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탑~상위 티어 논문 1저자 vs 2. 3점대 저널 (ai에선 낮은 편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독저자
이런 경우, 다른 교수님들 혹은 선배님들은 어느 상황을 더 높게 생각하신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4.07.27
단독은 크게 의미 없습니다. 결국 1저자니까요 ㅎㅎ 물론 열심히 했네 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굳이 단독저자에 차별을 두진 않습니다.
허탈한 그레고어 멘델*
2024.07.27
단독이라고 한다면 교신 저자 없이 했다는 소린가요 썩 좋다고 볼 순 없겠네요 분야가 달라서 어떤진 모르겠는데요 저희분야는 이렇건 저렇건 1저자 라면 인정해주고 if 영향도 큽니다
대댓글 1개
2024.07.27
교신 저자 없이 혼자쓰게되면, 관점에 따라 좋게 볼 수도 아닐수도 있겠네요! 커뮤니케이션, 사회성 등등의 문제로 비춰질 수도 있어보이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2024.07.27
단독저자=글쓴이, 교수님(교신) 일거라고 생각하겠습니다. 그런경우는 1번이 훨씬 낫습니다. 실적중에 단독 저자인 논문이 한두편 정도 있으면 좋습니다만, 굳이 하나를 뽑으라고 하면 탑 저널이 훨씬 좋죠. 그리고 학부생이 1저자로 SCI를 썼다고 하면 보통 오 대단하다 라고합니다. 에이 교수가 다 해줬구만~ 하는 사람들은 시기심과 질투심이 있는 사람들이구요, 보통 박사나 교수들이 보면 똘똘하고 인재네 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물론 교수의 지분이 클 확률이 있겠지만 그마저도 어렵고 못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죠 학부생의 경우는)
만약 교수 이름 없이 진짜 저자 1명(1저자이자 교신)으로 쓰시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거의 불가능입니다. 아무리 모든 논문 내용을 혼자 작성하고 교수님의 조언/수정/아이디어가 안들어갔다해도(이정도라도 학부생이면 진짜 천재), 보통 학부생이 연구주제, 논문을 쓰기위해 사용한 데이터, 심지어 논문 작성에 필요한 Figure 작성 프로그램, 논문 쓰기위해 사용한 컴퓨터 등등 에서 타인의 도움이 1도 안들어갈 순 없잖아요? 보통 1저자이자 교신으로 순수 혼자 논문 쓰려면 박사받고 포닥 말년차나, 조교수 임용된 후부터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2024.07.27
글쓴이 요지가 교수님 끼면 교수가 다한것으로 생각한다는ㄱ 건데 그런 관점에서 봤을때 단독저자는 본인 혼자만 저자에 이름을 올리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 대학원 입시에는 후자가 더 좋을수도 있으나(학부생 1저자는 교수빨이라는 인식이 있기때문, 또한 학부생에게는 논문을 써본 경험자체가 중요하지 높은 if를 요구하지는 않음) 그렇지 않고 박사졸 후 잡이나 포닥 자리를 잡는거면 전자가 더좋음.
대댓글 1개
2024.07.27
물논 난이도를 따지면 학부생에게 전자는 간간히 보이지만 후자는 거의 불가능 수준
2024.07.27
1번요. 교수가 고생했어도 학부생이 포텐 없으면 안되는거죠
2024.07.27
학생이라는 위치는 배우는 자리이지 자기 역량을 마음껏 발휘해서 자기 능력으로 논문쓰고 임팩트를 올리는 위치가 아니랍니다. 위에 덜떨어진 분들아 :)
2024.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탑티어 학부생 1저자 + 교수 교신저자 vs. 3점대 학부생 단독저자 (1저자+교신)
참으로 어려운 질문이네요...ㅎㅎ
하지만 완성도는 전자가 좋을거같긴한데
단독저자도 좋아보이긴 합니다.만...
현실적인 문제가 있어보이는게, 학부생이 단독으로 하면 어디 실적으로 냈을때 의심부터 살 수가 있어보이네요
하지만 그런 사회적인 문제가 없다는 전제하에
단독일경우에는 포텐이 있어보여서 더 나아보입니다.
대댓글 2개
2024.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추가로, sci 만 봐도 분야 잘 정하면 학부생수준에서 충분히 가능한 퀄리티도 많습니다.
특히 AI분야에서 한 분야 초창기때는 말도안되는 수준으로 써도 엑셉이 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냥 "적용"만하면 개제가 되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런상황이면 충분히 학부생이아니라 고등학생이 책보고 끼워맞추면 가능한 수준의 논문이 상당수 있었습니다
2024.07.28
의견 감사드립니다! 사실 제가 단독저자로 투고했는데, 어느정도의 메리트가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예상대로 의견이 많이 갈리긴 하지만, 그래도 상당히 만족스러운 결과네요.
2024.07.28
1이 베스트죠. 좋은 저널이 좋은 거예요.
단독을 쓸 수 있으면 그렇게 하세요. 그런데 혼자한다?????? 인문학도 아니고 가능한 일인가???? 다만 학생이 그렇게 하면 이상하게 보여요. 발상자체가 이상해요.
대댓글 2개
2024.07.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왜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지... 책이랑 유튜브로만 찔끔 공부해도 핫바리 저널 핫바리논문은 충분히 실릴만한데요...
2024.07.28
논문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실 필요가 있어보이시는데요...책이랑 유툽으로 찔끔 공부한 지식으로 실린 논문이 기여도가 어느정도 있을것이라 보시는건지? 단지 실적채우기인가요? 그렇다면 오히려 그게 발목을 잡을지도요..?
2024.07.30
학부생 단독저자로 제출하면 논문 수준이 좋긴 힘들거고 뭐 그게 아니더라도 꼰대 리뷰어 만나서 개털릴듯;
2024.07.27
2024.07.27
대댓글 1개
2024.07.27
2024.07.27
2024.07.27
대댓글 1개
2024.07.27
2024.07.27
2024.07.27
2024.07.28
대댓글 2개
2024.07.28
2024.07.28
2024.07.28
대댓글 2개
2024.07.28
2024.07.28
202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