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로 보면 어느 정도 사회성을 발휘할 줄 아는 사람이 훨 돋보이게 되는 공간 역시 대학원인 듯 요즘 같은 세상에 혼자 연구하는 것만으로 실적 채우는 것도 쉽지 않고 아무리 실력 있어도 같이 일하기 불편한 사람이라는 이미지 박히기 시작하면 아무도 안 찾아줌... 연구도 결국 세일즈고 사람들끼리 같이 으쌰으쌰해야 굴러가는 일이라 사회성이 다른 영역보다 중하면 중했지 덜하지는 않은 것 같음
이번에 석사 마치면서 가장 좋았던 것도 사람들 얻어간 거였음... 동기들 다들 착하고, 경쟁하지 않고 서로 협력하는 분위기라 힘들어도 버티는 데 도움 많이 됨 사회성 ㅈ같은 애 하나만 있었어도 이런 분위기 유지 못 했을 듯
가끔 눈팅하다 보면 사회성 있는 애들 괄시하고 무작정 후려치는 톤인 글, 댓글 자주 보게 되는데 난 앞으로 누가 대학원 간다고 하면 일차적으로 사회성 또한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점 또한 적극적으로 주지시킬 생각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4.01.30
사회성이 떨어져서 대학원을 간거든 대학원에 와서 사회성이 떨어진거든 갖다붙이기 나름임
사회성과 대학원 진학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고 봄 사회성 박살난애들은 사회에도 비슷한 비율로 많이있음 좁은 곳에서 사람 만나고 치이다보면 대학원이라는 환경때문에 그런것같은 확증편향이 심해짐 어딜가도 사회성 좋은사람이 잘 됨
2024.01.3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사회성 좋은 사람은 진짜 힘든 경우 아니면 여기다 글 잘 올리지 않습니다. 올려봤자 안좋은거 뻔히 아니까요ㅎ
대댓글 2개
2024.01.30
주변 사람들과 상의할 듯 ㅎㅎ
2024.02.02
이런 댓글 다는 것도 사회성 좋은 행동은 아님ㅇㅇ
성실한 쿠르트 괴델*
2024.01.30
공부 잘하고 사회성 없는 애 보다 공부 못하고 사회성 좋은 애가 대학원 더 잘다님
대댓글 1개
2024.01.30
연구만 하는 곳인줄 알았는데 정치질이 힘을 발휘하긴 하더라
2024.01.30
솔직히 뭐 흔히 말하는 인싸일 필요까지는 없으나
어느정도는 같이 일하기 편한 정도는 되야 대학원 생활이 성공할 확률이 높습니다. 근데 여기서 같이 일하기 편하다는게 우리가 학부때 생각하는 사회적인 성격이나 성향보다는 말그대로 같이 일하는 동료로서 어떤가가 더 중요합니다. 여기서 사회성이 좀 떨어지더라도 (공격적이거나 약간 정신병있는 그런 미친놈을 말하는게 아니라 좀 소극적이고 내향적인걸 말함) 더 중요한건 바로 흔히말하는 프로페셔널리티, 즉 맡은 바 1인분을 무리없이 해내며, 사적으로는 소극적이더라도 일적인 부분에선 적극적이고 책임감있는 그런 태도나 실력이 더 중요해요. 물론 성격이 지랄맞으면 안되겠지만
프로페셔널한 찐따스타일 vs 사람으로선 정말 좋지만 일적으론 폐급 이러면 무조건 전자랑 같이 일합니다. 흔히 학부때 말하는 술 잘마시고 잘 놀고 인싸인 이런 사회성과는 좀 달라요. 직장생활에서의 사회성처럼 일적인 부분에서 실력 뛰어나고 일인분 빵꾸없이 해내며, 일적으로 민폐안끼치고 처신잘하는 (오히려 좀 찐따같아도 조용한 스타일이 구설수 안오르고 길게 오래감) 이런게 훨 좋습니다.
미친놈은 어디가든 미친놈이고요
대댓글 2개
2024.01.30
이렇게 길게 적은 이유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사회성이랑 조금 다르다 생각해서 그럽니다.
직장생활에서 직장생활 잘하는 그런 느낌에서 사회성을 좀 많이 빼고 실력을 더하면 딱 대학원에서 성공하는 그런 사람됩니다.
실력은 없는데 사회성만 좋다? 문제는 안만드는데 그렇다고 절대 두드러지진 않습니다.
팔팔한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4.01.30
이 댓이 맞음, 사실 기본적인 인성에 더 가까운 개념으로 썼음 ㅋㅋ 풀어서 설명해줘서 감삼당!
2024.01.30
연구 좋아하고 공부 열심히 하는 애들이 사회성이 떨어지나요? 아니던데 ㅋㅋ
2024.01.30
경쟁안하는게 좋은건지 잘모르겠네 좋은 데이터 하나라도 더 가져가려고 교수님 눈도장 찍으려고 아둥바둥해도 실적 나올까 말까인데, 관계로 문제해결한거 말고 본인 실력으로 문제해결한게 얼만큼인지 되돌아보시길
참고로 석사졸 기준 주저자 3편if(23/8/3)공저자 3편(if 17/14/3) 있음.
대댓글 4개
팔팔한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4.01.30
허허 뭘 돌아보기까지... 왜 이렇게 화가 났어 너 화 나라고 쓴 글이 아닌데;;; ‘교수님 눈도장 받으려고 아등바등해도 실적 나올까 말까’인 랩에서 실적 만드느라 고생 많았는데 한편으로 안타깝기도 하다... 네가 경험한 분위기가 세상 전부는 아니라는 점 말해주고 싶고, 그 실적 들고 좀 더 좋은 데 가기 바라
2024.01.31
깨알같은 IF ㅋㅋㅋㅋㅋㅋㅋㅋ
2024.01.31
평소 관계로 논문 가져가는데가 역겨워서 그게 나타난듯 본인이 아이디어내서 실현하고 데이터 내고 논리짜고 논문 쓰기까지 학위중 그렇게만 연구해왔고 가스라이팅 당해와서 딴 분위기는 잘모르겠네. 나도 하하호호 하면 높은 저널 내고 싶네 땡큐!
IF : 1
2024.01.31
우왕 석사빠듯할텐데 부지런하게 잘썼다
팔팔한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4.01.30
사실 회사는 공동의 목표가 한개니까 그걸 바라보고 힘합쳐서 다같이 으쌰으쌰가 맞는데 대학원 연구실은 공동 분야인거지 저마다 목표는 각자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다같이 으쌰으쌰에 난 빠지겠다 하는 사람이 나오고 하는거 아닐까요
2024.01.31
SKP 현직입니다. 지금까지 여러 학생들을 관찰해본 바, 일반적으로 사회성이 뛰어난 학생이 연구에 대한 욕심과 책임감이 있을 때,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봤습니다.
사회성이 뛰어난 학생들은 적극적인 성격, 타인에 대한 배려심, 자기객관화 능력이 뛰어난 경우가 많았습니다. 자기가 속한 곳에서 어울리려고 노력하고, 주변에 적극적으로 묻고 배우고, 때론 도와주고 교류하며 결국 이런 것이 메타인지 능력을 높일 수 있기에 성공 가능성을 높여준다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은 많은 학생들이 사회성이 왜 중요한지 필요성을 못느끼는 것 같기도 하고, 특히 코로나 이후로 소극적인 성격의 학생들이 너무 많아진 것 같습니다.. 스스로 실력을 키우는 노력은 무엇보다 중요하겠지만, 결국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기에 교류하지 않고 혼자 살아갈 수 없습니다. 주변에 성공한 사람들을 보면 후천적인 노력으로 (필요에 의해서) 사회적인 성격을 띄게 되는 경우도 많다는 걸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IF : 1
2024.01.31
본문 진짜 공감함 난그래서 미친놈 걸러뽑는것도 교수 역량인거같아..
2024.04.20
연구실적도 아니고 사회성 있는걸로 후려치는거면 두루두루 잘 지내는 사람한테 자격지심 있어서 그런거 아닐까요
2024.01.30
2024.01.30
대댓글 2개
2024.01.30
2024.02.02
2024.01.30
대댓글 1개
2024.01.30
2024.01.30
대댓글 2개
2024.01.30
2024.01.30
2024.01.30
2024.01.30
대댓글 4개
2024.01.30
2024.01.31
2024.01.31
2024.01.31
2024.01.30
2024.01.31
2024.01.31
2024.04.20
2025.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