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수학 느낌이고.. 공대에서 똘똘한 친구들이 ai에 매력을 느끼는 이유는 제조업에 비해서 혼자서 해볼 수 있는게 다양하고, 또 똘똘한 친구들은 수학을 좋아하거든요
AI가 뭔지 조금만 들여다 본다면 생각보다 큰 재미를 느낄 수 있는거 같아요. 진입장벽이 조금 있다보니, 그리고 하도 인공지능 거리니 반발심에 욕먹는건 이해는 되지만 전 공대 분야중에 가장 재밌는 연구분야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4.07.10
ai분야를 까는 글이라기보다는, 수개월 어쩌면 그전부터 ai 하는 분들이 가져온 논쟁이 여기 사람들에게 많은 피로감을 줬습니다.
ai 탑 컨퍼런스 논문은 네이처 본지 급이라든지, 많은 월급이나 연구량을 언급하며 타 분야를 까내리는 글도 심심찮게 올라왔고...
모두 그거 때문도 아니고, 그런 워딩을 안하는 전공자분들도 있으시겠지만 적어도 저는 선례로 인한 피로감이 있어서 그런지... 댓글에서 쎄하면 답글을 안 달게 되더라구요.
대댓글 2개
2024.07.11
이건 와전된 것 같은데, 좀 다름.
AI, CS 분야에서 Conference를 우선시하면서 저널과 비교가 필요해짐
그 때 AI 분야 탑 컨퍼런스랑 이제 비교 대상이 다른 분야 탑저널이 된거고.
인정해달라는 사람들과 인정 못한다는 타분야 이렇게 대립이 심하고 학교의 높은 사람들도 관련해서 실적으로 인정해주냐마냐 논쟁으로 여전히 진행 중임
2024 구글 스칼라 지표 (https://scholar.google.com/citations?view_op=top_venues)
1. Nature 2. CVPR AI 탑컨퍼런스 등등해서
10등안에 AI탑컨퍼런스가 3개나 들어있는건 실제로 AI가 핫하고 본지급 비교대상이 이제 맞다고 더 확실시 되어 지는 듯
2024.07.11
저 지표는 논문 발표량의 영향이 커서 연구자끼리 비교할때는 쓸만해도 저널이나 기관들 비교에는 전혀 쓸수가 없음. 쭉 보면 네이처 자매지들보다 IEEE Access, MDPI Sensors가 순위 높음.
2024.07.10
어떻게 분야를 까는지 신기하네요 커뮤니티에서 이상한 글쓰는 사람도, 커뮤니티에서 이상한 선입견 가지게 되시는 사람도 아쉽네요 ㅋ
2024.07.10
본 글과 같은 태도들을 AI 하는 인간들이 은연중에 내비치는 문제가 제일 큰듯.. "똘똘한" "공대 분야중에 제일" "수학" ㅋ
대댓글 2개
2024.07.11
무식...
2024.07.11
정확하게 하고 싶었던 말이 댓글에 있네요
2024.07.11
Ai는 통계학입니다. 수학도 마찮가지겠지만 통계쪽에선 명확한 연산처리가 아니면 좀 등한시 하는 문화가 있긴 하더라고요. 또 ai가 만능으로 다른 분야에 응용되어 사용되니 피로감이 있는 상황이구요.
2024.07.11
진입장벽이라는 정의에 따라 갈릴것 같습니다. 사실 진입장벽이 웬만한 제조업보다 높을까요? 알고리즘 설계 등 높은 수준으로 들어가면 그러겠지만, 일반적인 적용수준에 머물러있으면 진입장벽이 높다는 말은 어불성설이라고 생각합니다.
2024.07.11
사실 보다보면 AI분야라는 말 자체도 뭘 의미하는지 모르겠어요. AI는 그냥 방법론일뿐이고 자연어 처리나 컴퓨터 비전이 진짜 연구분야인건데 말이죠.
대댓글 1개
2024.07.12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합니다.
수학에서는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Field를 다루었다면, 공학이나 과학에서는 시간을 실수로 생각하고 실수가 Field의 조건을 만족하니 관련된 여러가지를 가져다 쓰는것 처럼, AI분야에서 포괄적인 생성방법론(Normalized Flow, SDEs based Score Matching 등), 대조학습법 등을 만들면,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가져와 사용하는거죠
2024.07.11
현재 어떤 분야를 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제 기준으로는 진입장벽 안높아요. 도메인 날리지(각자 자기분야 백그라운드) 가지고 비전, 자연어처리 등 인공지능 탑컨퍼런스에 논문 많이들 냅니다. 같은 주제도 제 원래분야의 탑컨퍼런스 보다 쉽게 나가서 많이 냅니다.
인공지능 분야 재밌죠. 저도 넘나들며 하고 있고요. 다른 우려는 없고 수요공급이 맞지 않아서 나중에 구직시장에서 어려움을 겪지는 않을까 우려가 되기는 합니다. 4-5년 전에 인공지능 석사 박사 받는것이랑은 이미 위상이 많이 다릅니다.
그럼에도 너무 재밌으면 하는거죠~ 학생의 앞날을 응원합니다.
2024.07.11
사실 AI분야에 너무 큰 연구비와 지원이 급격히 몰리다보니 그런것에 대한 반발감도 없지 않았던것 같아요. 연구비단위가 다른 분야에 비해 너무 크고 갑자기 정부 지원이 몰리는것에 대해 배가 아픈것도 사실이었고, 그래서 어디한번 그만큼 성과 나오는지 지켜보자 라는 태도들이 생겼던것도 맞구요. 그것과는 별개로 다양한 분야에 접목시키는것이 굉장히 흥미로운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그런것들은 해당 분야의 기존 고인물들에게 자신이 생소한 framework 를 사용해서 변화해나가는것에 대한 또 다른 반발감을 일으키기도 하지요
2024.07.11
AI가 진입장벽이 높다고요? 속된말로, 요즘 AI는 개나소나 한다고 할 정도로 진입장벽이 낮습니다.
2024.07.11
요새 개나소나 ai하겠다고 와서 개판임 코딩 기초적인것도 모르는애들이 뉴립스가 어쩌고 이러는거 보면 웃김 챗지피티나 돌려놓고 llm한다고 하는 사람들도많고
2024.07.10
대댓글 2개
2024.07.11
2024.07.11
2024.07.10
2024.07.10
대댓글 2개
2024.07.11
2024.07.11
2024.07.11
2024.07.11
2024.07.11
대댓글 1개
2024.07.12
2024.07.11
2024.07.11
2024.07.11
2024.07.11
2024.07.12
2024.07.12
2024.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