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박사를 고려하고 자대에서 석사를 못할 경우 석사 대학을 고려할때 일반적인 한국에서의 네임 벨류 말고 World University Rankings를 참고하는게 더 좋을까요? 물론 제가 연구하거 싶은 주제의 랩실이 모두 있다는 전제하에요! 그리고 170위권(unist)과 200~250위권(고려대)이 차이가 많이 나는건지도 궁금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순수한 막스 베버*
2023.07.12
아뇨 한국에서의 네임밸류만 보세요
대댓글 2개
2023.07.12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이유를 알수 있을까요!?
순수한 막스 베버*
2023.07.12
세계랭킹이 엉망이라서요.
2023.07.12
네임밸류는 사실 안 중요하고요, 본인이 석사 동안 명확하게 성과를 낼 수 있을 것 같은 곳으로 가세요. 석사 졸업자는 학부 졸업자보다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기간이 2년이나 주어졌던 것으로 보기 때문에, 더 명확한 연구 성과를 기대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7.12
그니까 대학보다 연구실이 더 중요함. 본인이 유학 가고 싶다고 밝혔을 때 그 계획에 동참해줄 교수를 찾으셈
2023.07.17
해외에서는 서울대 카이스트 아닌이상 이름빨 못 받고요, 그냥 단기간 성과낼 좋은 랩실 찾아가세요
대댓글 6개
순수한 막스 베버*
2023.07.17
카이스트도 못받아요.. 오로지 서울대
2023.07.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 서울대 별차이 없는데 ;; 둘다없다보면 되는데 쫌있다치면 둘다잇음
2023.07.18
ㅎㅎ 동의합니다. 사실 인지도가 있다 수준이죠.. 해외 박사시 배경으로 도움이 되려면 1) 같은 학교 대학원을 가거나 2) PI끼리 서로 아는 사이여서 추천받거나 이 두가지만 있는 것 같네요. 그 외에는 그냥 컨택, CV, SOP로 승부봐야죠
순수한 막스 베버*
2023.07.18
서울대랑 카이는 유학 시장에서 비교 불능인데요. 저희 분야에서 카이스트를 아는 교수를 본적이 없습니다.
순수한 막스 베버*
2023.07.18
반면에 서울대 인지도는 조금 있다 수준이 아니고, 베이징대 칭화대 도쿄대 급으로 여겨지는데요.. 서울대 출신 온다고 하면 똑똑한 학생 온다고 좋아하는 교수님도 몇번 봤어요. 서울대 수석하면 별다른 연구 성과 없이도 top3 갈 수 있는 이유가 그겁니다.
2023.07.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 도쿄대 출신이고 박사부터 건너와서 현지인이랑 결혼해서 사는중인데 학부 이름빨 받아본적이 없고 서울대라고 똑똑한 친구가 오는구나 하는 말도 줏어들어 본 적이 없음...
근데 저는 아예 한국 대학과 접점이 없고 다녀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 편견없는 제 인식이 맞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카이 수석도 컴공같은 분야 아니면 그정도는 가겟죠;;
2023.07.29
석사과정에서 딱히 눈에띄는 실적내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저같으면 학교이름 보다는 해당분야에서 더 유명한 교수님 아래로 석사할거 같네요. 학교이름이 미치는 영향은 어차피 그게 그거라서..
2023.07.12
대댓글 2개
2023.07.12
2023.07.12
2023.07.12
대댓글 1개
2023.07.12
2023.07.17
대댓글 6개
2023.07.17
2023.07.18
2023.07.18
2023.07.18
2023.07.18
2023.07.18
2023.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