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66 - 교수는 부모가 아닙니다
인권 운운하면서 여자 꼬시고 술 마시는 비용까지
교수한테 청구하지 마세요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67 - 막줄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37 - 학회 교통비를 누가 자비로 부담하나요? 대학원은 의무교육이 아닌데 형편에 맞게 생활하거나 취직 하면 됩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3 - 교수가 생활비 얼마 들어가는지를 모르겠냐?ㅋㅋ 다 모르는척 하는거지 에효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9 - 오케이. 그러면 학문이라는 것은 가진 자들을 위한 헤게모니가 될듯. 지난번에 누가 올린 "어용"이라는 단어가 딱 맞는듯.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5 - 님 논리 대로면 대학원은 의무교육 아니니까 가난한 사람들은 학자의 길 꿈도 꾸지 말고 중소기업 들어가야죠? 좋은 것은 가진 사람들끼리 해야겠죠? 그죠?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2 - 공익, 공동체라는 지평 위에서 기회를 얻은 인간들이, 부담 가는 일은 대학원은 사교육이라는 논리를 들어 빠져나가는 것은 자기모순입니다. 사회가 당신들 취미생활하라고 돈 대주는 게 아닙니다.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15 - 글을 중간만 읽고 처음과 끝은 못 읽는 독해력 대단하십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36 - 카이스트도 떠나더라.
미국이랑 중국으로 갔겠지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6 - 조교수 평균연봉 8천 ㅋㅋㅋㅋㅋㅋ 서울대면 솔직히 다른대학보다 20-30%더 줘도 아무로 뭐라할 사람이 없을텐데. 어휴 쪽팔린다 교수 연봉이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24 - 대안으로 누가 이박사넷이라도 만들어서 돌려돌려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15 - 이게 17년 동안 대학등록금 강제로 동결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는 좋다고 난리였겠지만, 17년 동안 교수 월급이 안 오르니 누가 교수하려고 하겠나? 17년 동안 물가는 얼마나 올랐는데.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과 이 사회가 받는 것.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30
건국대 전전 3.8 → 성균관대 반융공 석박통합과정 합격
2025.06.30


B. 전기전자공학부, 3.8/4.5
C. 토익 915, TEPS 444, 동계방학 단기 인턴 1개월(의미 없음)
D. 면접 후기는...
1분 자기소개
- 자기소개서에 작성한 학부 프로젝트 경험과 지원한 연구실에서의 연구를 결합하여 이러이러한 연구를 하는 연구자가 되고 싶다고 답변했습니다.
컨택한 랩실이 있는지? 어떤 분야 연구를 할 생각인지?
- 5월달에 이미 컨택되어 출근하고 있는 상태였어서 연구실에서 진행하고 있는 연구 + 관심있는 분야 연구를 합쳐 답변했습니다.
석박사통합과정 몇 년 걸리는지 아냐?
- 6년 걸린다고 답변하니 면접자분께서 그것보다는 적게 걸린다고 하셨습니다. (근데 와보니 그것보다 오래 걸릴 것 같아요.)
나중에 박사학위까지 따고 뭘 하고싶은지?
- 연구한 분야를 바탕으로 그것이 필요한 산업계에 종사하는 전문적인 연구 인력이 되고 싶다고 답변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느 기업을 목표로 하느냐는 질문에는 미국 빅테크 기업을 가고 싶다고 답변했습니다. (어려울 것 같습니다.)
E. 대학원을 준비하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컨택 시기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대학원에 가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최대한 빠르게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연구실을 찾아서 컨택해보세요. 물론 컨택할 때 정중한 말투와 CV 등 형식을 가지고 컨택하는 건 당연한 것이구요.
스스로 일을 만들어서 하는 게 아니라 일이 주어지면 수행하는 성격의 소유자라면 대학원을 다시 생각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연구실 별 분위기가 다르기는 하겠으나 연구실 사람들 대부분이 자기 연구하느라 바빠 신입으로 들어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감이 안 잡히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더라구요. 저도 연구 분야 정하고 관련 연구팀에 들어가는 데까지 8개월 넘게 걸렸네요...
모든 대학원생 여러분, 미래 대학원생 여러분 화이팅입니다!
석박통합 3년 해보고 느낀 점 김GPT 15 5 6523-
3 15 9237
지방대 출신 서포카 대학원생 김GPT 16 13 15793
석박통합중 석사 전환 권유 김GPT 5 10 5441
석박통합에서 석사 전환후 유학 김GPT 18 5 5794
석박통합 VS 석사 김GPT 2 3 11709
석박통합제도에 대해 김GPT 31 9 5034-
39 4 4234
석박 통합걸리는기간 김GPT 1 5 3848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명예의전당 80 17 10459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79 11 58966
(장문) 박사과정은 낭만이다 명예의전당 97 13 11193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포항공대 합격후기
11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51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2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9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3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39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43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15 - 학부 서울대 아니지만 석사학위 서울대 얻을경우 취업 메리트..?!
6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8 - 대학원 가지 말아야 할까요
8 -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67 - 근래 월급이니 워라밸이니 하는 글들이 왜 학생입장에서 거슬리는지 곰곰히 생각해봤음
9 - 고3의 워라벨과 고3의 봉급
2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13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8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4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8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8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22 - 졸업 논문 자기 표절 가능?
9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56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5 - 정말 욕심 하나도 없는 35세 석사 진학 문의
10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22 - 2026년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4개대학 100위안에 진입
14 - 인건비 어쩌고 워라벨 어쩌고 나만 다른 세상 사는지 참 희안하다
14
2025.06.30
대댓글 1개
2025.07.01
2025.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