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논문 피어 리뷰의 역사

2025.10.31

0

242

동시대의 “검증/선별”은 지역·시대·학문마다 제각각이었고,

지금 같은 ‘익명 동료심사’는 20세기 중후반에야 널리 퍼졌다. ([JAMA Network][1])

다음이 피어리뷰 정착 전·초창기(17–19세기)의 대표적 평가/선별 방식들이다:

1. 편집자 단독 판단(혹은 소수 편집위원)
상업 학술지·전문지 초창기에는 유력 편집자가 투고를 직접 읽고 게재 여부를 정했다. 유명 저자의 경우 편집자 명망과 인맥이 사실상 “보증” 역할을 했다. ([Wikipedia][2])

2. 학회 ‘위원회 심사’(Committee of Papers)
영국 왕립학회는 1752년에 저널(Philosophical Transactions)을 학회 직영으로 전환하고, 내부 위원회가 원고를 선별·편집했다. 오늘날의 외부 심사라기보다 ‘학회 내부 동료’의 합의에 가까웠다. ([Royal Society][3])

3. 학회 ‘발표-기록-게재’ 절차
왕립학회는 원고가 출판 심의 전에 먼저 정기 모임에서 ‘낭독(발표)’되어야 했고, 이 과정이 일종의 공개 등록·선별 장치였다(나중엔 제목·초록만 읽고 진행). 발표 후에야 게재 여부를 논했다. ([arts.st-andrews.ac.uk][4])

4. 아카데미 ‘상공모(Prize contests)’와 심사 보고서
프랑스 과학아카데미 등은 특정 주제 공모를 열고 ‘위원(Commissaires)’이 제출물을 검토·보고하는 제도를 운영했다. 수상·보고서가 사실상의 품질 인증 역할을 했다. ([Dokumen][5])

5. 서한교환·증인 문화(“지식의 공화국”)
연구결과를 편지로 널리 돌리고(등록·우선권 확보), 저명한 ‘증인’ 앞에서 실험을 시연해 신뢰를 얻었다. 편지·회의록·단평이 오늘날의 사전공개·프리프린트에 가까운 기능을 했다. ([University of St Andrews Research Portal][6])

6. 종교·국가의 사전 검열·인가
특히 종교·도덕과 연관된 저술은 주교의 인가(임프리마투르)나 금서목록의 규제를 받았고, 과학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이는 학술적 타당성 심사라기보다 ‘출판 허가’ 체계였다. ([Encyclopedia Britannica][7])

7. 편지봉투/서류 ‘우선권 예치’(priority deposit)
특허 이전 단계에서 아이디어의 선점을 증명하려고 봉인된 문서를 기관에 맡기는 관행(예: 프랑스의 ‘앙벨로프 솔로’)이 쓰였다. 이는 출판 전 평가라기보다 ‘선점 인증’ 장치. ([SAGE Journals][8])

핵심 맥락 정리

* 18–19세기 영국권 학회는 내부 위원·지명 심사(‘refereeing’)를 점차 제도화했지만, 대륙 유럽 다수 저널은 오랫동안 편집자·편집위원 판단으로 운영됐다. “동료심사=과학의 표준”이라는 인식은 20세기 후반에 굳었다. ([ethos.lps.library.cmu.edu][9])
* 결론적으로, 피어리뷰는 역사적으로 단일한 제도가 아니었고, 출판 전 평가의 기능(등록·인증·편집 통제)은 시기별로 다른 장치들이 나눠 맡았다. ([University of St Andrews Research Portal][6])

한 줄 요약: 예—편집자 재량, 학회 내부 위원회, 공개 발표-기록, 상공모 심사, 검열·인가, 우선권 예치 등 여러 방식이 피어리뷰 자리에서 번갈아 역할을 했다.

[1]: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fullarticle/380937?utm_source=chatgpt.com "The Evolution of Editorial Peer Review"
[2]: https://en.wikipedia.org/wiki/Scholarly_peer_review?utm_source=chatgpt.com "Scholarly peer review"
[3]: https://royalsociety.org/journals/publishing-activities/publishing350/history-philosophical-transactions/?utm_source=chatgpt.com "History of Philosophical Transactions"
[4]: https://arts.st-andrews.ac.uk/philosophicaltransactions/tag/royal-society-meetings/?utm_source=chatgpt.com "Royal Society meetings – A History of Scientific Journals"
[5]: https://dokumen.pub/the-enlightenment-in-practice-academic-prize-contests-and-intellectual-culture-in-france-16701794-9780801463907.html?utm_source=chatgpt.com "The Enlightenment in Practice: Academic Prize Contests ..."
[6]: https://research-portal.st-andrews.ac.uk/files/250497258/MoxhamFyfe2017_PreHistory_of_Peer_Review_AAM.pdf?utm_source=chatgpt.com "noah moxham"
[7]: https://www.britannica.com/topic/imprimatur?utm_source=chatgpt.com "Imprimatur | Approval, Censorship, Ecclesiastical"
[8]: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13591835211028880?utm_source=chatgpt.com "An enveloped history of priority, proof and patents"
[9]: https://ethos.lps.library.cmu.edu/article/id/38/?utm_source=chatgpt.com "Peer Review | Baldwin - Encyclop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0개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