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건 뭐... 질문 수준이
트랄랄레로 트랄랄라 vs 퉁퉁퉁 퉁퉁퉁 퉁퉁퉁 사후르
인데요....
지잡대 4.0 vs 인서울 상위권 2.0 누가 대학원 입학에 유리한가요?
23 - 미박부터 졸업 하시고 말씀하시죠...ㅎㅎ
제발 대학원 신분세탁으로..
31 - 그게 왜 그렇게 글쓴이를 긁는 말일까요?
사람에게 계층을 적용하는게 문제지
하위 계급이 상급 계급이 누리는 특권을 누리고 싶은건 욕심이 아니라 당연한거고 그걸 누릴 자격 없다고 인간은 판단할 수 없습니다
감히 너따위가 나랑 겸상하랴고해? 라고 생각하는 ㅅㄲ 가 욕심히 많은거고 정신이상자 인겁니다
제발 대학원 신분세탁으로..
39 - 왜 그런 것에 연연하십니까. 그 사람이 실제로 능력이 부족하면 알아서 뒤떨어질 것이고, 학부 간판에 비해 실제 능력이 뛰어나다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사람을 한명 더 알게 된것인데요. 반면에 신분세탁으로 자만하지 말라는 말을 이렇게 공공연하게 하시면 누군가는 그 글을 보고 상처를 받겠지요. 얻는 것 하나 없이 주위 사람에게 상처만 주는 말은 하지 않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제발 대학원 신분세탁으로..
37 - 박사도 아닌데 이렇게 본인 수준 모르고 나대는것도 능력임 ㅋㅋㅋ
제발 대학원 신분세탁으로..
22 - 아이비중 한곳에서 학부하고 T3에서 박사하는 중인데, 카이던 지잡대던 한국 학부면 제발 영어 좀 공부하고 오세요. 발표 들을때마다 개패고 싶습니다.
제발 대학원 신분세탁으로..
19 - 꼰대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29 - ? 그럼 어디서 공부함?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29 - 자기 자리도 있을텐데 뭔 상관임?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34 - 안오면 안온다고 뭐라할듯 ㅋㅋ 그냥 학연생 까고싶은거 아님?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30 - 근데 진짜 할일도 안주면서 출근은 하라하고 지도도 안해주면서 공부한다고 머라하면 어쩌라는거에요..? 거기 학연생도 출근 해야해서 나오는거 아니에요? 자의적으로 나오고싶어서 나오는 사람은 없을텐데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57 - 생각할수록 빡치는데 뭐라도 대답좀 해봐요 시ㅂ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46 - 여러분 감사합니다!
연구도 하면서 숨 돌릴 틈에 마음 놓고 공부해도 되겠어요!
다들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61
석사 졸업 후 취업 vs 박사 진학
2025.07.04

연구 분야는 배터리 쪽이고, SCI 저널 논문 2편 게재와 지도교수님께서 학회는 많이 보내주셔서 학회 수상내역도 3회 정도 있습니다.
저의 최종 목표는 삼성, sk, 현대차와 같은 메이저 대기업의 연구개발 부서에 취업하는 것입니다.
현재 메이저 대기업은 아니지만 1차 벤더회사에 합격한 상태인데, 지도교수님께서 박사 진학을 계속 권유하셔서 고민입니다...
원래는 연구가 재밌어서 박사 진학이 목표였으나, 대학원을 다니며 생긴 공황장애가 제 발목을 잡은 것 같습니다.
학부와 석사 포함해서 3년 정도 연구했던 것도 이렇게 힘들어했는데, 이보다 더 힘들고 오래 걸리는 박사과정을 과연 제가 버틸 수 있을지 걱정됩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이유로 지도교수님의 권유를 정중히 거절하였습니다.
하지만, 지도교수님께서는 박사를 안 가기엔 너무 아깝다며 인서울대 박사 졸업장을 받을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서성한 중 한 곳입니다.), 3-4년 안에 박사 졸업 시켜주겠다와 같은 제안을 추가로 주신 상황입니다.
현실적으로 지방대 석사 출신으로는 앞서 말씀드린 메이저 대기업에 바로 입사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현재 합격한 1차 벤더회사에서 경력을 쌓고 메이저 대기업 급으로 이직을 할 계획이었습니다.
지도교수님께서는 박사 졸업을 하면 너가 가고싶은 회사에서 널 모셔가려고 할 거고, 훨씬 좋은 급여와 대우를 받을 수 있다.
이직하는 것보다 박사 진학이라는 더 쉬운 길이 있는데 왜 진학을 하지 않는 것이냐는 말씀도 하셨습니다.
제가 회사를 다녀본 적도 없고, 주변에 대학원 졸업 후 취업한 친구들도 없어서 정말로 박사 졸업하면 메이저 대기업에 가기 수월한건지, 석사 출신과 대우가 정말 다른지도 여쭙고 싶습니다.
끝으로 제 고민을 정리 드리자면, 메이저 대기업 급 연구개발직 취업이 목표인데
1) 석사 졸업 후 적당한 회사 들어가서 이직하기
2) 박사 진학하여 박사 졸업 후 바로 메이저 대기업 취업하기
정도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요즘 이 고민으로 잠도 잘 못 자고, 물어볼 선배나 친구도 마땅히 없어서 글 올려 보았습니다...
글을 작성하다 보니 너무 두서 없고 장황해진 것 같아 죄송합니다.. 어떠한 의견도 다 소중히 경청하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석사졸업후 취업 김GPT 5 8 14906
석사 졸업 후 취직 or 박사 진학 김GPT 1 2 3316-
2 3 3248
석사 졸업하는데 김GPT 0 1 246
석사 졸업 이후 선택 김GPT 0 0 839
석사 졸업 VS 박사 졸업 김GPT 0 7 6415-
2 13 2487
석사 졸업 후 1년 공백 김GPT 2 3 1657
석사 취업 고민.. 김GPT 0 9 2807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61 41 41102-
127 48 30923 -
100 33 6300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여성은 도둑이다
62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199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285 -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261 - 석사 졸업 실적 자랑좀 하겠습니다.
72 - 흥선대원군이 서원 정리한 일처럼 쓸데없는 대학들은 정리가 필요합니다.
46 - 교수님이 절 쫓아내려고 해요....
23 - 대학원 다닌지 1년... 중요한 건 pi가 아니라 선배들이더라
4 - 교수가 알려주는 학자의 자질 테스트
8 - 카이스트 수준 ㅋㅋㅋㅋ
62 - 출근 일주일 지났지만 떠날까합니다.
16 - 카이스트 논문 AI 사건으로 느끼는점…
9 - 우리나라 노벨상이 반드시 나와야하는 이유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전북대 인성이 멀쩡한 교수
12 - 지잡대 4.0 vs 인서울 상위권 2.0 누가 대학원 입학에 유리한가요?
16 - 이거 그만둬야 하나요?
9 - 대학원 자퇴를 해야할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7 - 학연협동과정을 고민하는 후배분들께
10 - 제발 대학원 신분세탁으로..
38 - 지잡들은 농사일하게 해야함
11 - 유니스트, 디지스트 학점 컷
7 -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26 - 연구실에서 싸우고 나가는 것에 대하여
10 - 정출연이라고 해서 왔는데 생각보다 물경력인 분들이 많네요;;
7 - 전문연 이후 국내/해외 포닥 고민
8 - 도망친게 잘한건지 모르겠습니다...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독일 유학 관심 있는 사람 있냐?
16 - 여성은 도둑이다
62 - (장문) 언제나 대학원은 신중하게 생각해야 하네요
199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285 -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261 - 석사 졸업 실적 자랑좀 하겠습니다.
72 - 흥선대원군이 서원 정리한 일처럼 쓸데없는 대학들은 정리가 필요합니다.
46 - 교수님이 절 쫓아내려고 해요....
23 - 교수가 알려주는 학자의 자질 테스트
8 - 카이스트 수준 ㅋㅋㅋㅋ
62 - 출근 일주일 지났지만 떠날까합니다.
16 - 카이스트 논문 AI 사건으로 느끼는점…
9 - 우리나라 노벨상이 반드시 나와야하는 이유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석사 지원 가능할까요...?
33 - 성공적인 미국 대학원 유학, 그 첫번째 교육인 [김박사넷 유학교육 밋업]에 초대합니다
9 - 석사 풀펀딩 및 비자 관련 디퍼 문제
10 - cs 미박 관련 여쭤봅니다..
10 - 미국석사 지원 예정인데 제 스펙으로 지금 대학목록이 적합한지 알고싶습니다.
17 - 지잡대 4.0 vs 인서울 상위권 2.0 누가 대학원 입학에 유리한가요?
16 - 이거 그만둬야 하나요?
9 - 학연협동과정을 고민하는 후배분들께
10 - 제발 대학원 신분세탁으로..
38 - 지잡들은 농사일하게 해야함
11 - 하.. 학연생이 랩실 와서 공부하고 있다
26 - 연구실에서 싸우고 나가는 것에 대하여
10 - 전문연 이후 국내/해외 포닥 고민
8
2025.07.04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