.04.20

최종 결승선이 왜 대기업인가요? 박사 졸업하고 대기업 입사하면, 뭐 그냥저냥 평균정도한거 아닌가?

대댓글 1개

능글맞은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04.22

일년에 박사 졸업자수가 몇명인지 아시고 그중 대기업 간분이 몇이나 될것같으세요?? 평균이라고 하신다는건 전국 박사졸업생중 절반이상은 대기업보다 더 좋은 곳에 갔다는데 근거가 있나요?
직설적인 아르키메데스*

2023.04.20

글을 다 읽어봤지만.. B, C형 보다 A형의 장점이 있는가 싶다..

2023.04.20

자신이 뒤쳐져 있다고 생각하면 정말로 뒤쳐진거 맞아요~

2023.04.20

음... 아직 학생이신 것 같고 A형을 보고 위안을 얻으신 마음은 알겠는데

여러 케이스를 보고 각자 어떻게 살지는 각자 정하는거에요
A의 케이스가 누구에게나 다 위안이 되지도 공감이 되지도 않는 이유가 그런 거임

2023.04.20

최종 결승선이 대기업이라고 스스로 말하다니..
Skp 신임 교수도 후배들 앞에서 저리 말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는데..

대댓글 3개

능글맞은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04.22

자신의 인생 목표가 대기업일 수 있는거 아닌가요? 사람마다 추구하는 목표가 다른건데

2023.04.22

그럴 순 있는데 그냥저냥 석박하면 대기업은 다 가는데, 좋은 연구자가 되는 게 목표가 아니라 대기업이 최종 목표라..?

개인의 가치관 차이긴 하지만 대학원생이라면 단지 대기업 취직 하나에 안주하는 것도, 그걸로 과하게 띄우는 것도 좋지 않아 보임
능글맞은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04.28

그건 님이 간섭할 문제가 아니죠....누가 님 대학원 랩실 거기 간것에 대해 딴지 걸면서 다른 더 좋은 실험실과 비교하면 기분 안좋죠. 그리고 석박하면 그냥저냥 대기업간다는데 1년에 이공계만 박사졸업자가 1만6000명입니다. 대기업이 이 인원을 소화한다?ㅋㅋㅋㅋㅋㅋ아이고... 정말 대학원생 맞으시죠....?

2023.04.20

박사하고 대기업 가는건 사실 잘 간건 아니죠..
대다수가 원하는 교수 정출연 공기업 연구직이 워낙 자리가 없다보니 실적좋은 사람들이 다 차지해서 사기업으로 대다수가 가는거 같습니다.

2023.04.20

대기업이 결승선이라니 이불킥하실듯..

2023.04.20

저 랩에서는 대기업이 최고로 잘 간 케이스인가 보네요..

2023.04.20

ㅎㅎ 저는 정출연/학교 모두 경험해봤지만, 학계로 간사람들의 가장 큰 문제점이 본인이 사기업간 사람들에 비해서 잘나가고 똑똑하다는 착각입니다.
각자의 분야에서 잘하면 되는거고, 기업간 사람들중 정말 뛰어난 사람도 있고, 오히려 더 사회에 공헌한 사람들도 있는데, 이상한 선민사상에 찌들어있는 사람들.. 뒤에서 욕먹습니다~

대댓글 1개

IF : 5

2023.04.20

그러게요 아니 취직한게 인생 끝이 아니라 또다른 시작이니 가서 잘하는게 찐이라는 뜻으로 위에 댓글달았는데 왜 제 밑으로는.........

2023.04.21

인생에 결승선은 없는거 같습니다..

2023.04.21

조직문화에서 인정은 사람이 해주니까. 만약 대기업도 선택권이 있다면 bc를 인정하지않을까요. A는 꼼꼼하다고 하니 장점이 있으나 bc와 같이 빨리하면서 꼼꼼하셔야될듯 ㅠ

2023.04.21

박사 나와서 대기업 간건.... 자랑할껀 아닌거 같습니다...

2023.04.21

회사가 오히려 효율 겁니게 따집니다...
석사졸업이고 회사는 올해 대기업 진입하는 회사인데, 나름 효율적으로 하는걸 선호하는데도
좀더 효율을 요구해요

2023.04.21

전파거북이 형님이 생각나네요

2023.04.21

A는 학교나 연구소가 맞는 사람

2023.04.2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러니까 다른 박사 포닥 교수는 사람 진가를 못알아보는 사람들이고 너만 A의 진가를 알아봤다는거지?

대댓글 1개

능글맞은 호르헤 보르헤스작성자*

2023.04.28

그건 모르겠는데 그쪽 가정 교육 못받은건 알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