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JACS, PRL vs Advanced Materials, JACS, PRL vs NCS 자매지 정리해준다

2023.12.30

15

7006

자꾸 저널들 수준이 IF 줄세우기 인줄 아는 애들 있어서 정리해준다.

1. JACS, PRL vs Advanced Materials
- 대학 임용에서 카운트한다고 할 때, 자연대면 전자 압승, 공대면 JACS, AM, ACS Nano 등등 다 비슷함.
- 그 이유는, 분야마다 에디터들의 눈높이가 다 다르기 때문. 예를들어 JACS에서 순수 화학 쪽 에디터들은 정말 NCS에 낼 결과들이 나왔을 때 받아주는 경우가 있으며, 응용화학 (재료화학 등) 쪽 에디터들은 그 정도 급은 아니어도 받아주는 경우가 있음.
- 또한, AM등의 재료 저널들에서는 scientific insight가 부족해도 일단 performance가 좋으면 받아주는 경우가 있는데, JACS, PRL에서는 performance가 안 좋아도 scientific insight가 좋으면 받아주는 경우 많음. 따라서 AM에 됐는데 JACS 떨어질 수도 있고, JACS에 내도 AM 떨어질 수도 있음.
- 위에 적은 이유로 재료과들은 퍼포먼스 낮다고 JACS 논문들 무시하는 사람들이 있고, 화학과에서는 무식하게 성능만 높힌다고 AM 논문들 무시하는 사람들 있음. 평가가 엇갈리는 것은 그냥 보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 순위를 비교하는게 무의미함.

2. JACS, PRL vs NCS 자매지
- JACS, PRL의 위대함은 대가들이 아주 좋은 결과가 나왔을 때 NCS가 아닌 JACS, PRL에 내는 경우가 많다는 것임. 특히 JACS의 경우 JACS Communications으로 나오는 논문들은 NCS 본지 급인 경우도 많음.
- 따라서 각 저넉들에서 상위권의 위치한 논문들은 수준이 비슷함. 하지만, JACS, PRL의 논문 편수가 NCS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각 저널 안에서 하위권 논문들의 수준을 따지면 당연히 NCS 자매지 압승
- 즉, 상방은 NCS 자매지와 JACS,PRL 비슷, 하방은 NCS 자매지 압승.
- 이게 "이런 논문도 JACS, PRL에 나온다고?" 하는 논문들이 많이 나오는 이유임. 반면 "이런 논문도 Nature Materials에 나온다고?" 하는 경우는 거의 없음. 가끔 있긴 함

참고로 Nat. Commun. vs AM vs JACS, PRL로 보면 재료과에서는 대부분 비슷한데 NC를 약간 더 높게 봄. 자연대에서는 JACS, PRL >= NC > AM 혹은 가끔 NC >= JACS,PRL > AM
NC를약간 더 높게 보는 이유는 NC도 자매지로 쳐주는 학교들이 있기 때문


반박시 니말이 맞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3.12.30

윌리계열 우표수집 분야는 JACS 기웃거리지 맙시다 ㅋ 재료지나 많이 내세요

대댓글 1개

2023.12.30

내가 본문에 얘기한 경우가 딱 이 경우네
졸업하면 다른 분야와 협력할 경우가 많을텐데 편협하게 하지 말고 사이 좋게 지내자

2023.12.30

Advanced 시리즈는 고오급스캠저널 아닙니까? ㅋㅋ

대댓글 1개

2023.12.30

스캠까진 아니고 if가 너무 뻥튀기 되어있긴 함

2023.12.30

PRL은 맞는데 JACS는 아니여~~~

대댓글 1개

2023.12.30

응 물리과 어서오고~
닉넴도 힉스네ㅋㅋ

2023.12.30

의미없으니 하지말라는데 꾸역구역 위에 댓글다는애들 보니까 진짜 능지떨어지는 애들 많은거 새삼 느끼네ㅋㅋ

대댓글 1개

2023.12.31

ㅋㅋㅋㅋㅇㅈ

2023.12.31

한번이라도 본인 힘으로 실어봤다면 학자로서 검증될 수 있다고 볼만한 훌륭한 저널들임..비교가 무의미ㅎ 특히 잭스는 전자공학과 교수가 교신으로 내면 내 분야 아니라도 일단 봄...대체 어떤 내용이길래 그 콧대 높은 잭스가 실어줬는지 궁금해지기 때문ㅎㅎ

2023.12.31

해외 빅 그룹 가보면 네컴이랑 어드머랑 차이 있다 ㅋㅋㅋ
국내 또는 중국 교수진이나 어드머나 EES가 임팩트팩터 훨씬 높고 승진 및 기타 등등에 유리하니까 선호하지.
해외 빅가이들 보면 네이처 자매지 떨어지면 형식 수정하는 수고를 떠나서 무조건 네컴/사어 트라이 함. 그 후에 다른 논문 트라이.
물론 그렇다고해서 어드머나 EES가 안좋은 논문이라는 건 아니지만, 큰 물에서 놀고 싶은 연구자에게는 당연히 네컴이 좋은 논문임.
PRL JACS의 경우에는 해외에도 연구자마다 다름. 네컴급으로 보는 사람, 그 이상 또는 이하로 보는 사람 다양함.
단지, 요새 임팩트만으로 판단하는 한국 중국 커뮤니티가 안타까움.

대댓글 1개

2024.01.01

나도 동의. 애초에 이 글 쓴 이유 중에 하나가 게시판 글들 보다보니 am이 nc보다 좋은 줄 아는 애들이 많아서 그랬음
엄밀히 연구자들 사이 평판으로 따지면 nc가 am 보다 우위임. 즉 더 쓰고 싶은 저널임. am은 중국발 if 뻥튀기 이슈가 있는건 다 알기도 하고
또 Am은 재료 논문들만 나오고 nc는 종합과학 저널인데 종합과학 저널에서 인정받고 싶어하는게 당연하지
하지만 국내 임용이든 해외 임용이든 잡 지원할 때는 nc 하나 있다고 am만 있는 사람보다 더 우위로 보지 않는다는 얘기임. 비슷비슷한 범주로 봄
그 레벨쯤 되면 논문 자체의 분야에서의 임펙트가 중요하고, 퍼블리케이션 리스트와 연구자로서의 깊이를 어떻게 일관성있게 엮어내냐가 중요하지

2024.01.01

나도 동의. 애초에 이 글 쓴 이유 중에 하나가 게시판 글들 보다보니 am이 nc보다 좋은 줄 아는 애들이 많아서 그랬음
엄밀히 연구자들 사이 평판으로 따지면 nc가 am 보다 우위임. 즉 더 쓰고 싶은 저널임. am은 중국발 if 뻥튀기 이슈가 있는건 다 알기도 하고
또 Am은 재료 논문들만 나오고 nc는 종합과학 저널인데 종합과학 저널에서 인정받고 싶어하는게 당연하지
하지만 국내 임용이든 해외 임용이든 잡 지원할 때는 nc 하나 있다고 am만 있는 사람보다 더 우위로 보지 않는다는 얘기임. 비슷비슷한 범주로 봄
그 레벨쯤 되면 논문 자체의 분야에서의 임펙트가 중요하고, 퍼블리케이션 리스트와 연구자로서의 깊이를 어떻게 일관성있게 엮어내냐가 중요하지

2024.01.01

한국이 학계만 보자면 세계에서 제일 얍삽한 국가임...
중국 논문은 신뢰성이 없다, 데이터 조작이다, if 뻥튀기다 이딴 소리하면서 정작 한국 연구자들은 학계에서 if 줄세우기하고 앉았음
진짜 선진국들 ( 미국 영국 일본 등등 ) 보면 학계에서 그렇게 if 안따짐. 오히려 그 분야 내에서 어느 정도의 실력이 있고 깊이가 있느냐로 보는거지
난 해외 다른 국가들에서 학위받고 연구하면서 if 얘기하는 사람들을 본 적이 없음.. 근데 한국대학원생들은 논문얘기만 나오면, if 몇인데? 이러고 앉았더라

2024.01.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확실히 논문뿐만 아니라 각종 평가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숫자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죠
현상을 보고 가치를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능력들이 떨어져서라고 사료됨
그나마 객관적으로 본다고 숫자를 보는건데, 사실 이게 결과적으로 객관적이 아니게 되는거죠

2024.01.01

재료쪽 연구라도 자연대면 acs rsc계열 선호하고 공대면 와일리 엘스비어 쪽 많이 내는 경향이 있음.
snc자매지 내는 곳이라면 어딜 내든 연구 퀄리티는 보장되는 랩이고 그런 랩 출신이면 연구분야랑 정성적 기준으로 평가 받음.
저 수준에서 정량적으로 급 나누는건 의미 없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