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미국에서 취업한 경험, 이직한 경험들을 토대로 혹시 미국취업에 관심이 있는 분들 상대로 글을 남겨볼까 합니다 제 경험들과 제 주위사람들에게 들을바를 토대로 글을 쓰는 것이니 어느정도 의견이 다른 분들도 있을수 있다는 것을 미리 전제해 두겠습니다
1. 유학 vs 국내박사 유학이 절대적으로 유리하고 미국 취업에 생각있으시면 무조건 유학하라고 권합니다. 세가지 관점에서 그렇습니다. 첫째, 비자문제, 둘째, 미국학위하는 동안 인턴을 하거나 정보를 접함, 셋째 네임밸류입니다. 일단 비자문제부터 보면 미국에서 유학을 마치면 석사든 박사든 바로 미국내에서 취업이 가능합니다. 한국에서 학위하는 경우 박사후에 포닥을 하면서 NIW후에 미국 영주권을 받은 후 취업하는 방법이 있는데 미국에서 학위만 받고 바로 취업하는 경우가 성공 가능성이 훨씬 높습니다. 둘째, 미국에서 학위를 하게되면 다양하게 취업하는 사람들을 보게되고 정보를 듣게 되고 인턴을 하게 되는데요. 이게 취업을 하는데도 도움이 되고 인더스트리에서 일하는데도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저의 경우도 박사도중에 인턴을 하고 리턴 오퍼를 받아 졸업후 바로 취업을 한 경우고요. 상당수 유학생들이 이런 방식으로 인턴을 통해 졸업전에 미리 잡오퍼를 받습니다. 셋째는 네임밸류인데요. 미국에서는 생각보다 학벌에 대한 차별이 적긴 합니다. 그런데 또 한번도 못들어본 외국 대학과 그래도 어디 있는지는 알법한 미국 학교는 좀 다르다고 합니다 (이건 사실 저도 한국에서만 학위를 받고 한국에서 회사다니시다가 미국으로 넘어오신분께 들은 이야기입니다). 이건 첫 취업 뿐만 아니라 이직할때도 계속해서 어느정도 영향이 있는것 같더군요. 이런면에서 저는 일단 유학을 무조건 추천합니다.
2. 학벌 vs 전공분야 저는 일단 전공분야를 가장 최우선에 두고 그 다음으로 학벌을 신경쓰라고 하고 싶습니다. 이게 미국의 기업은 고용해서 바로 쓸만한 사람을 찾습니다. 교육시켜서 적응시켜서 쓸 사람이면 그냥 미국인을 뽑고요. 그게 아니라 외국인을 뽑는 경우 스페셜리스트 즉 쉽게 대체 안되는 특별한 지식과 기술을 가진 사람을 찾습니다. 때문에 자신이 어떤 전공이고 어떤 분야에서 어떤 박사논문을 썼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저의 경우 전기공학 출신인데 전기과 안에서도 컴퓨터 비전 머신러닝이나 디지털회로 이런걸 공부한 사람은 학벌에 관계없이 취업이 상당히 잘되고요. power systems같이 공기업 위주인곳은 외국인 취업이 쉽지 않습니다. 어떤 세부전공과 논문주제가 좋은지는 유학을 가시게되면 정보를 들으실수 있으실텐데요. 여튼 하고픈 말은 학교 랭킹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좋은 분야를 택해서 그분야에서 실력을 쌓으면 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여기서도 학벌이 좋으면 좋긴 합니다만 제 요지는 좋은 분야를 택한다면 랭킹에 관계없이 취업이 다 잘됩니다.
3. 취업방법 일단 저의 방법은 첫번쨰단계는 커리어페어를 꼬박꼬박가서 이력서를 돌리고 인터넷으로 무한 지원을 하는 방법이었습니다. 그럼 연락이 오고요. 그 다음부터가 문제인데요. 인턴이든 풀타임이든 전공질문을 상당히 구체적으로 깊이있게 하고 이 면접이 당락을 결정하는데 결정적입니다. 제가 상당히 많은 면접을 봤는데 대다수의 경우 그랬습니다. 그리고 이 전공 면접 준비를 저는 박사과정 하는내내 꾸준히 시간을 들여 공부를 했습니다. 공부를 한다는게 면접에서 자주 물어보는 관련 질문들에 대해서 코쎄라 강의를 듣거나 전공책을 읽는 것 이런것들을 많이 했습니다. 같이 공부하던 친구들도 모두 미국 취업 준비를 해서 같이 정보교류도 많았구요. 논문을 쓸때 알아야 하는 지식과는 또다른 지식이 어느정도는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인턴이든 풀타임이든 경력을 좀 쌓고 링크드인에 이력서를 올려놓으면 그때부터는 계속해서 회사들에서 먼저 연락이 오더군요.
4. 취업확률? 일단 ECE에서 함께 공부한 제 친구들은 모두다 취업에 성공했고 그 이후로도 모두다 이직도 잘하고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고 있습니다. 간혹 자신의 의지로 본국에 돌아가서 교수가 된 케이스를 제외하면 미국에 다 남아있고요. 미국에서 취업이 안되서 본국에 돌아가거나 그런식으로 실패한 사례가 단 한명도 없어요. 이건 제 세부전공이 미국에서 수요가 많은 분야라서 그런 영향도 좀 있다고 보구요. 제가 유학한 학교가 탑스쿨은 아니었습니다. 저는 그래서 혹시 미국 취업에 관심이 있다면 너무 겁먹을 필요없이 미국에 오라고 권합니다
5. 취업후 연봉? 저는 levels.fyi를 보시라고 권합니다. 회사마다 너무 다르고 이게 기본급이 있고 주식이 있고 싸이닝보너스는 또 따로있고 그런데 이 싸이트가 그걸 제일 잘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게다가 세부분야에 따라 연봉도 천차만별이라 제가 연봉이 이렇다 찝어서 말씀드릴수가 없습니다.
적어놓고 보니 너무 두루뭉술한 정보같긴 한데 여튼 그래도 혹시 관심있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2023.07.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좋은글에 뻘글 죄송하지만 미국에서 예쁜 백인이랑 결혼해서 사는 경우도 많나요? 아니면 동양 남자는 연애시장에서 최하위라는 말이 맞나요...
대댓글 5개
2023.07.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는 딱 반년 탑대학에 교환유학 다녀온 적이 있는데 진짜 이쁜애들은 엄청 많았는데 그 중에 아시안이랑 진지하게 사귀는 애는 한명도 없더라고요. 갑자기 생각나서요.
IF : 1
2023.07.21
ㅎㅎ 많이들 물어보는 질문이라 괜찮습니다 제 주위 케이스들은 대부분 한국인들은 한국인들끼리 만나서 결혼 많이 합니다 여자든 남자든 관계없이요 제 주위에 여자들 중에 세명이 미국 시민권자랑 결혼한 경우가 있는데 시민권을 가지고 있더라도 전부다 한국인 부모님을 가진 한국말 잘하는 남자와 결혼했고요 결혼은 미국에서 만나는 경우도 있고 한국에서 만나서 같이 오는 경우도 있고요 제 주위에도 대다수가 동양인 남자인데 다들 잘 만나서 결혼했어요
대담한 프리모 레비*
2023.07.21
동양 남자는 백인/흑인한테서 남자 취급도 못받아요
집요한 토마스 홉스*
2023.07.23
님이 잘생기면 굳이 궁금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요? 한국에선 평범한데 외국가서 갑자기 미남미녀가 되진 않죠
2023.07.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토마스 홉스님... 왜 긁히셨는지는 모르겠지만 글은 읽고 댓글 달아주세요. 동양남자가 잘생기건 말건 다른인종은 이성으로 안본다는 글입니다. 마치 우리가 자기들끼리 이쁘다는 동남아인보고 진지한 연애/결혼 상대로 잘 고려 안하는 것처럼요.
2023.07.21
좋은 글 감사합니다!!
2023.07.21
안녕하세요 skp에서 컴퓨터비전 박사과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현재 졸업이 1-2년 정도 남았고 미국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혹시 미국 취업을 위해서는 무엇을 우선으로 준비하는게 좋을지 (영어실력 , 논문 , niw , 코테 등등)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대댓글 1개
IF : 1
2023.07.22
우선 좋은 분야라 국내박사라도 미국에서 좋은 결과가 있을것 같고요 말씀하신 영어, 논문, niw, 코테 네가지 모두가 중요합니다 우선 niw변호사를 여럿 컨택해보시길 추천합니다 보통 이정도면 된다 안된다를 말해줄껍니다 보통 niw가 1년반-3년정도 걸리고 국내박사의 경우 사실상 niw승인 전에는 미국취업이 불가합니다 (포닥처럼 j1비자로 가는 경우를 제하면요) 그래서 미리 준비하는게 좋구요 변호사가 지금 당장 진행 가능하다던지, 박사학위를 받고나서 신청하는게 낫겠다던지, 논문이 더 필요하다던지 하는 조언을 해줄겁니다 보통 되는 케이스의 경우 승인이 안되면 변호사비를 100퍼센트 환불해주겠다고 조건을 거는 변호사도 있으니 여러명에게 상담 받아보고 가능성을 보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그외에 말씀하신 영어, 코테, 논문은 고르게 노력하시는게 좋습니다
2023.07.21
좋은 글이네요.
3번 취업방법에 다른 루트도 더하자면
1. 컨퍼런스 참석하여 적극적 네트워킹 : 현재 인더스트리 리서처 입장에서 말해보자면, 컨퍼런스 가는 이유 중 하나가 인재파악입니다. 괜찮은 인재가 있으면 회사내부에서 정보가 돌고돌아 나중에 캠퍼스 리쿠르팅이나 인턴쉽 구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직위가 높은 리서처가 참석하는 경우, 컨퍼런스 현장에서 인턴쉽 기회나 풀타임 기회가 바로 나올 수도 있어요.
2. 가능하면 무조건 인턴쉽 : 저는 인턴쉽 없이 캠퍼스 리쿠르팅으로 입사했지만, 인턴쉽 경험이 취업에 엄청 도움됩니다. 특히 인턴쉽을 한 회사의 경우, 고용 1순위 브래킷에 속하는 경우가 허다해 다른 일반적 루트보다 혜택이 큽니다.
3. 스토리텔링 및 커뮤니케이션 : 이건 직접적인 취업루트는 아니지만 정말 중요합니다. 연구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연구결과를 상대방에게 말로서 잘 설득시킬 수 있는지가 어찌보면 더 중요합니다. 특히 온사이트 인터뷰의 경우, 세미나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 망해버리면 좋은 첫인상을 주기도 힘들고 인터뷰도 꼬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댓글 1개
IF : 1
2023.07.22
전부다 동의합니다 저는 특히 인턴 부분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미국유학의 최대 장점이 인턴을 여러번 할수있고 그래서 취업확률이 확실히 올라간다는건데 많은 한국 유학생들이 이 장점을 잘 활용하지 않더군요 ㅠㅠ
무심한 코페르니쿠스*
2023.07.22
안녕하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저도 국내에서 머신러닝 전공으로 박사 졸업이 얼마 남지 않은 학생인데요, 미국 빅테크 취업이 목표입니다.
미국 대학에서 포스트닥을 하게 되면 미국에서의 취업 확률을 조금 더 높힐 수 있을까요? 국내 박사 출신이라 미국 기업에 바로 취직하는 루트가 어려워 보일 수도 있을 것 같아보여 여쭙니다.
대댓글 1개
IF : 1
2023.07.22
제 개인적인 사견임을 먼저 밝히고요 솔직하게 말씀드려서 포스닥은 그리 큰 스펙이 되지 못합니다. 포스닥은 교수가 되기 위한 과정이지 인더스트리를 가기 위해 거치는 과정이 아니고 기업에서도 이를 잘 알고있습니다. 유학하는 학생들과 달리 인턴을 하지도 못하고 취업 관련 정보를 얻는데도 어느정도는 한계가 있으실겁니다. 하지만 분야가 머신 러닝이니 성공적으로 취업할 가능성은 높다고 봅니다. 다만 너무 아카데믹하거나 인더스트리에서 쓰임이 없는 논문을 쓰는데 시간을 보내기 보다는 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논문, 지식, 기술 등을 쌓는게 중요하고요 그리고 기술 면접에서 실력으로 걸러지니 그부분에도 많은 신경을 쓰셔야 합니다. 논문을 쓰는 것과는 결이 다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니까요. 일단 포스닥을 가셔서 가자마자 NIW로 영주권을 진행하시면서 미국에 적응하고 취업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시면 될듯 합니다
2023.07.22
안녕하세요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국내에서 석사과정 진행중인 미국 정착을 원하는 학생입니다.
저는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평생을 한국에서 산 미국/한국 이중시민권자입니다. 혹시 미국 시민권이 박사 유학에 있어서 큰 이점으로 작용하는지 여쭙니다.
대댓글 3개
IF : 1
2023.07.22
네 아주 많은 이점으로 작용합니다 미국 시민권자 분들은 영어가 어느정도 소통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유학하지 않고 미국취업도 쉽게 할수 있습니다
2023.07.22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미국 공대 박사 어드미션에 있어서도 어느정도 어드밴티지가 있을까요? 미국 주립대의 경우 인터네셔널과 도메스틱을 따로 티오를 나눠서 뽑는다는 얘기를 들어본거 같은데 저 같은 경우에는 도메스틱으로 지원해도 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IF : 1
2023.07.22
네 미국 시민권자면 박사입학시에도 유리한데 정확히 어떤 트랙으로 지원해야하는지는 잘 기억이 안나네요;; 유학원서를 쓴게 10년전이라서요. 아마 학교측에 문의를 하면 정확히 설명해 줄것 같습니다
2023.07.23
좋은 글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ai에 관심이 많은 학부생인데 대학원은 유학을 가려고합니다. 근데 다이렉트 박사를 가기가 쉽지가 않아서 석사만할까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석사만하고 취업을 하는것도 괜찮나요!? 아니면 박사를 추천하시는지도 여쭤보고싶습니다
대댓글 3개
IF : 1
2023.07.24
석사를 미국에서 한다면 석사후 취업도 좋습니다 단 미국석사는 자비로 가야해서 집에서 경제적 지원만 가능하다면 미국석사 좋습니다
2023.07.24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부모님께서는 석사부터 나가라고 지원을 해주신다고 전부터 말씀해주셔서 경제적측면은 괜찮지만 요즘 h1b 비자 전환이 어렵다는 말도 있고 제가 관심있는 ai(cv)쪽은 박사를 하면 훨씬 대우 해준다는 말이 있어서 많은 고민을 하는중이네요 ㅜㅜ
IF : 1
2023.07.24
말씀하신 부분이 맞긴 합니다 요즘 H1B 합격 확률이 낮고 AI쪽은 박사 대우가 좋습니다 다만 H1B의 경우 올해 크게 문제가 됐었는데 내년에는 개선되지 않을까 싶은 개인적인 생각이고요 사실 석사 박사 둘다 좋습니다 보다 더 공부를 해서 더 튼튼한 배경을 가지고 싶다 생각되시면 박사 하면 되고요 빨리 돈벌고 인더스트리 경력 쌓고 싶다 하면 석사 하면 됩니다
2023.10.21
안녕하세요. 미국 박사 후 취업을 꿈꾸는 학생인데, 이런 소중한 정보글 정말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현재 제 전공이 CS이고, sw Security 분야에 관심이 있는데. 이 분야 미국 취업은 괜찮을까요...? 보안 분야가 민감한 정보를 다루다 보니 외국인을 뽑지 않을 것 같기도 해서요
2024.07.02
좋은 글 써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진로에 많은 고민이 있었는데 덕분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2024.07.09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혹시 국내 석사과정 끝내고 미국에서 박사과정 없이 미국 취업 가시는 분들은 거의 없겠죠..? 곧 국내 석사 졸업을 앞두고 있는데 미국 박사과정은 용기가 없고 제 분야가 해외 시장에서 많이 다루는 분야여서 여쭤봅니다..!
2023.07.21
대댓글 5개
2023.07.21
2023.07.21
2023.07.21
2023.07.23
2023.07.23
2023.07.21
2023.07.21
대댓글 1개
2023.07.22
2023.07.21
대댓글 1개
2023.07.22
2023.07.22
대댓글 1개
2023.07.22
2023.07.22
대댓글 3개
2023.07.22
2023.07.22
2023.07.22
2023.07.23
대댓글 3개
2023.07.24
2023.07.24
2023.07.24
2023.10.21
2024.07.02
202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