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결근을 교수님께 보고하지 않았으니 뭐... 다른 랩실을 찾아봐야죠. 운이 없네요
21 - 글쓴이가 잘한 것은 없지만 교수님 대응을 보니 괴수랩 같은데 감정적인 분이신가?
14 - 맞습니다. 여러분이 비난 할 수 있고, 제가 이렇게 글을 쓸 수 있는건 우리가 아직 (자유)민주주의 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지금 크나큰 위기에 봉착해 있습니다.
홍콩은 중국의 국가보안법에 반대해 뒤늦게 정신을 차린 시민들이 대규모 자유민주화 시위를 했지만, 너무 늦게 깨달아 이미 중국의 공산당이 먹어 버렸습니다.
(조선인민)민주주의를 주장하는 찢재명 쪽에서 카톡 검열도 아무렇지 않게 시행하려 하고, 대북송금을 하며, 중국에 삼성전자 기밀 누출하거나, 국정원 블랙요원의 신상을 팔거나, 항모 군사기지 등을 드론으로 촬영한 중국인 등
간첩을 처벌하기위한 간첩법을 반대하고, 탄핵 시위에는 중국인들이 활개치고 있습니다.
여러분, 제가 극우라고 비난 해도 좋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좌우를 떠나, 자유민주주의와 반국가세력의 전쟁이라 보셔야 합니다. 이 전쟁에서 지면, 우리나라는 수년 이내에 홍콩처럼 자유를 잃어버리게 될 것입니다.
부디 카이스트가 중국과학원 한국캠퍼스가 되는 날이 오지 않길 바라며...
11 - 석사 1년차 개꿀팁 알려드림
우리 교수도 신입교수인데
석사한테 제안서 쓰게 함
걍 미팅 하루 전에 지피티 써서 작성하셈
대충 하든 열심히 하든 개 ㅈㄹ할 거임
이게 맞다고 봄
9 - 다른곳 알아보는게 좋을거 같아요 잘못한건 맞지만 나가라고 한거 부터가 감정적우로 행동하는듯
16 - 인턴둘이 한날한시에 무단결근하고 한명은 심지어 놀러갔는데.... 이걸 괴수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지 않을까요. 이번에 걸린거지 한번 결근한게 아니라고 생각할 것 같네요
7 - 글쓴이님, 다른 연구실 찾아보시는 것이 나으실 것 같습니다.
아픈 당일에 메일 한 통 드렸으면 서로 오해가 없었을 것 같지만 이미 벌어진 일 너무 자책하지는 마시길 바랍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다음에 같은 실수를 하지 않으면 그만입니다.
교수님께 더 사과를 드리고 다시 인턴을 이어나갈 수 있겠지만, 글만 봤을 때는 다른 연구실을 찾는 것이 나아보입니다.
어찌어찌 해결이 된들 첫인상이 좋지 않으니 해당 랩에 진학해서도 마음 고생이 많을 것 같고, 학생분의 실수에 비해 교수님의 반응이 너무 감정적인 것 같습니다.
좋은 연구실, 좋은 교수님은 충분히 많다고 생각합니다...
9 - 케인즈님이 딱 나쁜 교수 평균이네요 ㅋㅋㅋ 본인이 저런 사람이라 그런듯
9 - 모두 조언 감사드립니다!
처음 이 일이 일이 있었을때는 어찌할 바를 모르고, 교수님을 실망시켰다는 생각에 죄책감이 많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와서 생각하니, 제가 학생에서 사회인이 되어가는 과정을 배운 귀한시간으로 여기고 싶습니다. 그리고 이를 일찍 알게 된것을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대학원 생활이라는건 학생의 신분이라기 보다는, 엄연히 사회인으로서의 책임감을 가져야 하는데, 미숙하고, 예의있지 못한 행동을 한것을 반성합니다.
다만 교수님께서 더이상 이메일을 열림해주시지 않고, 박사님께서도 약속 없이 랩에 방문하는건 싫어 하신다 하셔서, 오늘 다시 한번 마지막으로 사과의 말씀 전하고, 지금까지 감사했다고 진심을 다해서 편지를 쓰고 이 일을 마무리 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다시 마음을 차분히 하고, 제가 정말 어떤 공부를 하고싶고, 어떤 연구를 하고싶은지 고민해 봐야 할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른 어디를 가든 기본적인 실수로 신뢰를 깨는 행동은 마음에 새기고 하지 않고자 합니다.
이 상황을 단순히 죄책감으로 마무리 하기 보다는, 많은 분들의 말씀대로 배움으로 얻어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 - 만족스러운 사람은 커뮤에 안오니까요.
12
노벨 과학상과 한국의 연구 환경 (feat. 생성형 AI)
2024.12.16
아래는 한국의 노벨 과학상 수상 부재에 대한 주요 요인들을 항목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연구 환경과 시스템의 문제
집단 나눠먹기식: 특정 연구 그룹이나 팀이 연구비를 독점적으로 운영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참여할 기회를 잃게 됨. 이는 연구의 다양성과 혁신을 저해함.
성과 되풀이: 연구자들이 이미 검증된 결과나 주제를 반복적으로 연구하게 되어 새로운 발견이 부족해짐.
행정공무원과 연구비 지원 기관의 서열 줄세우기: 연구비 지원 기관이 연구자나 팀을 평가할 때 특정 기관을 우대함. 이는 연구자들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고, 연구의 질보다 행정적 요구에 맞추게 만듦.
연구 무한 경쟁 가속화: 연구비 확보를 위한 무한 경쟁으로 인해 협업보다 경쟁이 우선시됨. 이는 연구자들 간의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음.
2. 기초 과학 연구 부족
성과 가시성의 차이: 기초 과학 연구는 즉각적인 성과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어려워 연구비 지원에서 소외됨.
연구 줄세우기: 성과 기반의 평가 시스템으로 인해 기초 과학 연구자들이 상대적으로 지원을 받기 어려워짐.
제한된 자원 배분: 기초 과학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연구자들이 응용 과학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어 기초 과학 연구가 쇠퇴함.
정책적 지원 필요: 기초 과학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장기적인 투자 필요.
3. 국제적 협력 부족
성과 중심의 연구 경향: 연구자들이 당장 성과가 나오는 연구에 집중하면서 국제적인 협력 기회를 놓치는 경향이 있음.
아류 연구의 증가: 국제적 협력이 부족해 독자적인 연구 방향이 낮아지고 아류 연구가 주를 이룸. 이는 한국 연구의 독창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킴.
4. 인재 양성과 지속성
성과 위주의 연구 문화: 성과 중심의 연구 문화로 인해 교육과 연구의 균형이 무너지고 기술적인 성과만 중시됨.
세계적인 경쟁력 저하: 연구자들이 독창적인 연구보다는 안전한 결과를 추구하게 되어 글로벌 경쟁력 저하로 이어짐.
산업체로의 이직: 연구직으로의 지속적인 진입이 어려운 경우, 박사과정 졸업생들이 산업계로 진출하게 됨. 이는 연구 분야의 인재 풀이 감소함.
연구직으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 부족: 산업계로의 이직이 증가하면서 연구직에서 필요한 기술적 능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해질 수 있음. 이는 연구의 질을 저해함.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의 연구 환경과 인재 양성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연구자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연구 환경과 시스템의 문제
집단 나눠먹기식: 특정 연구 그룹이나 팀이 연구비를 독점적으로 운영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참여할 기회를 잃게 됨. 이는 연구의 다양성과 혁신을 저해함.
성과 되풀이: 연구자들이 이미 검증된 결과나 주제를 반복적으로 연구하게 되어 새로운 발견이 부족해짐.
행정공무원과 연구비 지원 기관의 서열 줄세우기: 연구비 지원 기관이 연구자나 팀을 평가할 때 특정 기관을 우대함. 이는 연구자들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고, 연구의 질보다 행정적 요구에 맞추게 만듦.
연구 무한 경쟁 가속화: 연구비 확보를 위한 무한 경쟁으로 인해 협업보다 경쟁이 우선시됨. 이는 연구자들 간의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음.
2. 기초 과학 연구 부족
성과 가시성의 차이: 기초 과학 연구는 즉각적인 성과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어려워 연구비 지원에서 소외됨.
연구 줄세우기: 성과 기반의 평가 시스템으로 인해 기초 과학 연구자들이 상대적으로 지원을 받기 어려워짐.
제한된 자원 배분: 기초 과학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연구자들이 응용 과학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어 기초 과학 연구가 쇠퇴함.
정책적 지원 필요: 기초 과학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장기적인 투자 필요.
3. 국제적 협력 부족
성과 중심의 연구 경향: 연구자들이 당장 성과가 나오는 연구에 집중하면서 국제적인 협력 기회를 놓치는 경향이 있음.
아류 연구의 증가: 국제적 협력이 부족해 독자적인 연구 방향이 낮아지고 아류 연구가 주를 이룸. 이는 한국 연구의 독창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킴.
4. 인재 양성과 지속성
성과 위주의 연구 문화: 성과 중심의 연구 문화로 인해 교육과 연구의 균형이 무너지고 기술적인 성과만 중시됨.
세계적인 경쟁력 저하: 연구자들이 독창적인 연구보다는 안전한 결과를 추구하게 되어 글로벌 경쟁력 저하로 이어짐.
산업체로의 이직: 연구직으로의 지속적인 진입이 어려운 경우, 박사과정 졸업생들이 산업계로 진출하게 됨. 이는 연구 분야의 인재 풀이 감소함.
연구직으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 부족: 산업계로의 이직이 증가하면서 연구직에서 필요한 기술적 능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해질 수 있음. 이는 연구의 질을 저해함.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의 연구 환경과 인재 양성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연구자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자는 왜 가난해야지? 김GPT 69 43 15487-
12 9 2087
연구실 내 외국인 학생들과 지내면서. 김GPT 53 39 12483-
41 16 6454 -
77 10 7026 -
59 14 7713 -
31 38 5275 -
18 42 7244
요즘시대에 연구 못하는게 이해가 안됨 김GPT 77 35 10797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 명예의전당 21 80 31897-
193 33 59723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03 33 28510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4.12.17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