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는 큰 조직 내에 한명의 직원으로써 연봉을 받는 구조임. 팀별, 개인별 성과를 통해 성과급을 받을 수 있지만,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연봉을 올리기가 어려움. 즉 연봉을 올리기 위해서는 좋은 대기업에 좋은 팀을 가야하므로 기업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함(복지 + 근속연수 등).
[정출연: 본인연봉 + 본인 연구과제/성과에 따른 성과급]
정출연은 기관마다 다르지만 연구 자유도가 있는 정출연들은 하나의 벤처기업 단지라고 볼 수 있음. 박사 한명 한명이 벤처사업가인 것이고 각자의 능력으로 연구과제(국가과제, 기업과제, 지역과제)를 수주하고, 과제 종류와 규모에 따른 인센티브를 지급 받는 것임. 그리고 연구과제를 통해 좋은 기술을 확보하게 되면 이것들을 민간에 기술자문 + 기술이전 등을 하여 추가수입을 창출하는 것임.
다만 본인이 스스로 과제를 기획하고 이끌 역량이 충분치 않은 시점이라면, 큰 과제를 가지고 있는 책임급 박사팀에 들어가 실무를 하는 구조임(보통 처음 입사하면 이 단계). 즉 정출연 박사들의 연봉은 일반적으로 잘알려진 박사 초임 연봉(5-7k) + 기관 고유과제 인센 + 타과제 인센 + 기술자문/기술이전 +기타 자문료/세미나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니, 매년 팀 별로 박사 능력별로 연봉이 다 다를 수 밖에 없음(누구는 7-8k, 누구는 10-20k).
본인이 탑티어 대기업에 좋은 팀에 들어가 있다면 좋은 워라벨에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음. 다만 산업은 cycle이 있기에 그 회사에 그 팀이 언제까지고 탑티어일지는 모름. 정출연은 본인의 성과와 연봉을 본인이 원하는대로 설계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임. 다만 처음에는 개인과제 수주, 기술이전 등이 어렵기에 인건비/연구비 충당을 위해 책임급 박사팀에 소속되어야 되고, 이럴 경우 책임급 박사가 어떤 사람인지에 의존할 수 있음.
개인적으로는 처음에는 대기업에서 좋은 복지를 누리며 시드머니를 쌓고, 어느정도 경력이 쌓인 상태에서 정출연으로 가는 것이 제일 베스트인 것 같음. 물론 이런 것들은 단순히 직장인의 시각으로 (복지 + 연봉)만 따졌을 때고, 본인이 (과학자가 되고 싶다 + 연구하는 것이 좋다)면 두말할 것 없이 정출연이 최고의 직장임. 참고로 국내외 National lab(미국 국립연구소, 일본 이화학연구소 등) 박사님들은 연봉과 워라밸 때문에 직장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 연구하는 게 좋아서 아카데미아로 온 것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6.03
글 멋지게 쓰셔서 잘 읽고 있다가 새로고침 한번 누르니까 순식간에 한줄로 변하네요
대댓글 1개
2024.06.03
본문 살짝 수정했습니다:)
2024.06.03
저도 정출연에 잇엇지만 사실 기술이전료를 받아가는 선임은 얼마나 있을지. 대다수가 그냥 연구짬처리(논문실적이나 제안서) 당하고 연봉은 수당포함 7천정도 받을뿐이죠. 돈냄새맡고 특허쓸때마다 기웃거리는 책임양반들이나, 심지어 논문심사/초청세미나 몇번 다니니까 그것갖고 뭐라하는 타과제 책임들 등.. 생각보다 정출연들은 고여있죠. 우선 평균나이가 너무 많고, 책임들중 일 안하는 양반들도 너무 많죠.
대댓글 5개
2024.06.03
그리고 일잘하는 선임/포닥들은 다들 놓치고 싶어하지 않아서(본인들이 일을 안하니까요), 과제 제안서 쓴다하면 뭐라하는 양반들도 많습니다. 그렇다고 과제수주하면 일안하는 책임들 인건비 넣어주고, 또 일은안하면서 매년 유럽에서 열리는 학회보내달라고해서 가는거 보면 진심 욕만 나옵니다. 저와 주변 선임들이 공통적으로 겪엇던거에요. 달시 저도 젊은 선임들끼리 같이 뭉쳣지만, 지금 나올 능력잇는 사람들은 다들 나왓습니다.
2024.06.03
본인 역량이 탑이다.. 대기업 본인이 조금은 할 줄 안다.. 정출연 평생직장을 가지고 싶다.. 교수
정출연에서 능력 있으면 교수로 튀어~ 대기업에서 짤릴거 같다 정출연로 튀어~
짧게 돈 많이 벌고 싶다 대기업 길게 공무원 급여로 만족한다 정출연
정출연에 유능한 사람 있었던 것은 90년대 입니다. 00년대 말부터 중소중견기업 연구소 보다 연구역량 떨어지는 곳도 많아요...
정출연 관리하는 위탁집행기관이.. 연차가 같다면..급여가 더 많아요 ㅎㅎㅎ 국내 정출연의 위상 ㅡ.ㅡ
개인적으로는 국내 정출연.대기업 논란 보다 해외로 가버린 유능한 인간이 너무 많습니다...
2024.06.03
기업에서 정출연 가시는분들 대부분 성과 좋으신데 자기연구하고싶어서 가는분아닌가요?
2024.06.19
기관별로 분위기가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특히 요즘에는 선임급에서도 기술이전 실적들이 활발히 나오는 것 같습니다. 다만, 고인 분들이 많은 부서냐 아니냐는 중요한 지표인 것 같습니다
2024.06.24
본인 연구역량이 탑인 분이 기업에 가셨을 때 산업 cycle에 휘청이고 언제든 연구분야가 바뀔 수 있는 것에 대해선 스스로 아쉽지 않을까요..
2024.06.04
출연연은 아니지만, 박사과정때만큼 빡세게 구르면 이정도는 아래와 같은 정도는 나옵니다. 23년 근로소득 기준 (선임, 3년차) 기본급 7000+연구인센 2600+연구원 성과급 2개 1400 정도해서 1.1억 받았습니다. (대형과제 2개, 책임자 3개, 기타소득 제외), 기획력 인정 받아서 올해 책임진급 했구요. 워라벨은 나쁘지만 하고 던져주는 대형과제 관리 1개 정도하고 2-3개 정도 기획해서 진행하면 나름 재미있고 보상도 좋구요.
2024.09.08
최근 삼전 성과급 max 이슈 등으로 사기업이 주목 받지만 그래도 정출연은 정출연인 것 같아요. 김박사넷은 학계 진입을 준비하는 단계거나 초년차분들이 많아서 단순 연봉과 처우(?)로 비교를 많이 하지만, 출연연에서 연차가 쌓이고 독립해서 본인 연구과제를 기획할 수 있게 되는 순간부터는 자유도와 삶의 질이 비교도 안되게 올라갈 거에요.
2024.06.03
대댓글 1개
2024.06.03
2024.06.03
대댓글 5개
2024.06.03
2024.06.03
2024.06.03
2024.06.19
2024.06.24
2024.06.04
2024.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