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기준으로 학위받은 학교가 서포카 쪽을 가면 나중에 대기업 취업시 과장부터? 시작하고 연고포함 그 이하는 더 낮은 직급부터 시작하다 하더라구요..?
그럼 연고 이하부터는 취업에 불리한건가요...?
어디서 듣기로는 연구실이 중요하다 들었는데 연고이하에 좋은 연구실 나와도 취업시 서포카만큼 대우를 못받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취업시장뿐만 아니라 교수임용에도 크리티컬 하나요?
제가 나온 학교는 최상위 학교는 아니지만, 대부분 교수님들이 미박+ 서포카 출신 박사이긴했습니다. 근데 또 10~20퍼는 연고서성한, 혹은 그 이하 인서울 or 지거국 박사이신데도 교수가 되신분들이 존재했는데 이분들은 학위 받는곳의 불리함을 뛰어넘을 정도로 잘하시는 분들인가요? 아니면 그냥 학위차이는 거의없고, 성과만보고 뽑다보니 그냥 자연스래 뽑히신 분들일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8.15
BEST요즘은 사기업에서 직급이나 대우를 다르게 하는 일은 많이 없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래도 취업할 때 좋은 학교면 유리하긴 하겠죠? 교수임용에는 솔직히 영향이 아예 없다고는 말씀못드리겠지만, 이공계열에서는 성과 좋으면 학벌 인식은 극복 가능합니다. 그런데 그냥 학벌 가산점때문에 뽑힌다기 보다는, 좀 재귀적인 대답이긴 하지만, 실적을 잘 낼만큼 능력이 좋은 사람은 애초에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는 방향으로도 생각해보세요.
2025.08.15
요즘은 사기업에서 직급이나 대우를 다르게 하는 일은 많이 없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래도 취업할 때 좋은 학교면 유리하긴 하겠죠? 교수임용에는 솔직히 영향이 아예 없다고는 말씀못드리겠지만, 이공계열에서는 성과 좋으면 학벌 인식은 극복 가능합니다. 그런데 그냥 학벌 가산점때문에 뽑힌다기 보다는, 좀 재귀적인 대답이긴 하지만, 실적을 잘 낼만큼 능력이 좋은 사람은 애초에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는 방향으로도 생각해보세요.
2025.08.15
연고 이상 나오면 그렇게 대단한 차별 느끼시진 않을 것 같네요. 연고 이상 학부 나와서 박사하시면 연고 이상 대학 교수 다 할 수 있는데 서카포 임용에서는 서카포 출신 학부 비율을 보면 서카포 출신에 비해서 가능성이 낮죠. 단 자대 즉 연고 임용에선 좀 더 유리하겠지만요. 물론 실적이 뛰어나게 좋아야 하는 건 당연한 거고요. 대기업도 비슷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8.15
학부 위주로 얘기했는데 대학원은 미박이 절대적으로 유리하고 미박이 해외 취업이 많아져서 그런지 요즘은 국내 박사 출신들도 교수 임용이 늘고 있는 것 같아요. 국내 출신 박사 취업은 출신 대학원도 중요하겠지만 그것 보다도 연구분야와 실적이 취업에선 더 우선시 되죠.
2025.08.15
교수임용은 완벽한 케바케입니다. 인하대 학석박이 중앙대 교수하시는분도 계시고 서울대 학석박이 지방대에 계시는분도 있습니다. 본인 연구분야, 개인실적, 사회적인 관심분야, 각 학교 은퇴하시는분들 분야 등등, 여러가지 요소가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단순히 '실적이 월등히 좋아서' 또는 '학벌이 메리트가 있어서' 등으로 표현이 안됩니다.
대댓글 1개
2025.08.17
최근 중대 학석박 후 고대안암 임용된 분도 계시죠
2025.08.15
교수임용은 인맥과 운이 크게 작용합니다. 교수 트라이 할 정도면 보통 스펙은 다 맞춰오기 때문이지요. 요즘 고스펙자가 많은 것도 한몫하고요.
기업은 같은 일을 원숭이가 할 수 있으면 인간이 아니라 원숭이를 활용할 정도로 효율에 미친 곳입니다.
그런 곳에서 학교에 의미를 둘까요? 그거 보단 학교에서 했던 과제나 연구가 기업과 잘 맞아서 채용시킨다라는게 더 맞는 표현같네요.
대댓글 1개
2025.08.17
교수임용은 인맥과 운이 중요한것도 동의하고, 상향평준화돼있는것도 동의합니다. 그러다보니 그중에서도 눈에띄는 스펙을 갖는 지원자가 있는경우도 있지만 많은경우 거기서 거기입니다. 그러다보니 임용시장에서는 "최대한 흠이 덜있는사람"을 뽑게된다는 말도 있습니다. 여러가지 스펙이 비슷하면 당연히 학벌을 비교하게 될수도있겠죠. 반대로 말하면 본인이 상향평준화된 임용시장에서도 독보적인 실적을 갖고있으면 어디든 가실수있을겁니다. 그러기가 상당히 쉽지않을뿐이죠.
2025.08.15
박사학위+학부 네임벨류가 중요해요
2025.08.16
국박도 박사 딴 학교로 급이 나뉘나요?
2025.08.16
안좋은 연구실은 거기서도 다 알아요 학교만 보고 안뽑아요 연구실 별로 내정자 채용하는게 많은걸로 알아요 서카포는 그 비율이 높은거지 학교 네임벨류로 통과하는게 아니에요 대학원 생활 해봤으면 아셨을텐데 연구실 별로 수준 차이 많이 나요
2025.08.16
포닥을 안한 경우면 경력을 1년 정도 더 인정 받습니다 설포카 경우에는요. 그런데 아시다시피 설포카여도 실적이 안좋운 경우도 많습니다. 면접 가보면 뭐했나.. 자기가 한건 맞나 싶기도하죠. 그런데 뭐 인사팀이나 회사는 일단 보수적이라 설포카라는 학벌로 인식하죠. 그게 아쉬우시면 해외 포닥을 다녀오세요 그러면 설포카보다 더 연차도 인정 받고 조건도 조좋게 들어옵니다. 좋은 학교고 실적만 좋다면요 얼마든 더 임정 받습니다.
2025.08.16
학벌따지는 집단으로 취업하고자 한다면 한국에서는 학부가 중요합니다
2025.08.16
일단 학계는 학부가 제일 중요하고 학부가 좋으면 못해도 자교는 가니 대학원 학벌도 좋겠죠. 좋은 학부 + 해외대면 최고고요. 연구 잘하면 뒤집을 순 있는데 너무 레어케이스고 학벌 좋으면 연구도 잘할 확률이 높으니 전문직 이상으로 학벌이 좋은 경우가 많죠.
회사갈거면 박사 세탁으로 커버 되고 되도록 좋은 학교 가는게 좋습니다. 뽑는 사람도 뭐 연구 잘 모르니 학벌 보죠.
2025.08.15
2025.08.15
2025.08.15
대댓글 1개
2025.08.15
2025.08.15
대댓글 1개
2025.08.17
2025.08.15
대댓글 1개
2025.08.17
2025.08.15
2025.08.16
2025.08.16
2025.08.16
2025.08.16
2025.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