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으로 4년정도 아날로그 회로설계쪽에서 일하고있어요.현직에서 일하면서 느낀점이 1. 학사출신으로 설계를 잘 할수는 없다 라는 인식이 강해서 취업이나 이직에 어려움이 있음. 2. 경력기술서 등 프로필을 적을때 연구활동의 한계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는 인식. 3. 대학원에서만 배울수 있는 전문지식이 필요한 경우가 있음.
그래서 직장을 병행하며 대학원을 다녀보려고 합니다. 일반대학원이나 야간대학원을 다니며 연구실 활동도 해보려는데 연구실 졸업생 또는 현재 석사연구생들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아날로그회로설계분야에서 살아남아 일을 계속하고 싶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3.04
제가 아직 현직에서 일해본 것은 아니지만.. 연구실 선배들이나 회사분들 말씀 들어보면 일 계속하려면 최소 석사는 필수 인 것 같았습니다.
오히려 제가 선배님께 궁금한건 현업에서 일하시면서 석사로는 안될 것 같고 박사를 무조건 해야할 것 같다고 느끼셨는지 아니면 그냥 석사 따고 경력 쌓으면 될 것 같다고 느끼셨는지 궁금합니다.
대댓글 4개
2025.03.04
미국에서 석사만 하고 회로하면 누구나 아는 실리콘밸리 회사에서 일 하고 있는데요, 박사가 없으니까 interesting design을 리드하지 못 하게 되어서 제 커리어가 좀 막혔다는 생각이 들긴 합니다. 경력이 계속 쌓여도요.
한국은 다를지 모르겠네요.
2025.03.04
석사 졸업만 해도 대기업까지 이력서 쓰는것은 이상 없습니다. 대학원에서 어떤걸 배웠는지, 어떤 회로를 공부했는지, 직접 회로 설계를 해봤는지 이런부분이 가장 중요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학사졸업이라 이직을 하거나 다른 엔지니어와 대화할때 회로설계를 한다고 말할때 좋은 시선은 아니였습니다. 그래서 학업을 병행하며 대학원 갈 생각이고, 파트타임이나 야간대학원까지 정 안되면 퇴사까지 고민중입니다...
2025.03.04
두분 다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졸린 갈릴레오 갈릴레이 선배님께서는 석박통합으로 진학하실 예정이신건가요?
2025.03.04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욕심안내고 석사과정만 하고 싶습니다. 크게 학문적으로 배움을 하고싶다기 보다는 현직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식과 학위가 먼저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야간이나 파트타임 고민중이였고요.
2025.03.05
아날로그회로설계 serdes분야로 박사학위 받고, 삼성/하이닉스 현직자입니다. 직장을 병행하며 대학원을 다니는게 크게 의미가 있는줄 모르겠습니다. 그럴거면 회사에서 해주는 교육등이 훨씬 유의미한 시간이 되지 않을까요? 제 생각에는 퇴사후에 현업에서 설계하셨던 설계를 다루고 있는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작성자분의 학부레벨이나 정확한분야는 모르겠으나, 인기랩실은 자대도 석사를 가려뽑습니다. 회사경력을 레버리지 삼아서 SPK혹은 YK까지의 인기랩실 진학은 어떨까요? 거기 졸업생들 alumni도 참고해보세요
2025.03.06
석사야 뭐...
2025.03.26
과거의 저를 보는 것 같아 댓글 남깁니다.
우선, 풀타임으로 때려박아도 실적 내기 어려운 게 대학원입니다. 파트타임으로 택도 없구요. 애초에 직장이랑 학업을 둘 다 잡는 게 불가능합니다 100퍼센트 둘 다 놓쳐요 시간만 날리고. 그러니까 목적에 따라 한 개를 버리셔야 합니다. 저는 그냥 직장 꽉 붙들고 계신거 추천이요.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다른 현업자들이랑 대화가 안되고 무시당하는 느낌이고 그런 이유가 진학 사유에 포함된다면 오실 이유가 없습니다. 대학원 오시면 더 무시 당해요. 베이스 부족하면요. 무시의 수준도 사회인의 정제된 무시가 아니라 아직 사회화가 덜 된 인간들(그러나 학문적 역량이 매우 뛰어난)의 원초적인 무시입니다.
어차피 학졸 하고 회사 간다는 의미가 돈 벌겠다는 거예요 커리어고 나발이고. 게다가 박사를 하겠다고 하신 거면 모르겠는데 ‘욕심 안내고’ 석사라고 하셨습니다. 한 때 저도 ‘욕심 안내고’ 석사만 하겠다는 생각으로 와서 말씀드리는데, 석사조차도 그정도 마음가짐으로 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정말 정말 정말 어렵습니다.
다만, 회로 지식이 짧아서 현업에서 실적 내는 데에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승진 등에 불리할 것 같고 + 돈 몇년 안 벌리고 재취업 안될까봐 압박 안 느낄 멘탈 있으시면 진학 하시는 게 맞습니다. 저도 비슷한 이유로 퇴사하고 설계 랩 왔습니다. 전 석사 과정으로 왔는데 나이만 젊었으면+ 와서 설계에 조금이라도 재능이 있다는 걸 확인했다면(이게 훨씬 중요) 아묻따 박사 땡깁니다. 할거면 박사를 하는 게 좋아요.
회사랑 다릅니다. 동료들도 다르고 교수도 사회 생활 거의 안해본 사람도 많아요. 정말 내 능력치를 올리고 싶다는 처절한 감정이 있으셔야 와서도 잘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3.26
글만 봐서는 커리어 향상에 필요한 스펙으로 석사 학위가 필요하다는 느낌이 내적인 역량(지식)을 올리겠다는 것보다 더 강하게 듭니다. 그런데 회로 설계 업계에서 학력은 곧 실력입니다. 테잎아웃 하고 공부하고 그 시간이 쌓이면서 실력이 느는 거예요. 설계 쪽 커리어가 솔직히 석졸이 미니멈 요구 조건입니다. 그래서 님이 학사로 느끼셨을 박탈감이 매우 공감됩니다. 오히려 저라면 운좋게 학사로 설계 직무 들어간거 안 놓치고 돈을 추구하겠습니다. 그만큼 힘들어요 대학원. 힘든 거에 대한 보상이라 해봐야 학위가 전부입니다
2025.03.04
대댓글 4개
2025.03.04
2025.03.04
2025.03.04
2025.03.04
2025.03.05
2025.03.06
2025.03.26
대댓글 1개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