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 4학기 재학중입니다. 그동안 학부 인턴기간 포함 연구실 과제에 치이면서 2년을 보냈습니다. 과제는 모두 개발이다보니 논문 실적은 하나도 없습니다. 저는 연구란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학위 기간동안 한거는 촉박한 Due date안에 코드를 짜는것, 과제 제안서, 과제 발표자료, 과제 보고서, 교수님 강의자료, 수업 조교. 이거 말고는 없습니다. 졸업은 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해야할 과제가 정말로 많았고 저의 어리석은 책임감 때문에 과제에 펑크를 안내기 위해서 주말도 쉬는 날 없이 매일 새벽 2~5시 퇴근 9시 출근을 해왔습니다. 거짓말 같으시겠지만 정말입니다. 이게 정말 사실인 점에 눈물이 나옵니다. 이렇게 해서도 남은게 하나도 없습니다. 주변 동기들 그리고 연구실 친구만 보더라도 석사 졸업할때 다들 SCI논문 실적도 잘 만들고 정부연구소에도 취업하던데 저는 자소서에 작성할 실적이 하나도 없습니다. 그동안 어쩌면 대학원생의 본분인 연구보다는 회사처럼 과제에만 집중한 저의 탓인 것 같습니다. 모든 열심히만 하면 좋은 결과가 올거라고 생각했습니다. 저의 착각인 것 같습니다. 오늘 지도 교수님께 그동안 참아왔던 저의 속상함을 모두 말씀드렸습니다. 아직까지 졸업 논문 주제도 없는데 이제 뭘 해야하는지..실적도 없고 너무 억울하다. 2년동안 정말 힘들었는데 남는게 없다등등 그동안 참던 것들을 못 참고 모두 털어놓았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취업은 모두 운이다...걱정하지 말아라. 논문 한편 한편이 사실 별거 아니다. 너는 실적은 없지만 어딜가던지 다 잘 해낼거다. 이런 말만 하십니다. 제 자신이 너무 부끄럽습니다. 나중에 면접볼 때 저를 파트타임 학생으로 볼까봐 정말 너무 두렵습니다. 생각만 하면 정말 앞이 캄캄해지고 숨이 막힙니다. 저는 2년동안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하는데.. 인간 관계, 건강 모두 포기하면서 정말 열심히 했다고 생각하는데 결말이 정말 나쁠 것 같아 두렵습니다. 물론 실적은 없지만 그동안 130개 가까운 발표자료, 5번의 과제 제안서, 5번의 연차보고서, 학부 수업 PPT자료 등등 경험한 것은 많다고 생각하지만 취업할때는 이게 무슨 소용인가 싶습니다. 아무도 안믿을텐데 실적 하나 없고 논문 한편 없는 제가 파트 타임 석사생들과 다를게 없는 것 같아 두렵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4.01.09
취업할때 논문 하나도 안봅니다. 오히려 프로젝트 경험 많으면 그게 더 취업에 플러스에요. 단언컨대 취업에는 문제 없을겁니다.
대댓글 1개
2024.01.12
공감합니다. SCI가 몇개네 if가 몇이네 밑어주는 회사 몇이나될까요? 박사가 아닌이상
석사는 무조건 경험이 중요한것 같아요
2024.01.09
취업은 운이 맞음 회사가 원하는 방향의 연구를 했는가 안했는가 논문없어도 관련 프로젝트 경험으로 충분함
대댓글 1개
2024.01.09
이거 진짜임
2024.01.09
취업이 운 인 이유 : 준비 다 했는데, 회사에서 공고 안올라오거나 프러젝트 변경으로 다른 사람 뽑을 수 도 있음.
2024.01.09
박사 진학이 아니라 취업만 놓고보면 큰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지난 경험을 잘 어필해보세요. 어차피 논문을 위한 논문 회사에서는 신경도 쓰지 않아요.
2024.01.09
님의 그 성실함 덕분에 누군가는 덕을 봤을것이고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을겁니다. 두려워하지 마시고 졸업까지 조금만 더 힘내시고 마무리를 잘 하시고 나면 님의 다음 커리어에서 그 성실함을 좋게 살겁니다
2024.01.09
오히려 취업 시장에선 좋을 것 같은데
2024.01.10
석졸은 논문 ㄴㄴ. 여기 쓴대로 면접때 말하면 당장 뽑고 싶어할꺼야
2024.01.11
현직 입장에서 보건대, 정말 석사동안 저정도 업무를 성실히 수행했다면 회사에서도 정말 할 줄아는게 많을 테니 너무 걱정 안해도 될 것 같습니다. 취업하려면 논문보다 실무능력이 뛰어난게 좋습니다. 석사 때 논문 한두개 있는거 별거 아닙니다. 세상은 생각보다 정직합니다. 내가 어떻게 살았느냐는 주변 사람들이 기억하고, 피나는 노력을 했다면 자기 재산이 되어있는 겁니다. 2년간 여러의미로 성장해있을 터이니 자신감 갖길 바랍니다.
2024.01.11
물론 논문도 중요하지만 석사는 과제,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더 중요하게 봅니다. 하셨던거만 자소서에 잘 녹여내셔도 좋은 결과 있을 겁니다.
2024.01.11
석사 SCI가 무슨 소용이 있음
2024.01.11
적당히 졸업만 하실 수 있다면 전혀 문제없으심니다
2024.01.12
석사과정 동안 과제제안서, 연차보고서 써본사람 몇이나될까요? 물론 있겠죠
근데 취업해보니 sci 논문?특허? 알아주는이 없더라구요
왜냐구요? 그래봤자 석사졸인데 누가 알아줘요ㅋㅋ 이건 제이야기에요ㅋㅋㅋ 다른분들은 모르겠어요ㅋㅋ
그리고 연구소나 회사입장에서 연구비 따오는 직원이 좋죠ㅋㅋ
석사후취업하실거면 현실적으로는 님은 논문보다 과제제안서, 보고서 작성해본경험이 더 면접관한테는 플러스점수일듯요
연구소, 회사가서 물론 운도따라주고해서 논문 특허 실적내면 좋겠지요
하지만 프로젝트 하는 연구소나 회사가시면 실험, 제안서, 보고서만 주구장창 쓰실건데..
물론 박사라면 말이 달라지겠죠? 실험, 과제 따기, 보고서, 논문, 특허 등등 모두 수반되어야하고요ㅎㅎ
대댓글 1개
2024.01.12
박사 하실거면 논문은 필수겠지만, 석사만하고 나가실거면 논문에 연연해하지마세요~
영어공부만 좀 하세요^^
2024.12.13
석사 기간 중 학위논문 말고 쓴 논문이 하나도 없는데도 대기업 첫트에 합격한 친구가 있습니다. 분야가 엄청 잘 맞는 것도 아닌데요.
2024.01.09
대댓글 1개
2024.01.12
2024.01.09
대댓글 1개
2024.01.09
2024.01.09
2024.01.09
2024.01.09
2024.01.09
2024.01.10
2024.01.11
2024.01.11
2024.01.11
2024.01.11
2024.01.12
대댓글 1개
2024.01.12
2024.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