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물박사가 안되기 위해서 노력하려구요.. 혹은 정출연 등에서 본 물박사 특징이 뭔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4개
2024.07.29
정출연에 물박사가 있나
대댓글 2개
2024.07.29
정출연이 아니더라도요..!
2024.07.30
너무 많은데?
후회하는 정약용*
2024.07.29
자기가 아는 게 진리인 양 말함 단, 새로운 기술, 프로그램 에 대해선 무지하거나 버벅임 디벨롭이 없음 그냥 직장인임
자기 잘못을 인정하지 못함 사람이 실수할 수 있다는 건 다 알지만 자기가 틀렸다는 건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고 그렇게 밑에가 무조건 잘못한 거임
자기 학부, 자기 이전에 있었던 이름 있는, 좋은 곳 을 계속 들먹임 경험을 말하는 게 아님 자기가 @@에서 학위를 했다~,~~에 소속 되었다 를 강조, 근데 거기서 논문 못냄...
대댓글 3개
IF : 1
2024.07.29
맞는 말인데, 이거 보니 화병난 상황 생각나서 쓴다. 간혹 본인의 실패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이야기 하나 신기술이 디벨롭 안 됐다며 꼽주기도 함. 질문 자체가 [박사님 ~ 해보셨다면서요?] 라고 물어서 [어. ~~년 전에/~년도에 해 봤는데, 그.때.는. 이랬어. 이 스텝 잘못하면 망하더라] 라고 대답했는데(가르쳐 주기로 한 것 아니고 그냥 물어본거라 생각 나서 바로 사석에서 주절주절 알려 준 것), 자기들끼리 가서 까더라. 돌고 돌아 내 귀에 들어왔을 땐 이미 소문 들은 사람들에게 물박사로 되어 있었음. 어디서 뭐 했다~ 나 그 소리 하면서 저 대답 했는데, 학벌 좋은데 나와서 학벌 부심 부리면서 잘못된 거 가르쳐 준 사람 되어서 황당했지.. 위랑 좀 다른 건, 논문은 조그만 거 한 두개 내고 나옴..
IF : 1
2024.07.29
그리고 자기 교수 말고 남의 교수 밑에 포닥으로 들어가면, 도전적인 일이나 유망 기술은 본인 학생에게 시키고 포닥에게 어시 맡기는게 요즘 추세임. 그래야 걔네 졸업하고 그걸로 일 해서 먹고 사니까. 포닥에겐 포닥이 전 랩에서 했던 일 셋업해서 하라고 하고. 그래야 그 포닥이 가진 기술 자기 랩에 셋업하니까. 그렇게 되면 포닥은 새 랩에서 새로운 기술, 프로그램 배우는게 우선 순위에서 밀림. PI가 가능한 안 시키려고 하는 것도 있고. 빨리 배워서 그 랩에 셋업되기 전에 튈 가능성도 크니까. 포닥들이 그래서 박사 지도교수님 버프 받아서 논문 내고, 최대한 빨리 포닥 지위에서 탈출하는 사례가 포닥 랩에서 논문 내는 사례보다 많은 것임. 해외포닥은 그래도 논문 쓰고 오는 게 이득이지만, 국내는 아니지.
IF : 1
2024.07.29
대학원생에게 최신 기술 직접 실험하라고 하고, 포닥이 봐 주게 해서, 결과 잘 뽑아서 논문 잘 내는게 PI분들이 현재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것임. 저자 주면 셋 모두 해피하니까.
2024.07.29
자신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 못하는 사람이라고 봐야겠죠
2024.07.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물박사 = 졸업후에 박사에서 배운거 못쓰는 박사
따라서 대부분의 순수학문은 물박사임
대댓글 3개
후회하는 정약용*
2024.07.30
분야가 너무 달라서 잘 모르겠는데 이공계열은 물박사랑 잘하는 박사랑 나뉘긴 함
2024.07.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공계열 말하는거임
잘해봤자 나가서 아무것도못하면 물박사임
2024.07.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논문 잘나오는 분야 박사해봐야 구직도안되고 월 300 400 받으면서 회사다니는거면 그게 물박사지뭐냐
2024.07.30
뭐긴 정출연이면 보고서 등급 낮게 받는 박사지
2024.07.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간단함.
독립적으로 연구를 진행할 수 없는 박사.
대댓글 4개
2024.07.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근데 독립적인 연구는 중학생도 할 수 있음
퀄리티가 나빠서그렇지
IF : 1
2024.07.30
단순 실험이 아니라 아이디어 내고 실험 뭐 하ㅐ야 할지… 시키는거 말고 안시켜도 알아서 연구해서 논문 쓰는거 말하겠죵
2024.07.30
독립적인 연구는 중학생도 할 수 있다는건 그냥 말장난이죠. 박사는 독립적인 연구자라는 것과 다른 뜻 인거 아시자나요? 왜 굳이 이런 말장난 글을 쓰는지...
2024.07.30
중학생이 연구비를 어떻게 따니?
2024.07.30
제대로된 박사는 논문으로 본인을 이야기합니다 괜찮은 저널에 논문 하나 없으면 할 말이 없죠.
대댓글 3개
2024.07.30
혹시 “괜찮은 저널”이 “빅페이퍼”를 말하는 건가요?
2024.07.30
괜찮은 저널은 명성도가 있는 저널이지. 신생저널 중 중국식 IF올리기스킬로 IF만 높은곳 보다는 IF가 10점보다 조금 아래여도 전통있고 누구나 알아주는 저널들이 있음.
2024.07.30
대학원생때 있는 논문 말고, 박사 따고 본인 독자적으로 직접쓴 논문이 있냐 또는 그럴 능력이 되냐. 이게 심지어 빅페이퍼면 대단한거고, SCI 급만 되도 물박사는 아님
2024.07.30
논문은 지도교수가 빨리 accept 되야 한다고 안 좋은데 투고하는 경우도 있어서... 교신저자 빅페이퍼 아니라도 논리 구성 잘 해서 간단하게 낸 논문들도 있고.
2024.07.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의 학위 내용으로 논문 퍼블리쉬 없이 졸업한 사람.
대댓글 1개
2024.07.30
나도 이게 맞다봄. 주저자 한편도 없는 사람
2024.07.30
박사의 기본이 아이디어부터 실험진행 검증 논문 리비전 이거 전체를 다 혼자 할줄 알아야 하는데 저중에 하나라도 안되면 물박사 높은 등급논문이면 pi로 독립 일것같은데
2024.07.30
그 학계 사람들 평 들어보면 대충 암
2024.07.30
독립적으로 연구하고 논문으로 출판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사람이 물박사라고 봅니다. 출판하는 저널이나 학회의 좋고 나쁨을 떠나서요. 박사과정 내내 하는 것인데, 결국 지도교수가 해줬다는 뜻이니까요.
2024.07.30
논문(인트로 필수) 안써본 인원... 학회 포스터장가서 질문하면 공동연구로 진행해서 "제 파트가 아니라 모른다"라고 이야기하는 사람 진짜 많습니다. 그럼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가 뭐냐 질문하면 우물쭈물 하는 상황을 보면... 좋은 논문이지만, 그냥 좋은 코웍커 또는 지도교수 만나서 실적쌓았구사 생각이 듭니다. SI같은 부분이나 단순 분석 디스커션 부분만 쓰고 주저자 받는 인원이 많은것 같아요, 그것도 주저자라고 인정한다해도, 적어도 자기 이름 들어간 논문인데... 자기만의 색깔로 인트로도 써보는 연습을 꼭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더하여, 학생장려금이나 지도교수 과제 제안서도 직접작성해봐야 합니다. 보통 통합으로 5년이상 하는데, 그사이 과제 1개 수주못하면 그것도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2024.07.30
개인적으로 물박사는 없다고 봅니다. 개개인이 학위를 받기위해서 했을 노력을 무시할 순 없죠. 단지 전공 분야는 달라, 다른 학문 또는 전공에서는 약한 면모를 보일 수도 있는 것이죠. 물박사라는 분들도 날라다니는 분야가 있으실 겁니다. 그러니 다 무시할 순 없음..
2024.07.30
학위논문 심사 때 발표나, 학위논문 좀 보면 실력없는 물박사들 종종 보입니다. 본인 노력이 없었을 수도 있고, 대학원에서 지도교수 허드렛일만 하다보니 그리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물박사에 기준이 어딨겠어요. 이야기해봤는데 어....? 라는 생각이 들면 물박사지요.
2024.07.30
포스코홀딩스 LHW 박사 물박사로 인증합니다
2024.07.30
스스로 연구를 할 줄 모르면 물박사라고 봅니다. 여기서 연구란 분야에서 풀어야 하는 문제를 파악하고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을 고안하여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해당 분야에 내놓는 모든 행위를 묶어서 이야기합니다.
따라서 지도교수가 잡아준 연구 주제를 잘 수행하여 논문을 빠르게 생산하기만 했거나, 또는 남의 논문을 많이 읽고 파악하여 의미 있는 연구 주제를 세우기만 할 줄 안다면 물박사를 벗어나기 힘들죠.
특히 생산한 논문의 양에 의한 정량 평가가 중시되는 세태 덕에 전자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는데 대신 이는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통해 극복이 가능하고 극복해야만 하겠죠.
2024.07.29
대댓글 2개
2024.07.29
2024.07.30
2024.07.29
대댓글 3개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2024.07.29
대댓글 3개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대댓글 4개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대댓글 3개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대댓글 1개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0
2024.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