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통계적 머신러닝(Statistical Learning) 하시는 분들 계신가요?

2023.11.21

11

3216

데이터 사이언스나 통계학과 대학원 진학 준비하는 학부생입니다.

주전공은 경영/경제학이고, 복수전공이 응용통계입니다.
아무래도 주전공이 사회계열이긴 해도 문과치고 수학을 좋아해서 주전공에서도 방법론인 수학, 통계 수업 위주로 들었습니다.
복수전공은 응용통계라 회귀분석이나 시계열분석, 전산통계, 머신러닝, 딥러닝 등 과목들 들었고, 성적도 잘 받았습니다.

개인적으로 머신러닝 수업을 들으면서 컴퓨터 사이언스 측면보다 통계학적인 관점으로 배우니까 더욱 재밌다고 느꼈는데요. 끽해야 ISLR 정도 배우고 통계적 머신러닝이 재밌다고 말하기엔 어불성설이지만 … 열심히 공부해서 수업에서 1등도 하니까 자신감도 그렇고 흥미도 그렇고 이 분야를 좀 더 진지하게 해보고싶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궁금한 것은 대학원을 통계적 머신러닝을 다루는 교수님한테 진학한다고 하면 잘 따라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어쨌든 태생이 문과 출신이다보니 이공계 학우들이 고등학교 때 주입식으로 밥먹듯이했던 ‘미적분’의 이해도가 높진 않습니다.
개념적으로 이해하는 건 무리가 없는데, 초월함수의 미적분 같이 고등학교 때 기계적으로 풀어온 이공계 학우들과는 다르게 딱 바로 나오지는 않는 수준입니다.

수리통계학 배우면서 나오는 미적분 정도는 어느정도 따라갈 순 있었어요. 오히려 그러다보니 선형대수가 더 재밌다고 느껴지더라고요.

이러한 제가 통계적 머신러닝을 주 연구 분야로 삼는 랩에 가서 잘할 수 있을까요?

하고 계신 분들의 진심 어린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3.11.22

수학 공부를 더 열심히 하시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화이팅이십니다

대댓글 1개

2023.11.22

감사합니다!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2023.11.22

국내에서 통계적 머신러닝을 하는 랩 자체가 별로 없어요 일단 랩부터 찾아보시고..

대댓글 3개

2023.11.22

혹시 CS나 EE 계열이 아닌 통계학 전공하신 교수님께서 ML/DL을 다루는 경우도 통계적 머신러닝이라 하기에 어려움이 있을까요?

2023.11.22

실제로 하는 연구가 통계적 머신러닝인지를 따져봐야죠

2023.11.22

그렇군요 … 연구 분야에 통계적 머신러닝을 직접적으로 명시하시는 분부터 통계학 전공이신데 머신러닝을 다루는 분들까지 다 폭넓게 통계적 머신러닝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네요. 아직 이해가 부족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023.11.24

사실 기계학습 관련 랩도 경우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는 것이 기계학습 응용을 한다면 '어느 정도 납득 가능한 논리를 바탕으로' 기존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일 수 있다면 충분하기에 뛰어난 직관만 있다면 수학적 배경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입니다. 물리학에서 패러데이처럼 말입니다. 하지만 선생님이 기계학습 이론 - 혹은 통계적 추정이론 - 을 하는 연구실에 간다면 해당 알고리즘이 함수를 근사했을 때 어떠한 조건 하에서 적어도 얼마의 확률로 얼마의 오차 이내로 그 함수를 근사할 수 있는지 증명해야합니다. 이런 분야를 하신다면 측도론, 확률론, 함수해석학 등 수학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요구할텐데해석개론 등의 기초 과목에 대한 이해 없이는 쫓아가기 힘들 것입니다. 지원한 연구실이 어느 쪽에 관심을 갖는지 잘 확인하시고 지원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대댓글 3개

2023.11.24

"기존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일 수 있다면" 을 "기존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일 수 있다면" 으로 정정합니다.

2023.11.24

어떤 말씀인지 이해했습니다.
스스로는 이론적인 측면에 좀 더 포커스를 두고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바람이 있는데, 현실과 이상 간의 괴리가 충분히 있을 것 같네요 …

현실적인 한계를 염두한 상태로 좀 더 스스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진심어린 조언 정말 감사합니다.

2024.04.21

과거글이지만 지나가다 봤는데 매우매우 현답이라고 생각합니다. 산공? 통계? 컴퓨터? 이런거 물어보는 후배들한테 꼭 보여줘야겠네요

2023.11.25

이해도가 어느정도 이신지는 모르겠지만 문과시면많이 힘들긴 하실거예요 글쓴이분이 원하시는 그런 랩실들은 애초에 들어가기도 꽤 빡셀 거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