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30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6 - 어그로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현직 교수입니다. 공감합니다..ㅋㅋㅋ
미국 포닥들 삐대는거 참 가소롭다...ㅋㅋㅋ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교수님 컨택 후 면담에서
2023.06.08

뒤늦게 자대 타과 대학원에 진학을 하고 싶어서 컨택을 했고,
면담을 하기로 한 상태입니다.
컨택 과정에서 교수님이 향후 진로에 대해 질문하셨고,
저는 특정 연구소에 관심이 있다~ 이 외에도 ~~~관련 기관에 가서 연구를 하고 싶다는 식으로 말씀드렸습니다.
면담을 앞두고 걱정인 부분은
제가 나이도 꽤 있고, 학부 시절부터 전공과 무관한 진로와 대학원을 고민하다 결국 대학원은 2순위로 두고 진로를 결정한 만큼
박사과정까지 진학할만큼 공부를 계속 할 자신이 없는데 석사만 하겠다고 말씀드려도 되는지?와
졸업 후 공백기(다른 진로 준비)로 인해 교수님이 대학원 진학에 대한 로열티를 의심하시지 않을까 하는 점입니다. (진학 후 그만두거나 제대로 안하는 거 아닐까?와 같은 우려를 하실 것 같아서요. 학부연구생 경험도 없어서 일단은 인턴을 해보고 싶다고 의사를 밝힌 상태입니다.)
대학원 입시를 경험하신 선배님들께 여쭙고 싶은 부분은
1. 석사 과정만 원한다는 걸 솔직하게 말씀드려도 될지, 아니면 제 역량이 부족해서 박사과정까지는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식으로 덧붙여서 말씀을 드려야하는 건지
2. 학부 때부터 학부 연구생 - 연구실 인턴 거친 후 랩실에 입학한 경우가 아닌, 졸업 후 공백기를 거쳐 대학원에 진학하신 분들은 다들 로열티를 어떻게 보여주셨는지 궁금합니다.
-
6 2 32225 -
14 17 13691
대학원 선택관련 김GPT 1 10 5188
신임교수님과의 면담 김GPT 3 7 3474-
11 14 3802
교수님 이직 김GPT 3 5 6385
대학원 컨택 김GPT 0 5 1683
대학원 입시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GPT 0 2 3269
자대 대학원에 대해서 궁금한거 김GPT 3 3 1150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 명예의전당 189 34 57486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 명예의전당 183 36 33242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47 34 9702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