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논문이 혼자쓰는거긴 한데 너무 힘이 안나서, 스터디라도 해야하나 하고 있습니다. 근데 스터디같은게 잘 안보이는걸로 봐서는... 없는덴 또 그만한 이유가 있는걸까요?
다들 어떻게 혼자 해내고 계신가요? 지도교수는 너가 알아서 학술지 내놓을 수준 만들어와의 느낌이고 저는 연구실은 있지만 다들 프로젝트하느라 개인연구할 여력이 안되는데... 지치거나 막막할 때 혹은 그냥 게을러질 때 답이 없네요 ㅎ
궁금해서 올려보았어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08.19
BEST지금 이 과정이 배우고 성장하고 있는거에요. 교수가 학술지 출판 직전의 결과물을 원한다고 생각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거기까지 혼자 열심이 쥐어짜낸 엉망인 초안이라도 그 노력 자체가 중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깨닫는게 많아요. 그리고 몇 번 손 봐주면 두가 탁 트일껍니다. 아, 이렇게 하는구나. 같이요. 남 도움 빌려서 작성한 논문은 다음에 적어보라고 하면 또 막힙니다. 혼자 다 해봐야 초안 후 교수가 수정 및 지도해줄 때 학생 머리에 쏙쏙 드가거든요.
2025.08.18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각자 하는 연구가 다 다르다 보니 스터디가 오히려 시간 낭비라고 생각되는 것 같습니다. 원래 다들 귀찮은데 그냥 쓰는 것 같습니다. 일단 쓰기 시작하면 어떻게든 되긴 하는 거 같습니다. 다만 처음 작성해보신다면 본인이 읽었던 논문 중 가장 잘 썼다고 생각되는 논문 한편을 가져다 놓고 조금씩 수정하는 방식으로 작성하시면 수월합니다. 원래 창조보단 수정이 쉽기 때문입니다.
2025.08.18
논문 자체는 아주 specific 하고 협소한 분야를 다루기 마련이라 다른 사람들과 스터디 한다고 별로 도움이 될만한게 없는 거 같습니다. 분위기조성을 위해서라면 연구실에 앉아 있는것 보다 나을게 없는 것 같고, (무엇보다 논문 찾아보고 해야 하는데 카페같은 곳에서 하기는 어렵죠) 논문작성법 스터디 라면 잘 모르는 저년차끼리 모여서 해봐야 답이 없고 고년차나 교수가 과외하듯이 가르쳐줘야 하는데, 그건 이미 스터디그룹이 아니고.
2025.08.18
저도 논문 작성단계인데 연구실에 오래 남는 사람이 없어서 그런가 집중이 잘 안 됩니다 줌으로 가끔 비대면 스터디? 하는 거 어떠세요? https://open.kakao.com/o/g3uUNiNh
2025.08.19
지금 이 과정이 배우고 성장하고 있는거에요. 교수가 학술지 출판 직전의 결과물을 원한다고 생각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거기까지 혼자 열심이 쥐어짜낸 엉망인 초안이라도 그 노력 자체가 중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깨닫는게 많아요. 그리고 몇 번 손 봐주면 두가 탁 트일껍니다. 아, 이렇게 하는구나. 같이요. 남 도움 빌려서 작성한 논문은 다음에 적어보라고 하면 또 막힙니다. 혼자 다 해봐야 초안 후 교수가 수정 및 지도해줄 때 학생 머리에 쏙쏙 드가거든요.
2025.08.20
어떤 분야든 논문쓰려면 해당 분야의 논문을 다 읽을 긱오로 하시면 지연스럽게 본인이 진행하고자는 방향과 진행방법티 보입니다.
저는 스터디 같은 건 비추해요. 어느 정도 분야를 알고 있어야 의견 교환이 되지 아니면 수박 겉핥기 수준의 질문 밖에 못해요. 해당 연구를 한번 해봤으면 그 연구의 고민을 알고 질문을 할 수 가 있죠.
방법론 적용해보시고 지도 교수님을 찾아뵙는 걸 추천합니다. 답은 근처에 있습니다.
2025.08.20
그냥 시간 맞춰 자리에 앉혀줄 메이트 같은게 필요하신거면 저는 열품타 같은 앱 썼어요. 거기서 대충 목적에 맞는 방에 가입해서 썼는데요. 일주일에 몇시간 아래로 공부하면 방에서 쫒겨나기 때문에(?) 별 거 아닌 거 같지만 동기부여는 되더라고요.
2025.08.21
그럴 때 제가 하는 방법은 지도교수님께 언제까지 초안을 가지고오겠다고 시간을 정해놓으면 그만큼 좋은 러닝메이트는 없더라구여 ㅎㅎ
2025.08.21
교수님은 당신이 최고의 논문을 쓸거라고 우선 기대하지 않습니다. 이게 중요합니다. 그 기대치가 없으니 우선 뭐라도 개떡같아도 들고가면 피드백을 해주실겁니다. (고심한 흔적이 있어야합니다^^ㅋㅋ)
근데 그 피드백들과 고찰의 과정에서 뭔가 하나씩 업그레이드가 됩니다. 논문제출 시기가 오면 그 개떡같은 초안이 논문 비슷한 무언가로 되어있긴합니다ㅋㅋㅋㅋ경험담입니다ㅋㅋㅋ
2025.08.22
오…혹시 같이 써보신 적이 있나요? 내용 통일하고 조율하고 수정하는 게 진짜 귀찮은 과정이라 전 혼자 쓰는 게 훨씬 마음이 편하던데
2025.08.19
2025.08.18
2025.08.18
2025.08.18
2025.08.19
2025.08.20
2025.08.20
2025.08.21
2025.08.21
2025.08.22