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정출연 연봉이 생각보다 적네요.....

2023.11.21

41

9912

spk 중 한곳에서 박사과정 중인데

최근 정출연 간 랩실 선배 연봉 들어보니 6천 언저리네요....
성과급은 기대해서도 안되고 기술이전 같은 경우는 가뭄에 콩나듯 매우 소수라고 하더라구요

반면 대기업 간 선배는 거의 1.8-2배 수준의 연봉을 가지고 있던데, 이러면 아무리 안전성이 정출연이 높다고 해도 대기업에 비해서 메리트가 있을지 의문입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1개

2023.11.21

대기업도 sk,삼성 아니면 그 정도까진 아닐걸요??

대댓글 1개

다정한 쿠르트 괴델*

2023.11.21

분야 살짝만 걸치면 삼전 문 부숨

2023.11.21

정출연끼리도 연봉처이 큼

2023.11.21

세금 떼고 실수령으로 따지자면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아요. 그리고 정출연에서는 실적 쌓아서 학교로 갈수도 있고요.

대댓글 7개

다정한 쿠르트 괴델*

2023.11.21

실수령해도 큼

2023.11.21

실수령으로 치면 1.3~1.5배 정도입니다.제가 봤을땐 크진 않네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제 입장에선 정출연 장점이 상쇄하고 남는 정도입니다.

2023.11.22

정출연은 세금을 덜 떼나요?ㅋㅋ

2023.11.22

근로소득세가 일정 금액 이상에 대해 세율이 높아지거든요. 그중에 큰 경계가 8800만원입니다. 22%-> 35%로 소득세가 뜁니다.

2023.11.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ㅋㅋㅋ 세금 덜내고 싶은 사람들이 가는곳...

2024.01.19

아놔 웃겨 죽겠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무슨 정신승리냐 ㅋㅋㅋㅋㅋ

웃기는 양반일세

2024.06.10

단순히 세금구간 차이가 아니라 기업은 모두 근로소득이고 출연연 대학은 자문료 강연료 등이 세율이 낮은 기타소득이라 실수령액이 별로 차이가 없는것 아님?

2023.11.21

최근 정출연 인기가 대기업에 비해 많이 내려가긴 했죠. 원래 대기업에 비해 연봉은 다소 낮은 대신 정년보장+워라밸이 장점이었는데, 공무원 임금 인상율이 많이 낮아지다보니 임금 격차는 심해지고, 요즘 대기업들은 과거에 비해 사원복지나 사내문화가 개선된 반면 정출연은 보수적인 문화가 남아있어서 차라리 회사 생활이 마음 편하다는 사람들도 꽤 봤습니다.

대댓글 2개

2023.11.22

정출연은 보통 대전과 그 밑으로 가야 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2023.11.23

+ 정년보장도 이젠 사실 많이 퇴색된 것도 크다고 봅니다.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구조 급변해서 현재 20 30 40들은 사기업에서도 사실상 크게 안짤릴 것 같더라고요
밑에 들어올 사람이 없다보니...

2023.11.21

Kist 정규트랙이면 8천까지 나오는데

대댓글 2개

2023.11.22

Kist 위상을 생각하면 좀 짠 느낌이긴 하네요...

2023.11.23

입사난이도 고려하면... 많이 짠 느낌 아닌가 싶네요...

2023.11.21

kist etri 화연 가면 6천 이상나옴
왜냐면 6-7년 전에 프박들 6-7천 줬음 설마 하나도 안 올랐겠냐

대댓글 2개

2023.11.22

6천에서 6-7년 간 공무원 임금인상률 보면 됨. 작년인가 0.8프로 올랐던가...

2023.11.23

오르긴 올랐죠 근데 물가 상승율에 비해선 더 내려갔다고 보시는게...

IF : 2

2023.11.21

공공기관 vs 대기업 이면 당연히 대기업 연봉이 더 높죠...
기본급만 따지면 교수가 정출연보다 더 떨어집니다.
대신 추가 활동에 따른 수당 등이 있으니 그걸 보충하는거죠.
메이저 정출연가면 기본급 + 2~3천이라고 보시면 되요.

정출연이 대기업보다 나은건 정년, 안정성, 연구자율성, 워라밸이지 연봉은 아니에요.

대댓글 2개

2023.11.22

추기 활동으로 인한 +2,3천은 보통 받기 쉽나요 어렵나요?

IF : 2

2023.11.22

같은 팀에서 하는 수탁과제 일만 해도 보통은 받는게 보통이에요
출연연마다 다를수는 있지만, 메이저 정출연은 수탁과제 많아서 쉽다고 봐야죠

2023.11.21

성과급이라는게 애매한게, 연구수당으로 기본적으로 본봉의 20%받는다는 개념입니다.
선임1호봉 연봉도 기관마다 본봉 세전 5000~6500 정도로 꽤나 큽니다.
거기에 복지카드 100만원가량 + 연구수당을 계산해보면 대충 세전연봉 총합이 6100 ~ 8000 정도 받게됩니다.
대충 세후로 보면 제가 정출연에 있을때는 본봉만으로는 세후 400좀더 받았던것같습니다. 연구수당들어올때는 세금이 많이 때지고요.
참고로 제가 받던 금액수준은 웬만한 사기업 석사졸 연봉 / 괜찮은 사기업 학부졸 연봉과 비슷했습니다.
다만, 정출연 생활안해본 사람은 모를정도로 워라벨은 좋습니다. 7천정도 연봉 만족하고, 원하는연구 할수있고, 주 40시간조차도 일안하고, 업무강도도 매우 낮은생활 원하시면 정출연만한곳 없습니다.
돈만보면 당연히 사기업만한곳이 없고요.

대댓글 2개

2023.11.21

원래 사기업 vs 정출연은 사골질문입니다.
경기 좋을때는 성과급 보너스차이가 워낙 사기적이라서 사기업에 우루루 가고, 요즘처럼 채용시장도 많이 축소되고 불경기되면 고용안정성과 맞물리면서 '역시 정출연이지' 라고 합니다. 이건 시대 불문, 매번 사이클이 도는것 같습니다.
본인이 금전적인 가치가 크면, 무조건 사기업 추천합니다. 정출연에서 매번 사기업못간거 후회한다고 노래부르는 책임들 꽤많았어요. (이런사람들 대체로 능력 부족 + 일안함) 반대로, 본인이 연구에 종사하는것을 만족하고, 안정적인 삶을 원하면 정출연 만한곳이 없고요.
저는 학위를 빨리받아서 30중반에 정출연/학교 모두 경험해봤고 현재 학교에 와있지만, 생각보다 고려할게 많아요.. 10년뒤 학생들 수준이 어떨지 많이 걱정도 되고요. 저도 그래서 5년안에 좋은실적+과제수주하고 좀더 높은학교로 점프하려고 열심히 살고있습니다. 정출연에 있을때와 비교하면, 지금은 좀더 많이 버는데 (저는 대외활동등이 많아서 여러가지 수당을 많이 받습니다) 괜히 고생하고있다는 생각이에요. 정출연에 잇을때가 확실히 삶의 질은 훨~~씬 좋았어요.

2023.11.21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선배의 경험담을 들은 직후 박사 까지 죽어라 공부하는데 연봉이 이거밖에 안된다고? 라는 생각이 좀 컸던것 같습니다.

주변에 학사 졸업만 하고 좋은 공기업 취직한 친구들보다 연봉이 낮아서 솔직히 좀 충격이더라구요.... 좀 더 깊이 고민해 보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2023.11.2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오퍼 들어오는거 보면 대기업이 워라벨도 좋고 연봉도 2배 가까이 됩니다.
정출연마다 어느정도 차이도 나긴하는데 1-2천정도인듯 합니다. 호봉제도 아닌 연봉제라 쉽지않긴하네요ㅎㅎ

2023.11.21

한국은 연봉 다 귀여워

대댓글 2개

2023.11.21

그만큼 나가는 돈도 적으니 ㅎ

2023.11.2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편돌이 연 1억 버는 취리히 살아서 한국 연봉 귀엽긴 한데 물가 생각하면 그게그거임.

2023.11.21

그래도 왠만한기업보다 인생편히 살수있더라구요

2023.11.22

요즘 네이버 현대차 삼전 대절 초봉이 대충 8천 수준... 안정과 자율율의 댓가 교수도 마찬가지... 공대가 망하고 있는 이유지요. 엄마가 의대 가랄 때 말들을껄.... 하는 이유.

2023.11.22

정출연 = 정년까지 한다. 연구성과 대충.. 워라벨 좋음.. 초봉 5천 내외.. 찔끔씩 오름.. 연구 논의 보다 기관발전을 위한 정치질 논의가 주를 이룸

사기업 연구소 = 타겟 기술 바뀌면 집에 갈 수도.. 연구성과 자부심. 워라벨이라는 개념은 없음.. 초봉 7~8천 내외 (1.2억 시작도 봤음).. 쭉쭉 오름.. 시장 성과에 개민감.. 해외 논의와 교류가 주를 이룸

잠시나마 경험이지만 단순 비교가 어려움..
출연연은 적게 받고 편하게?
사기업은 많이 받고 힘들게?

2023.11.22

돈 생각하면 교수 정출연보다는 화사가 정답

2023.11.23

출연연은 아니지만 연구소에 속해있습니다. 1년차에 원천기준 8000/2년차에 9900/올해 3년차 10개월 9600(2개월분 미리 예상하면 11000쯤)상태입니다. 제가 있는 곳은 개빡세긴하지만 과제 책임자 맡으면 선임급에도 이정도 연봉은 됩니다. (워라벨은 버려야죠...)거기다 외부활동(기타소득, 원천안나옴) 포함하면 +@가 1000-2000은 더 할수도 있구요. 기본봉은 7000정도지만 겉보기보다 소득 높습니다.

대댓글 3개

2023.11.23

혹시 어느 연구소에 계시나요?

2023.11.23

에트리같은데..

2023.11.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keti 이신듯. KETI는 참여과제 수 만큼 연봉 나옴. 연봉보니 갈리고 계신듯. 5~7개 프로젝트정도 참여?

ETRI는 정출연이고 저정도 연봉 안나옴.

2023.11.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출연 -> 대기업 가능
대기업 -> 정출연 거의 불가(3~5년 이내 연구 실적이 없으면 바로 서류컷임)

그래서 일단 정출연 가보고 안맞으면 대기업으로 가는것도 나쁘지않음.

2023.11.23

대신에 일을 안해도되잖아요ㅋㅋㅋ 거의 불로소득급

2023.11.26

걍 손해라고 생각함.
현실적으로 얘기하면, 삼전은 성과급 받을거 다받으면 학사졸 8천, 박사졸 1.3억, 부장급(연차 있는 수석) 2억 이상임.
분야 따라서, 실력 따라서는 박사졸하고 빅테크 가는 사람들도 있는데 거긴 연봉 시작이 4억...

박사달고 6000이니 8000이니 정당한 대우라고 생각하는게 호구임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